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nalyzes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Paerim(稗林) that was allegedly writte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mong the unofficial history series in the late Choson. Paerim(稗林) is one representative unofficial history series well k...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65014
安大會 (명지대학교)
2005
-
Paerim(稗林) ; Unofficial History Series ; Late Choson ; Kim Ryeo(金鑢) ; Sim No-sung(沈魯崇) ; 稗林 ; 野史叢書 ; 朝鮮後期 ; 金鑢 ; 沈魯崇
KCI등재
학술저널
299-327(29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Paerim(稗林) that was allegedly writte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mong the unofficial history series in the late Choson. Paerim(稗林) is one representative unofficial history series well k...
This paper analyzes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Paerim(稗林) that was allegedly writte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mong the unofficial history series in the late Choson. Paerim(稗林) is one representative unofficial history series well known to the academic circle earlier on. However, it has not been analyzed scientifically on its value as a historical material and the process of compilation.
The compiler of Paerim was not clarified, but it is presumed that one scholar, a man of high lineage belonging to the noron(老論) party acquainted with Sim No-sung(沈魯崇) family compiled this series. Paerim emerged in the last stage of the publication of unofficial history series in the late Choson and it was proved that Paerim was reconstructed through the transcription of Daedonpaerim. However, Paerim has its own originality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Paerim collected the unofficial histories related with political history, on the basis of absorbing the virtues of the existing unofficial history series. Therefore, it shows the overall features of unofficial history in the nineteenth century.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야사총서 稗林의 가치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稗林은 일찍부터 영인되어 학계에서 널리 이용된 대표적인 야사총서다. 하지만 사료...
이 논문은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야사총서 稗林의 가치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稗林은 일찍부터 영인되어 학계에서 널리 이용된 대표적인 야사총서다. 하지만 사료로서의 가치나 편찬 과정에 대해 깊이 있는 학술적 분석이 가해지지 않았다. 본고는 패림이 지닌 가치와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패림의 편찬자는 구체적으로 이름이 밝혀지지 않지만, 대동패림을 빌려서 轉寫할만큼 沈魯崇 집안과 친분이 두터운 서울 경기 지역의 노론 명문가의 일원이며, 역사에 관심이 깊은 학자일 가능성이 높다.
패림은 조선후기 야사총서 편찬의 과정 속에서 출현했으며, 10여종의 비중이 큰 야사총서 가운데 마지막 단계에 위치한다. 패림에 수록된 개별야사의 분석을 통해서, 패림은 大東稗林의 轉寫를 통하여 형성되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패림은 金鑢가 편찬한 寒皐觀外史ㆍ倉可樓外史의 계통을 밟은 野史叢書群인 대동패림, 패림, 廣史 계열에 속한다. 그러나 패림은 내용의 일부를 鵝洲雜錄에서 취하였고, 패림만의 특색을 보여주는 正宗紀事, 純祖紀事, 憲宗紀事, 哲宗紀事를 총서의 전면에 내세웠으며, 비교적 방대한 분량을 지닌 야사인 我我錄, 辛壬紀年提要, 修書雜志와 같은 야사를 포함함으로써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패림은 기존의 야사총서가 지닌 장점을 흡수한 바탕 위에서 주로 정치사 관련 야사를 수록하였다. 따라서 19세기 야사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과 야사이해의 실상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자료다.
참고문헌 (Reference)
1 安大會, "金鑢의 야사정리와 寒皐觀外史의 가치(寒皐觀外史 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2 安大會, "조선후기 野史叢書 편찬의 의미와 과정" 민족문화추진회 15 : 1992
3 金根洙, "野史叢書의 總體的 硏究" 韓國學硏究所 1976
4 金近洙, "野史叢書의 個別的 硏究" 韓國學硏究所 1978
5 金鑢, "藫庭遺藁, 영인본" 계명문화사 1984
6 鄭亨愚, "稗林과 大東野乘의 異同" 2 : 1971
7 "稗林 10책, 영인본" 탐구당 1969
8 末松保和, "李朝의 野史叢書에 대하여(靑丘史草)" 1966
9 金慶洙, "朝鮮後期 金鑢의 野史叢書 編纂과 그 意味" 韓國史硏究會 119 : 2002
10 신상필, "寒皐觀外史의 題後文을 통해 본 조선후기 필기 의식" 대동한문학회 22 : 2005
1 安大會, "金鑢의 야사정리와 寒皐觀外史의 가치(寒皐觀外史 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2 安大會, "조선후기 野史叢書 편찬의 의미와 과정" 민족문화추진회 15 : 1992
3 金根洙, "野史叢書의 總體的 硏究" 韓國學硏究所 1976
4 金近洙, "野史叢書의 個別的 硏究" 韓國學硏究所 1978
5 金鑢, "藫庭遺藁, 영인본" 계명문화사 1984
6 鄭亨愚, "稗林과 大東野乘의 異同" 2 : 1971
7 "稗林 10책, 영인본" 탐구당 1969
8 末松保和, "李朝의 野史叢書에 대하여(靑丘史草)" 1966
9 金慶洙, "朝鮮後期 金鑢의 野史叢書 編纂과 그 意味" 韓國史硏究會 119 : 2002
10 신상필, "寒皐觀外史의 題後文을 통해 본 조선후기 필기 의식" 대동한문학회 22 : 2005
11 金鑢, "寒皐觀外史 5책, 영인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2 金鑢, "寒皐觀外史 1-4책, 영인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13 沈魯崇, "孝田散稿, 연세대 소장 필사본"
14 安大會, "大東稗林에 대하여(靜嘉堂本大東稗林 1권)" 國學資料院 1991
15 沈魯崇, "大東稗林, 영인본" 국학자료원 1991
16 趙潤濟, "古書往來1" (99) : 1963
17 金鑢, "倉可樓外史, 연세대 소장 필사본"
18 허준구, "<寒皐觀外史題後> 분석을 통해 본 金鑢의 野史編纂과 認識(석우박민일박사 화갑기념국어국문학논총)" 319-331,
기획논문 : 대주제: 조선전기 영남사림파와 강우학문 ; 점필재 김종직의 선도와 강우학파
일반논문 : 『패림(稗林)』과 조선후기 야사총서(野史叢書)의 발달
일반논문 : 일한비교존양사상연구 -존화양이(尊華攘夷)와 존왕양이(尊王攘夷)의 사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98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