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1~16세기 도기가마의 변화과정과 의미 = The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5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the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
      In the research, pottery kiln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its size,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 shape. Then, the period of use for each classified kilns were estimated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inside the kiln, waste disposal site and craft workshop discovered during the archaeological research. Moreover, change in the production system of kilns were studied and compared to that of the porcelain kilns system that were u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order to trace how the pottery kilns changed over time and their reason and genealogy.
      As result, while the underground type pottery kilns consistently showed up from the 11th to the 16th centur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appeared first during the 12th century around Gangjin area and increased steadily, eventually becoming the dominant form of pottery kilns by the 15th century. Then, Since then,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changed to thin and long rectangular shape where the width of the chamber is fixed.
      The change in pottery kilns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kiln production system.
      While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during the 12th century was included in the combined production system of porcelain and pottery and affected by the blue porcelain kiln technolog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 during the 15th century were divided into pottery and porcelain production system, with independent system for pottery kiln production system. As result, it was less affected by the buncheong porcelain or baekja porcelain kiln production technolog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the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 In the research, pottery kiln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its size,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 shape. Then, the period of u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the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
      In the research, pottery kiln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its size,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 shape. Then, the period of use for each classified kilns were estimated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inside the kiln, waste disposal site and craft workshop discovered during the archaeological research. Moreover, change in the production system of kilns were studied and compared to that of the porcelain kilns system that were u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order to trace how the pottery kilns changed over time and their reason and genealogy.
      As result, while the underground type pottery kilns consistently showed up from the 11th to the 16th centur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appeared first during the 12th century around Gangjin area and increased steadily, eventually becoming the dominant form of pottery kilns by the 15th century. Then, Since then,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changed to thin and long rectangular shape where the width of the chamber is fixed.
      The change in pottery kilns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kiln production system.
      While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during the 12th century was included in the combined production system of porcelain and pottery and affected by the blue porcelain kiln technolog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 during the 15th century were divided into pottery and porcelain production system, with independent system for pottery kiln production system. As result, it was less affected by the buncheong porcelain or baekja porcelain kiln production techn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11~16세기에 운영되었던 도기가마를 대상으로 도기가마의 운영시기와 가마구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위해 본 글에서는 도기가마를 가마규모, 축조방식, 평면형태 등으로 나누어 도기가마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도기가마는 가마의 내부, 폐기장, 공방지 등에서 출토된 자기와 고고학적 조사과정에서 실시한 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유형별 운영시기를 추정하였다. 이후 시기에 따라 도기가마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도기가마가 변화하게 된 원인과 계통은 무엇인지를 찾아보기 위해 도기가마의 생산체제 변화와 동시기에 운영된 자기 가마구조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지하식 도기가마는 11세기부터 16세기 전반까지 꾸준히 나타나는 반면에 12세기 이후에강진을 중심으로 등장한 지상식 도기가마는 서서히 증가하여 15세기에 이르러 지하식 도기가마를 누르고 새로운 도기가마의 중심에 섰다. 이후 지상식 도기가마는 15세기를 지나면서 번조실의 너비가동일한 세장방형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도기가마의 변화는 가마의 생산체제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추정된다. 12세기의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와 자기의 복합 생산체제 안에 포함되어 청자가마의 기술적 영향을받았으나, 15세기 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가마와 자기가마가 별도로 존재하여 자기가마의제작공정을 벗어나 단독 생산체제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생산체제의 변화는 도기가마가분청사기나 백자가마의 영향을 덜 받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번역하기

      본 글은 11~16세기에 운영되었던 도기가마를 대상으로 도기가마의 운영시기와 가마구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위해 본 글에서는 도기가마를 가마규...

      본 글은 11~16세기에 운영되었던 도기가마를 대상으로 도기가마의 운영시기와 가마구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위해 본 글에서는 도기가마를 가마규모, 축조방식, 평면형태 등으로 나누어 도기가마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도기가마는 가마의 내부, 폐기장, 공방지 등에서 출토된 자기와 고고학적 조사과정에서 실시한 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유형별 운영시기를 추정하였다. 이후 시기에 따라 도기가마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도기가마가 변화하게 된 원인과 계통은 무엇인지를 찾아보기 위해 도기가마의 생산체제 변화와 동시기에 운영된 자기 가마구조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지하식 도기가마는 11세기부터 16세기 전반까지 꾸준히 나타나는 반면에 12세기 이후에강진을 중심으로 등장한 지상식 도기가마는 서서히 증가하여 15세기에 이르러 지하식 도기가마를 누르고 새로운 도기가마의 중심에 섰다. 이후 지상식 도기가마는 15세기를 지나면서 번조실의 너비가동일한 세장방형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도기가마의 변화는 가마의 생산체제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추정된다. 12세기의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와 자기의 복합 생산체제 안에 포함되어 청자가마의 기술적 영향을받았으나, 15세기 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가마와 자기가마가 별도로 존재하여 자기가마의제작공정을 벗어나 단독 생산체제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생산체제의 변화는 도기가마가분청사기나 백자가마의 영향을 덜 받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경숙, "한국도자사" 예경 2012

      2 강경숙, "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시공사 2005

      3 충북문화재연구원, "진천 회죽리유적Ⅰ" 2010

      4 김용호, "조선시대 중서부지역 옹기 가마에 대한 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19) : 193-233, 2014

      5 박경자, "조선 초 인화기법 분청사기의 계통과 의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7 : 73-98, 2013

      6 동산도기박물관, "조선 질그릇의 재발견" 2004

      7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제3의 전통, 옹기의 원류를 찾아서" 2000

      8 이지영,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축조기술 검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6) : 7-34, 2015

      9 성형미,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영남지역자료를 중심으로-" 부산고고학연구회 (13) : 71-87, 2013

      10 국립광주박물관,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 1993

      1 강경숙, "한국도자사" 예경 2012

      2 강경숙, "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시공사 2005

      3 충북문화재연구원, "진천 회죽리유적Ⅰ" 2010

      4 김용호, "조선시대 중서부지역 옹기 가마에 대한 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19) : 193-233, 2014

      5 박경자, "조선 초 인화기법 분청사기의 계통과 의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7 : 73-98, 2013

      6 동산도기박물관, "조선 질그릇의 재발견" 2004

      7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제3의 전통, 옹기의 원류를 찾아서" 2000

      8 이지영,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축조기술 검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6) : 7-34, 2015

      9 성형미,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영남지역자료를 중심으로-" 부산고고학연구회 (13) : 71-87, 2013

      10 국립광주박물관,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 1993

      11 장남원, "고려중기 청자 연구" 혜안 2006

      12 장남원, "고려전기 해무리굽[옥벽저계] 碗의 지속현상에 대한 추론 ―동아시아 북방도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호서사학회 (50) : 321-353, 2008

      13 이종민, "고려시대 청자가마의 구조와 생산방식 고찰" 한국상고사학회 45 (45): 71-106, 2004

      14 윤희경, "고려시대 陶器가마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문물연구원 (창간) : 2011

      15 연세대학교박물관, "고려·조선시대 질그릇과 사기그릇"

      16 연세대학교박물관, "고려·조선시대 사기그릇전"

      17 국립중앙박물관, "계룡산 도자기"

      18 韓國文化財保護財團, "龍仁 東栢里·中里 遺蹟Ⅰ" 2005

      19 한국선사문화연구원, "龍仁 德成里 遺蹟" 2013

      20 畿甸文化財硏究院, "龍仁 寶亭里 靑磁窯址"

      21 曺銀精, "高麗陶瓷新論" 학연문화사 2009

      22 崔喆熙, "高麗時代 질그릇의 型式分類와 變遷過程-甁·壺·大甕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대학원 2003

      23 金女珍, "高麗時代 陶器生産施設과 生産品에 대한 硏究" 한신대학교대학원 2003

      24 韓惠先, "高麗時代 陶器 硏究"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3

      25 장남원, "高麗中期 靑瓷의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2003

      26 湖南文化財硏究院, "高敞 校雲里 遺蹟" 2002

      27 중앙문화재연구원, "驪州 安金里遺蹟" 2007

      28 公州大學校博物館, "靑陽 光大里 白磁 生産 遺蹟" 2009

      29 백제문화재연구원, "雅山 山東里窯址" 2015

      30 한국선사문화연구원, "鎭川 鳩岩里 사장골 遺蹟" 2017

      31 강경숙, "蓮唐草文 變遷과 印花文 發生 試考 -광주도수리 분청사기요지 대접파편을 중심으로-" 梨大史學會 20 : 1983

      32 한신대학교박물관, "華城 佳才里 中世遺蹟" 2010

      33 湖南文化財硏究院, "羅州 雨山里窯址" 2004

      34 강경숙, "燕岐 松亭里 분청사기대접 -문양 분석과 제작시기 시도" 韓國美術史學會 197 : 1993

      35 慶南大學校博物館, "淸道 蓴池里 甕器가마터" 1994

      36 畿甸文化財硏究院, "水原 好梅實洞·金谷洞遺蹟" 2011

      37 한국문물연구원, "梁山 內松里 高麗 陶器窯址" 2012

      38 姜萬吉, "朝鮮時代商工業史硏究" 한길사 1984

      39 배보늬, "朝鮮時代 嶺南地方 甕器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대학원 2006

      40 片山まび, "朝鮮前期 甕器와 日本 薩摩燒" 한국문물연구원 (2) : 2012

      41 民族文化遺産硏究院, "康津 沙堂里 43號 高麗 靑瓷窯址" 2015

      42 湖南文化財硏究院, "康津 月下里遺蹟" 2009

      43 國立光州博物館, "康津 三興里窯址Ⅱ" 2004

      44 湖南文化財硏究院, "康津 三興里窯址 Ⅰ" 2004

      45 海剛陶磁美術館, "大田 舊完洞 窯址 어청골 靑磁窯址·瓦窯址 發掘調査 報告書" 2001

      46 韓正熙, "古墳 出土 磁器를 통해 본 高麗陶器의 編年" 충북대학교대학원 2012

      47 中部考古學硏究所, "原州 月松里遺蹟" 2012

      48 李鍾玟, "南部地域 初期靑磁의 系統과 特徵" 미술사연구회 (16) : 199-228, 2002

      49 安世眞, "公州 鶴峰里 鐵畵粉靑沙器 硏究" 고려대학교 2006

      50 충청문화재연구원, "保寧 花山洞 옥약골 墳墓群 및 倉洞里 움골 遺蹟" 2006

      51 강경숙, "世宗實錄 地理志 磁器所·陶器所 硏究- 忠淸道를 중심으로" 韓國美術史學會 202 : 1994

      52 田勝昌, "15~16세기 朝鮮時代 京畿道 廣州 官窯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