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치심의 에토스: 톨스토이의 『부활』을 중심으로 = Ethos of Shame: A study on Tolstoy’s Resurr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4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ekhlyudov's shame in Tolstoy's novel 『Resurrection』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connection it has with the theme of the novel. The novel deals with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resurrection of the two m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ekhlyudov's shame in Tolstoy's novel 『Resurrection』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connection it has with the theme of the novel. The novel deals with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resurrection of the two main characters, but the fact that the resurrection of Katyusha is def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Nekhlyudov, and the change and maturation of Nekhlyudov, like an alter ego of the author who sees through such resurrection of Katyusha, is the main axis of the novel. In Nekhlyudov's spiritual journey, sha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his transformation and awakening.
      Since shame is a heterogeneous and autonomous emotion, and can be related to narcissism and self-love, the cause of shame, attitude toward sham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it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Nekhlyudov felt shame and even guilt in front of his mean past, and tried to overcome the shame on a self-centered level. However, he acknowledges that he cannot judge and condemn anyone, and realizes that he must forgive his sins, and he realizes the need for sympathy and compassion for Katyusha and furthermore, love for humanity. Shame is a necessary emotion for the realization of righteousness at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the social level, but if it is not properly overcome, it will only lead to hypocrisy and pretense to overcome personal suffering. It must not be forgotten that the purpose of overcoming shame is not to alleviate one's suffering and purify oneself, but to move toward the practice of brotherly love through understanding and forgiveness and solidarity with others. That is the ethos of sha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톨스토이의 소설 『부활』에 나타난 네흘류도프의 수치심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소설의 주제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은 네흘류도프와 카튜샤,...

      본 고는 톨스토이의 소설 『부활』에 나타난 네흘류도프의 수치심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소설의 주제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은 네흘류도프와 카튜샤, 두 주인공의 정신적인 부활의 과정을 다루고 있으나 카튜샤의 부활은 네흘류도프의 관점에서 정의된 것이라는 점, 그리고 그러한 카튜샤의 부활을 간파하는 작가의 분신과도 같은 네흘류도프의 변화와 성숙이 소설의 주요한 축을 이룬다는 점에서 네흘류도프의 정신적인 여정에서 수치심은 그의 변화와 각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치심은 타율적인 감정이자 자율적인 감정이며 자기애와 타자애와 연관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치심의 원인, 수치심에 대한 태도, 수치심의 극복의 과정 등은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네흘류도프는 자신의 비열한 과거 앞에 수치심, 더 나아가 죄책감을 느끼고 자기중심적인 차원에서 수치심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누군가를 판단하고 정죄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죄를 용서해야 함을 깨닫고 나서 카튜샤에 대한 동정과 연민, 더 나아가 인류에 대한 사랑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수치심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의義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감정이지만 그것이 제대로 극복되지 못한다면 개인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위선과 가식을 초래할 뿐이다. 수치심 극복의 목적이 자신의 고통을 경감하고 자신을 정화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이해하고 용서하며 타인과의 연대를 통한 형제애의 실천으로 나아가야 함에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것이 바로 수치심의 에토스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신은화, "혐오와 수치의 도덕성 문제- 맹자, 하이트, 누스바움의 견해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59 : 113-138, 2021

      2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3 윤새라, "톨스토이의 신여성: 『부활』의 카튜샤 마슬로바" 외국문학연구소 (82) : 53-72, 2021

      4 변상규, "자아상의 치유" NUN 2012

      5 톨스토이, "인생론/참회록" 육문사 1990

      6 황정희, "원초적 수치심과 도덕 감정으로서의 부끄러움" 4 : 65-88, 2018

      7 최인선, "심미적 합리성과 합리적 심미성 - 톨스토이의 <부활>을 중심으로 -" 한국노어노문학회 26 (26): 185-210, 2014

      8 이태수, "수치의 규범적 효력"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6) : 3-28, 2016

      9 임홍빈, "수치심과 죄책감" 바다출판사 2014

      10 신은화, "수치심과 인간다움의 이해 -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88) : 317-335, 2018

      1 신은화, "혐오와 수치의 도덕성 문제- 맹자, 하이트, 누스바움의 견해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59 : 113-138, 2021

      2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3 윤새라, "톨스토이의 신여성: 『부활』의 카튜샤 마슬로바" 외국문학연구소 (82) : 53-72, 2021

      4 변상규, "자아상의 치유" NUN 2012

      5 톨스토이, "인생론/참회록" 육문사 1990

      6 황정희, "원초적 수치심과 도덕 감정으로서의 부끄러움" 4 : 65-88, 2018

      7 최인선, "심미적 합리성과 합리적 심미성 - 톨스토이의 <부활>을 중심으로 -" 한국노어노문학회 26 (26): 185-210, 2014

      8 이태수, "수치의 규범적 효력"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6) : 3-28, 2016

      9 임홍빈, "수치심과 죄책감" 바다출판사 2014

      10 신은화, "수치심과 인간다움의 이해 -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88) : 317-335, 2018

      11 브레네 브라운, "수치심 권하는 사회" 가나출판사 2019

      12 톨스토이, "부활 1, 2" 민음사 2011

      13 윤천근, "부끄러워야 사람이다" 글항아리 2015

      14 빅토르 쉬클롭스키, "레프 톨스토이 2" 나남 2009

      15 윤새라,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 장편소설 속 만남과 헤어짐" 한양대출판부 2019

      16 허선화, "『백치』에 나타난 수치심의 메커니즘" 한국노어노문학회 21 (21): 615-641, 2009

      17 이찬, "‘수치심’과 ‘용기’ -유가의 전통에서 인간다운 삶의 의미에 관하여" 철학연구소 (51) : 1-29, 2015

      18 Владимировна, Г. Н.,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феноменология эмоциональной жизни вромане Л.Н. Толстого "Анна Каренина": стыд и вина, диссертациякандидата филологических наук" Волгогр. гос. пед. ун-т 2005

      19 Мухаметзянова, Э. И.,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феноменология стыда и вины впроизведениях Л.Н.Толстого «Анна Каренина» и Г. Ибрагимова" Казан. гос. ун-т 2011

      20 Горелов, А. А., "Толстой сегодня" Гос. музей Толстого 153-171, 2014

      21 Толстой, Л., "Собр. соч. в 12 т, Т. 10" Правла 1987

      22 Бабаев, Э. Г., "Очерки и эстетики и творчества Толстого" Изд-во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1981

      23 Опульская, Л. Д., "Лев Николаевич Толстой" Наследие 1998

      24 Kaufman, A. D., "Understanding Tolstoy" Ohio State UP 216-217, 2011

      25 Wasiolek, E, "Tolstoy’s major fiction" Chicago UP 1978

      26 Steiner, G., "Tolstoy or Dostoevsky" Yale UP 1996

      27 Troyat, H, "Tolstoy" Doubleday Company Inc 1967

      28 Gleb, Anna, "The Tectonics of Love in Leo Tolstoy’s Resurrection" 5 (5): 90-103, 2016

      29 Brych, N., "Religious and ethical views of Tolstoy’s novel Resurrection" Manitova Univ 1973

      30 Jahn, G. R., "Lev Tolstoy and the concept of brotherhood" LEGAS 71-87, 1996

      31 Rowe, W., "Leo Tolstoy" Twayne Publishers 1986

      32 Mclean, H., "In quest of Tolstoy" Academic Studies pr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