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L.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위생>에 나타난 ‘공포’의 모티프 연구 = The Motif of “Fear” in L. Petrushevskaya's Hygie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4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in L. Petrushevskaya's Hygien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the meaning of 'fear', which is the leitmotif of the dystopian narrative in Hygiene; and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fr...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in L. Petrushevskaya's Hygien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the meaning of 'fear', which is the leitmotif of the dystopian narrative in Hygiene; and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from three perspectives – fear of ‘uncertainty’, of ‘death’, and of ‘guilt’ – and how it is embodied in the work.
      By setting an uncertain time and space and an uncertain situation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e author delivers her message to readers that such tragedies can happen to mankind at any time and any place, not just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Fear of death provokes misanthropy, and it completely separates a person from all others. In this story, the author depicts the brutal process of family members becoming completely depersonalized to each other.
      The author of Hygiene warns readers that fear of guilt must be clearly recognized in the situation of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Rather than becoming insensitive to guilt, when we are wary of sin and have the fear of guilt, we will not lose our human dignity in any dystopian situation.
      The leitmotif of Petrushevskaya's Hygiene is ‘fear’, but the meaning of this fear is overturned into the meaning of ‘hope’ by a girl who makes the right moral choice with pure and warm he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위생(Гигиена)>에 나타나는 디스토피아 서사의 주요 모티프를 분석하고,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

      본 연구에서는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위생(Гигиена)>에 나타나는 디스토피아 서사의 주요 모티프를 분석하고,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디스토피아 서사 갈등의 핵심이 되는 ‘공포’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작품 속에서 ‘공포’의 모티프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세 가지 관점 – 불확실성, 죽음, 죄의식 – 에서 분석하며, 셋째, 전염병의 상황 속에 처한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그 의식에 따른 행위의 결과들을 고찰한다.
      불확실한 시공간과 불확실한 상황으로 작품의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작가는 이러한 디스토피아적 비극이 특정 시공간이 아니라 어떤 시간, 어떤 장소에서든 인류에게 발생할 수 있음을 독자에게 전달한다. 전염병으로 인한 죽음에 대한 공포는 등장인물 간에 혐오를 불러일으키고, 혐오는 타인을 ‘나’와 철저히 분리한다. 아늑한 보금자리로서의 ‘집’에 대한 전통적 상징적 의미는 파괴되고, 살아남기 위해 가족 구성원들마저도 서로에게 비체(卑體)가 되어 가는 잔인한 과정이 작품 속에 묘사된다. <위생>의 작가는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에서 죄의식에 둔감해지는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한 공포를 가질 때, 어떠한 디스토피아의 상황에서도 인간의 형상을 잃어버리지 않게 됨을,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대지를 복구하고 정화하게 될 선택받은 자’들로 살아갈 수 있음을 독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은하, "후기 근대의 공포와 재앙의 상상력 - 편혜영의『재와 빨강』"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109-140, 2013

      2 최창모, "현대 히브리문학의 고양이 모티브/이미지 연구 - 아모스 오즈의『나의 미카엘』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52) : 291-324, 2013

      3 조유선,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와 ‘위기’의 문학 ­문화정체성 연구를 위한 서론적 고찰" 한국러시아문학회 (14) : 193-228, 2003

      4 알베르 카뮈, "페스트" 민음사 2011

      5 김병수, "터치는 이성보다 강하다" 2014

      6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또예프스끼, "죄와 벌" 열린책들 2009

      7 커모드 F, "종말 의식과 인간적 시간-허구이론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3

      8 찰스 프레드 앨퍼드, "인간은 왜 악에 굴복하는가" 황금가지 2004

      9 김선옥, "인간 정신의 ‘도착성’과 죄의식으로서의 공포: 에드가 앨런 포의 「검은 고양이」" 대한영어영문학회 47 (47): 1-21, 2021

      10 성창규, "에드가 앨런 포의 「검은 고양이」에 나타난 이중성과 신화적 접근" 영어권문화연구소 9 (9): 47-67, 2016

      1 김은하, "후기 근대의 공포와 재앙의 상상력 - 편혜영의『재와 빨강』"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109-140, 2013

      2 최창모, "현대 히브리문학의 고양이 모티브/이미지 연구 - 아모스 오즈의『나의 미카엘』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52) : 291-324, 2013

      3 조유선,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와 ‘위기’의 문학 ­문화정체성 연구를 위한 서론적 고찰" 한국러시아문학회 (14) : 193-228, 2003

      4 알베르 카뮈, "페스트" 민음사 2011

      5 김병수, "터치는 이성보다 강하다" 2014

      6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또예프스끼, "죄와 벌" 열린책들 2009

      7 커모드 F, "종말 의식과 인간적 시간-허구이론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3

      8 찰스 프레드 앨퍼드, "인간은 왜 악에 굴복하는가" 황금가지 2004

      9 김선옥, "인간 정신의 ‘도착성’과 죄의식으로서의 공포: 에드가 앨런 포의 「검은 고양이」" 대한영어영문학회 47 (47): 1-21, 2021

      10 성창규, "에드가 앨런 포의 「검은 고양이」에 나타난 이중성과 신화적 접근" 영어권문화연구소 9 (9): 47-67, 2016

      11 박덕규, "불안, 공포의 이해와 극복" 배영사 1994

      12 오윤주, "디스토피아 소설과 문학교육" 2022

      13 유서현, "공포의 철학" 동녘 2017

      14 프랑코 모레티, "공포의 변증법" 새물결 2014

      15 줄리아 크리스테바, "공포의 권력" 동문선 2001

      16 러브 크래프트, "공포문학의 매혹" 북스피어 2012

      17 로버트 단턴, "고양이 대학살" 문학과지성사 1996

      18 애드거 앨런 포, "검은 고양이" 문학동네 2009

      19 권철근, "『죄와 벌』의 스비드리가일로프: 라스콜리니코프의 두 얼굴" 러시아연구소 25 (25): 213-242, 2009

      20 Лейдерман Н. Л., "Современная русская литература: В 3 кн. Кн. 3: В конце века (1986 - 1990-е годы)" 2001

      21 Достоевский Ф. М.,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15-ти томах. Том 5" 1989

      22 Ерофеев В., "Русские цветы зла" 2001

      23 Колтухова И. М., "Постмодернизм и традиция: трансформация жанра вволшебной сказке Л. Петрушевской: дисс. канд. филол. наук"

      24 Богданова О. В., "Постмодернизм в контексте современной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60-90-е годы века - начало века)" 2004

      25 Шкловский Е., "Косая жизнь. Петрушевская против Петрушевской"

      26 Петрушевская Л., "Жила-была женщина, которая хотела убить соседскогоребенка" 2011

      27 Панн Л., "Вместо интервью, или Опыт чтения прозы Людмилы Петрушевскойвдали от литературной жизни метрополии" (5) : 1994

      28 Ланин Б., "Боришанская М. Русская антиутопия XX века: Учеб. пособие дляучителей старших классов гуманитарной гимназии"

      29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426009004&wlog_tag3=daum"

      30 "https://www.mk.ru/social/2020/04/13/samoe-strashnoe-ne-epidemiya-a-bezumievlastey.html"

      31 "https://newspeppermint.com/2021/09/10/uncertainty/"

      32 "http://kccfgg.org/webzine/src/webzine_view.php?idx=44"

      33 양영란, "L. 페트루쉡스카야의 <검은 외투>에 나타난 ‘공감’과 ‘위로'" 한국노어노문학회 32 (32): 159-188, 2020

      34 Lanin B., "Images of women in Russian antiutopian literature // Slavonica" 71 (71): 1993

      35 Marc-Antoine Crocq, "A history of anxiety: from Hippocrates to DSM. Dialogues" 17 (17):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