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회 노년 후기 여성의 삶의 재평가와 자아통합 = Life Revaluation and Ego-Integrity of Korean Women Aged 75 or Ol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8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노인후기 여성들이 자신의 전생애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으로, 이를 통해 그들이 어떻게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는지 그 틀을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세대의사람들이 이들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참여자는 노인후기에 해당하는 75세부터 83세까지의여성 16명이었다. 반 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한 일대일 면접을 사용하여,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회고하도록 했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자료분석 결과, 아동청소년기는 4개의 평가영역에서 6개의 주제, 성인기는 4개의 평가영역에서 5개의 주제, 노년기는 7개의 평가영역에서 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참여자대부분은 비교적 자신의 삶의 점수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객관적인 조건이 훌륭하지는 않았지만 지나온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현재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요인에는 자녀와 종교가 있었으며, 대부분은 함께 늙어가는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과 함께 다가오는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발달과 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노인후기 여성들이 자신의 전생애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으로, 이를 통해 그들이 어떻게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는지 그 틀을 파악할 수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노인후기 여성들이 자신의 전생애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으로, 이를 통해 그들이 어떻게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는지 그 틀을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세대의사람들이 이들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참여자는 노인후기에 해당하는 75세부터 83세까지의여성 16명이었다. 반 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한 일대일 면접을 사용하여,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회고하도록 했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자료분석 결과, 아동청소년기는 4개의 평가영역에서 6개의 주제, 성인기는 4개의 평가영역에서 5개의 주제, 노년기는 7개의 평가영역에서 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참여자대부분은 비교적 자신의 삶의 점수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객관적인 조건이 훌륭하지는 않았지만 지나온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현재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요인에는 자녀와 종교가 있었으며, 대부분은 함께 늙어가는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과 함께 다가오는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발달과 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at examining how the oldest old in Korea see their whole life,which is expected to provide a frame with which the aged like participants can reevaluate their own life and to produce findings of service to the younger generation in understanding the old. As participants, sixteen Korean women aged 75 or older were interviewed on the basis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being asked to recollect their whole life. Data analysis, which was based on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dicated that four themes were derived from four evaluation areas for a child and adolescent period, five themes from four evaluation areas for adulthood, and eight themes from seven evaluation areas for old age. Further, most of participants rated their life high and accepted their past life positively despite general conditions in adversity.
      Children and religion were those elements making participants' life meaningful. They also had acceptive attitudes toward death with a hope that their life would not be a burden to their childre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a developmental and cultural perspective.
      번역하기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at examining how the oldest old in Korea see their whole life,which is expected to provide a frame with which the aged like participants can reevaluate their own life and to produce findings of service to the younger g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at examining how the oldest old in Korea see their whole life,which is expected to provide a frame with which the aged like participants can reevaluate their own life and to produce findings of service to the younger generation in understanding the old. As participants, sixteen Korean women aged 75 or older were interviewed on the basis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being asked to recollect their whole life. Data analysis, which was based on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dicated that four themes were derived from four evaluation areas for a child and adolescent period, five themes from four evaluation areas for adulthood, and eight themes from seven evaluation areas for old age. Further, most of participants rated their life high and accepted their past life positively despite general conditions in adversity.
      Children and religion were those elements making participants' life meaningful. They also had acceptive attitudes toward death with a hope that their life would not be a burden to their childre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a developmental and cultural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정, "한국노인의 회상의 본질에 관한 연구" 36 (36): 58-60, 1997

      2 유정인, "집단 자서전쓰기가 노년기 자아통합,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와 체험적 의의" 한국노년학회 32 (32): 559-576, 2012

      3 조흥식,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학지사 2005

      4 김귀애, "중노년기 여성의 우울에 성인 자녀와의 갈등과 통제 전략이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7 (17): 303-321, 2012

      5 윤현숙, "인생의 보람과 후회: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비교"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8 (28): 5-35, 2008

      6 김교헌, "속마음 털어놓기와 노년기 건강" 13 : 23-40, 2002

      7 윤현숙,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중요 생애사건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27 (27): 807-827, 2007

      8 김태성,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 주거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57 (57): 381-402, 2012

      9 한경혜,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한국노년학회 24 (24): 87-106, 2004

      10 엄명용, "뇌졸중 노인을 위한 회상 그룹 운영과 평가: 노인 복지관을 중심으로" 20 (20): 21-35, 2000

      1 이은정, "한국노인의 회상의 본질에 관한 연구" 36 (36): 58-60, 1997

      2 유정인, "집단 자서전쓰기가 노년기 자아통합,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와 체험적 의의" 한국노년학회 32 (32): 559-576, 2012

      3 조흥식,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학지사 2005

      4 김귀애, "중노년기 여성의 우울에 성인 자녀와의 갈등과 통제 전략이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7 (17): 303-321, 2012

      5 윤현숙, "인생의 보람과 후회: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비교"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8 (28): 5-35, 2008

      6 김교헌, "속마음 털어놓기와 노년기 건강" 13 : 23-40, 2002

      7 윤현숙,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중요 생애사건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27 (27): 807-827, 2007

      8 김태성,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 주거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57 (57): 381-402, 2012

      9 한경혜,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한국노년학회 24 (24): 87-106, 2004

      10 엄명용, "뇌졸중 노인을 위한 회상 그룹 운영과 평가: 노인 복지관을 중심으로" 20 (20): 21-35, 2000

      11 김정순, "노인의 사회적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12 김영경, "노인상담: 경험적 접근" 시그마프레스 2006

      13 한성열, "노년기 회상에 관한 성차연구" 20 : 57-76, 1990

      14 홍주연, "노년기 회상기능에 관한 성차 연구" 5 (5): 117-129, 2000

      15 이인정, "노년기 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 연구 : 건강,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을 중심으로" 19 (19): 35-50, 1999

      16 이가옥, "노년기 자아통합 집단 프로그램 개발: “나의 살아온 이야기"" 한국노년학회 24 (24): 37-52, 2004

      17 이인정, "노년기 삶의 사건들,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23 : 199-233, 1994

      18 Landman, J., "What might have been: Counterfactual Thought Concerning Pesonal Decisions" 83 : 473-477, 1992

      19 Drolet, J. L., "Transcending death during early adulthood: Symbolic immortality, death anxiety, and purpose in life" 46 (46): 148-160, 1990

      20 Neugarten, B. L., "Time, Age, and the Life Cycle" 136 (136): 887-894, 1979

      21 Rubin, D. C., "Things learned in early adulthood ard rememvered best" 26 : 3-19, 1998

      22 Levinson, D. J., "The season's of a man's life" Knopf 1978

      23 Maslow, A.,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Viking Press 1971

      24 Shieman, S., "Status Inequality and Occupational Regrets in Late Life" 27 : 692-724, 2005

      25 Krause, N., "Role-Specific Control, Personal Meaning, and Health in Late Life" 25 (25): 559-586, 2003

      26 Erikson, E. H., "Reflections of on Dr. Borg's life cycle" 105 : 1-28, 1976

      27 Webster, J. D., "Memory lane milestones: Progress in reminiscenc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28 Durlak, J. A., "Measurement of the fear of death: An examination of some existing scales" 28 (28): 545-547, 1972

      29 Wong, P. T., "Meaning therapy:An integrative and positive existential psychotherapy" 40 (40): 85-93, 2010

      30 Baumeister, R. F., "Meaning of life" The Guilford Press 1991

      31 Reker, G. T.,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nd well-being : A life-span perspective" 42 (42): 44-49, 1987

      32 Frankl, V., "Man’s Search fo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Pocket 1963

      33 Lewis, M. I., "Life-review therapy: Putting memories to work in individual and group psychotherapy" 29 : 165-173, 1974

      34 Erikson, E. H., "Identity and the life cycle (Vol. 1)" WW Norton & Company 1980

      35 Lerner,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1.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Wiley 1029-1143,

      36 Newman, B. M.,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logical Approach" Brr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1

      37 Lewchanin, S., "Choices in Life: A Clinical Tool for Facilitating Midlife Review" 8 (8): 193-196, 2001

      38 Morgan, J. C., "Becomingold" Springer 1979

      39 Havighurst, R. J., "An exploratory study of reminiscence" 27 (27): 245-253, 1972

      40 Giorgi, A.,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n certa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25 :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