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경력 결정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s and career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82644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한림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89 판사항(6)

      • DDC

        15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146 p. :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주일
        권말부록: 경력 미래시간 조망 척도 등
        참고문헌: p. 114-12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played a major role in career decision,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attempt to define domain specific future time perspective except occupational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related variables.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conceptualize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s,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s. Study 1 was performed to develop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and validate this scale. The study 1 consisted of four sub-studies, in which study 1-1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had nine items among three factors such as 'opportunity', 'valence', and 'connectiveness'. Study 1-2 indica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had acceptabl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based on intra-class coefficients, respectively,
      from test-retest across three weeks, correlation with prior scales assessing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orrelation with Big five personalities. With regard to cross
      validity, study 1-3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had moderate correlation with Big five personalities, self-esteem, and proactive personality among
      participants in life long education center. Study 1-4 ensured incremental validity, as showing additional variance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after
      controlling for future time perspective.
      Study 2 in this dissertation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from path model
      indica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ut not career indecision. Additionally,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mediated between personality variables including conscientious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and career variables includ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The results of study 2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lays a heavy role on career decision process and functions as bridge between personality and career decision process.
      Study 3 investigated the impact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from full-time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private companies through online survey. The results from path model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directly predicted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path from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to career commitment was different along with age and job title. The results of study 3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has predictive role in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 among employees.
      Study 4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with two sub-studies. Study 4-1 administered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rogram to participants in life long education center for three weeks, once per week for 90 minutes each. The study 4-1 foun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redict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ut not career indecision. Study 4-2 was conducted with 2 (pretest vs. post test) × 2
      (intervention vs. control) mixed design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from repeated measure ANOVA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pretest vs. post test) and group (intervention vs. control) f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ut not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of study 4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causally influenc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This dissertation ha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dissertation contributed to extend theoretical aspect as conceptualizing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in terms of domain specific future time perspective. Second, this dissertation prov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reer decision process and job attitudes. Third,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would be widely used to future research in the career field.
      Fourth, the intervention program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would be practically utilized in the future to support career decision and job attitude.
      번역하기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played a major role in career decision,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attempt to define domain specific future time perspective except occupational future time persp...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played a major role in career decision,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attempt to define domain specific future time perspective except occupational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related variables.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conceptualize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s,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s. Study 1 was performed to develop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and validate this scale. The study 1 consisted of four sub-studies, in which study 1-1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had nine items among three factors such as 'opportunity', 'valence', and 'connectiveness'. Study 1-2 indica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had acceptabl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based on intra-class coefficients, respectively,
      from test-retest across three weeks, correlation with prior scales assessing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orrelation with Big five personalities. With regard to cross
      validity, study 1-3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had moderate correlation with Big five personalities, self-esteem, and proactive personality among
      participants in life long education center. Study 1-4 ensured incremental validity, as showing additional variance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after
      controlling for future time perspective.
      Study 2 in this dissertation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from path model
      indica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ut not career indecision. Additionally,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mediated between personality variables including conscientious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and career variables includ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The results of study 2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lays a heavy role on career decision process and functions as bridge between personality and career decision process.
      Study 3 investigated the impact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from full-time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private companies through online survey. The results from path model show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directly predicted occupationa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path from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to career commitment was different along with age and job title. The results of study 3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has predictive role in job
      attitudes and career behavior among employees.
      Study 4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exploration
      with two sub-studies. Study 4-1 administered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rogram to participants in life long education center for three weeks, once per week for 90 minutes each. The study 4-1 foun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redict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ut not career indecision. Study 4-2 was conducted with 2 (pretest vs. post test) × 2
      (intervention vs. control) mixed design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from repeated measure ANOVA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pretest vs. post test) and group (intervention vs. control) f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ut not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of study 4 suggest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causally influenc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This dissertation ha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dissertation contributed to extend theoretical aspect as conceptualizing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in terms of domain specific future time perspective. Second, this dissertation proved that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reer decision process and job attitudes. Third,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would be widely used to future research in the career field.
      Fourth, the intervention program of career future time perspective would be practically utilized in the future to support career decision and job attitu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학위논문은 경력 미래시간 조망의 개념을 정립하여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경력결정, 직무 동기, 및 경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 수
      행된 4개의 연구에 대해서 요약하면, 연구 1의 목적은 경력 미래시간 조망을 개념화하여 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연구 1은 네 연구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1-1에서는 평행분
      석,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기회’, ‘유인가’, ‘연결성’의 세 요인에서 각각 3문항씩 총 9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문항 반응 이론 중에 하
      나인 Rasch 평정 모형을 적용하여서 내용 타당도를 확충하였다. 연구 1-2에서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의 기회, 유인가, 연결성 요인과 선행 연구 척도의 기회, 유인가, 연결성 요인과 각각
      보통 이상의 상관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특성 5요인의 외향성 및 성실성과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상관이 있는 반면, 다른 변인과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보임으
      로써 변별 타당도를 보증했다. 3주간에 걸쳐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양호한 신뢰도 값을 얻었으며, 이로써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증했다. 연구 1-3에서는 특성 5요인, 주도성, 자존감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성실성, 주도성, 자존감과 각각 정적인 상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교차 타당도를 구축했다. 연구 1-4에서는 선행 연구의 미래시간 조망이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경력 미래결정, 및 경력 탐색행동을 설명하고 난후에도,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이들 각각을 추가적으로 더 설명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증분 타당도를 확증했다. 논의에서는 영역 특정적 미래 시간 조망을 측정하는 척도 개발의 시사점과 연구에서 활용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척도 타당화 과정에서 일반인 표본이 작은 점과 검사-재검사가 짧은 기간에 행해진 것에 대해서 연구 1의 한계점으로 지적하였다. 연구 2에서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경력 미결정, 및 경력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경로 모형을 통한 결과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경력 미결정을 부적으로 예측하고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한다는 것을 보였지만, 경력 탐색행동에서는 유의하지 못했다. 연구 2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을 예측하는 개인차 변인을 탐색하여, 개인차 변인, 경력 미래시간 조망, 그리고 경력 관련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서 성실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이 경력 미래시간조망을 예측하는 것을 밝혔다. 연구 2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차 변인과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경력 미결정 및 경력 탐색행동 사이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매개한다는것을 밝혔다. 논의에서 경력 탐색행동에 대해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것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 경력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가지는 이론적인 시사점, 그리고 설문 연구 및 경로모형 분석의 한계점에 대해서 다루었다. 연구 3의 목적은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종업원들의 직무 태도 변인인 직무 자기효능감, 경력 몰입, 조직 몰입, 이직 의도, 및 경력 개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경로모형 분석을 통한 결과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은 직업 자기효능감, 조직 몰입, 경력 몰입, 이직 의도, 및 경력 개발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 3의 목적에 따른 연구 결과 외에 부가적으로 경력 미래시간 조망과 이직 의도 사이에 직무 태도인 조직 몰입과 경력 몰입이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직급과 연령대의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서, ‘경력미래→경력몰입’과 같이 집단별로 차이나는 경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에서이직을 설명하는 모형으로서 연구 의의, 미래시간 조망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함의, 인사 및 교육 부서에서 종업원의 미래경력 시간 조망에 근거한 사원 선발이나 증진 프로그램이 조직에 가져다 줄 유익함에 대해서 다루었다. 연구 4의 목적은 설문 연구에 따른 인과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미결정, 및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예비 연구에서는 기회, 유인가, 연결성의 세 모듈로 이루어진 경력 미래시간 조망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4-1에서는 사전, 사후 설계에서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대한 변화를 표본 대응 t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프로그램 처치 전에 비교해서 후에 경력 미래시간 조망,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및 경력 탐색행동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경력 미결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4-2에서는 실험, 통제와 사전, 사후의 혼합 설계에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한 결과, 집단 (실험, 통제)과 시점 (사전, 사후)간에 상호작용이 경력 미래시간 조망,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및 경력 탐색행동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경력 미결정에서는 상호작용이
      번역하기

      본 학위논문은 경력 미래시간 조망의 개념을 정립하여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경력결정, 직무 동기, 및 경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 수 ...

      본 학위논문은 경력 미래시간 조망의 개념을 정립하여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경력결정, 직무 동기, 및 경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 수
      행된 4개의 연구에 대해서 요약하면, 연구 1의 목적은 경력 미래시간 조망을 개념화하여 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연구 1은 네 연구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1-1에서는 평행분
      석,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기회’, ‘유인가’, ‘연결성’의 세 요인에서 각각 3문항씩 총 9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문항 반응 이론 중에 하
      나인 Rasch 평정 모형을 적용하여서 내용 타당도를 확충하였다. 연구 1-2에서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의 기회, 유인가, 연결성 요인과 선행 연구 척도의 기회, 유인가, 연결성 요인과 각각
      보통 이상의 상관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특성 5요인의 외향성 및 성실성과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상관이 있는 반면, 다른 변인과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보임으
      로써 변별 타당도를 보증했다. 3주간에 걸쳐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양호한 신뢰도 값을 얻었으며, 이로써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증했다. 연구 1-3에서는 특성 5요인, 주도성, 자존감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성실성, 주도성, 자존감과 각각 정적인 상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교차 타당도를 구축했다. 연구 1-4에서는 선행 연구의 미래시간 조망이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경력 미래결정, 및 경력 탐색행동을 설명하고 난후에도,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이들 각각을 추가적으로 더 설명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증분 타당도를 확증했다. 논의에서는 영역 특정적 미래 시간 조망을 측정하는 척도 개발의 시사점과 연구에서 활용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척도 타당화 과정에서 일반인 표본이 작은 점과 검사-재검사가 짧은 기간에 행해진 것에 대해서 연구 1의 한계점으로 지적하였다. 연구 2에서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경력 미결정, 및 경력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경로 모형을 통한 결과는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경력 미결정을 부적으로 예측하고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한다는 것을 보였지만, 경력 탐색행동에서는 유의하지 못했다. 연구 2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을 예측하는 개인차 변인을 탐색하여, 개인차 변인, 경력 미래시간 조망, 그리고 경력 관련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서 성실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이 경력 미래시간조망을 예측하는 것을 밝혔다. 연구 2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차 변인과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경력 미결정 및 경력 탐색행동 사이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매개한다는것을 밝혔다. 논의에서 경력 탐색행동에 대해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것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 경력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가지는 이론적인 시사점, 그리고 설문 연구 및 경로모형 분석의 한계점에 대해서 다루었다. 연구 3의 목적은 경력 미래시간 조망이 종업원들의 직무 태도 변인인 직무 자기효능감, 경력 몰입, 조직 몰입, 이직 의도, 및 경력 개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경로모형 분석을 통한 결과에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은 직업 자기효능감, 조직 몰입, 경력 몰입, 이직 의도, 및 경력 개발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 3의 목적에 따른 연구 결과 외에 부가적으로 경력 미래시간 조망과 이직 의도 사이에 직무 태도인 조직 몰입과 경력 몰입이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직급과 연령대의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서, ‘경력미래→경력몰입’과 같이 집단별로 차이나는 경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에서이직을 설명하는 모형으로서 연구 의의, 미래시간 조망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함의, 인사 및 교육 부서에서 종업원의 미래경력 시간 조망에 근거한 사원 선발이나 증진 프로그램이 조직에 가져다 줄 유익함에 대해서 다루었다. 연구 4의 목적은 설문 연구에 따른 인과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경력 미래시간 조망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미결정, 및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예비 연구에서는 기회, 유인가, 연결성의 세 모듈로 이루어진 경력 미래시간 조망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4-1에서는 사전, 사후 설계에서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대한 변화를 표본 대응 t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프로그램 처치 전에 비교해서 후에 경력 미래시간 조망,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및 경력 탐색행동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경력 미결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4-2에서는 실험, 통제와 사전, 사후의 혼합 설계에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한 결과, 집단 (실험, 통제)과 시점 (사전, 사후)간에 상호작용이 경력 미래시간 조망, 경력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및 경력 탐색행동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경력 미결정에서는 상호작용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0

      2 김범준, "시간관과 행복",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1), 49-67, 2014

      3 오정아, "타임 패러독스", 미디어월, 2010

      4 김병석, 김봉환, 정철영, "학교진로상담 2판", 서울: 학지사, 2006

      5 이훈진(Hoon-Jin Lee), 원호택(Hotaek Won), "자기개념과 편집증적 경향",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4(2),15-29, 1995

      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7 이해리, 조한익,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8(2), 353-371, 2006

      8 김병숙, 정태욱, "전문대학생의 취업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분석", 진로교육연구,18(1). 99-118, 2005

      9 유성경, 심혜원,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16(4), 189-206, 2002

      10 설현수, "Rasch 평정척도 경계점을 이용한 기준선 설정 방안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22(2). 369-385, 2009

      1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0

      2 김범준, "시간관과 행복",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1), 49-67, 2014

      3 오정아, "타임 패러독스", 미디어월, 2010

      4 김병석, 김봉환, 정철영, "학교진로상담 2판", 서울: 학지사, 2006

      5 이훈진(Hoon-Jin Lee), 원호택(Hotaek Won), "자기개념과 편집증적 경향",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4(2),15-29, 1995

      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7 이해리, 조한익,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8(2), 353-371, 2006

      8 김병숙, 정태욱, "전문대학생의 취업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분석", 진로교육연구,18(1). 99-118, 2005

      9 유성경, 심혜원,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16(4), 189-206, 2002

      10 설현수, "Rasch 평정척도 경계점을 이용한 기준선 설정 방안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22(2). 369-385, 2009

      11 장재윤, "연구개발 전문가의 조직적응:조직몰입 및 전문분야몰입",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

      12 김민희, "한국인의 지혜 개념 탐색과 중 노년기 삶에서 지혜의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3 노혜미, 한태영, 한영석, 안상수, 신강현, 유태용, 탁진국, "성격이 실직자들의 행동,생애만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07-124, 2006

      14 홍세희, 조용래,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의 구성 : Rasch 평정척도모형의 적용",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865-880, 2006

      15 유태용, 한지현, "상사의 정서지능이 부하의 태도와 상사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6 박태구, 유태용 ( Tae Yong Yoo ), "신임경찰 교육장면에서 성격의 5요인 및 생활경험과수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7 이주일, "안전애착, 5요인성격, 미래시간 관점이 생산적 노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6(2). 341-370, 2013

      18 김명언, 장재윤, 이지영, "대학 4학년생들의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 성과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지. 11(1). 1-23, 2005

      19 Lee, H.,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areer commitment variables to thepolice officers and fire officers", 경찰학논총, 6(2), 39-61, 2011

      20 이보람, 이보람,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중앙대학교 문학석사학위논문, 2013

      21 이태규, "외식창업자의 성격특성이 고객지향성, 직무만족 및 고객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조리외식영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22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23 탁진국 ( Jin Kook Tak ), 황애영 ( Ae Young Hwang ),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409-428, 2011

      24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자아 탄력성,애착,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2004

      25 박인조, 이주일, "무엇이 장노년의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고 받는가?: 시간적 관점에서 조명",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1), 83-105, 2014

      26 박인조, 이주일, "대학생의 성격, 미래시간 조망 및 진로결정의 관계:미래시간 조망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015 2월 발간 예정), 2015

      27 반재곤, "미래시간조망이 대학생의 경력선택에 미치는 영향 : 미래시간조망 효과의양적 및 질적 분석",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8 오은혜, 탁진국,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미래시간전망과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4),727-74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