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模因论视域下的跨⽂化交际语⽤失误及对策研究 = A study of pragmatic failur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me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91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는 인간에게 매우 중요하다. 생물과 마찬가지로, 문화도 물려받을 수 있고, 퇴보할 수 있다. 밈은 유전자와 유사하게 문화적인 유산의 결합이다. 중국에서는 사회 실용주의 밈학 관련 연...

      문화는 인간에게 매우 중요하다. 생물과 마찬가지로, 문화도 물려받을 수 있고, 퇴보할 수 있다. 밈은 유전자와 유사하게 문화적인 유산의 결합이다. 중국에서는 사회 실용주의 밈학 관련 연구가 처음 발표된 이후 밈학 및 언어학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20년 가까이 진행돼 밈과 실용주의의 연관성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memetics과 교차 문화 실용주의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더 적다. 사실, 문화간 소통에서는, 문화적 밈을 사용했고, 이것은 의사소통의 실패를 야기한다. 이러한 실패들은 때때로 언어학으로 설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밈학을 문화 간 실용주의와 결합하고, 밈의 전망에서 오는 실패에 대해, 한자의 다중 의미, 중국어 표현의 간접성, 정보 전달의 모호성, 문장 패턴의 실용적 기능의 전문성, 문맥의 한계에 주목하고, 다른 국적 내의 문화적 밈의 차이를 인식하며, 교차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를 적절히 확장하기 위한 관용적 전략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략을 제안한다. 밈의 용어와 개념은 1976년 옥스퍼드 동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그의 저서 이기적인 유전자에서 처음 소개하였다. meme라는 용어의 뿌리는 gene이다. 일부 중국 학자들은 meme를 mimu觅母로 번역했다. 중국 학자 허지란은 이 이론의 기원, 유전자 진화와의 관계, 소리 근접성의 원리를 연구하기 위한 노력으로 밈 이라는 용어를 모이인模因 으로 번역했다. 그는 또한 언어의 원리에 대한 설명에 모이인 을 적용했다. 그 후 학자들은 모인(moyin)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해 왔고, 기억학인 모인(moyin) 이론을 발전시켰다. 중국에서는 기억학과 언어학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20년 가까이 되었고, 주로 언어 온톨로지 연구와 언어 교육에 있다. 본 논문은 기억학과 문화 간 실용주의를 결합해, 기억학의 전망으로부터 중국-한 커뮤니케이션의 공통 유형과 실용적 실패 이유를 분석하고, 맥락 한계 전략을 제기하며, 중한 실용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lture is crucially important for human beings. The same as creatures, culture can inherit and evolute as well. Meme, by analog with gene, is a cultural unite of inheritance. In China, since the first research which is regarding social-pragmatic meme...

      Culture is crucially important for human beings. The same as creatures, culture can inherit and evolute as well. Meme, by analog with gene, is a cultural unite of inheritance. In China, since the first research which is regarding social-pragmatic memetics was published, the study on relevance of memetics and linguistics has reached near 20 years and most researchers are applying memetics on the research of language ontology and language teaching.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meme and pragmatics has been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However, there is less study on relevance of memetics and cross-cultural pragmatics. In fact, in cross-cultural communication, people from culture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lthough the positive thoughts are mutual, will always be affected by their own cultural memes, and this results in creating communicating failures. These failures are sometimes difficulty to explain by language ontology. Therefore, this paper combines memetics with cross-cultural pragmatic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communication and meme transmission, describ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Korean communication failures from the prospect of memetics, analyzing failure cases in terms of multi-meanings of Chinese words, indirectness of Chinese expression, blurrines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specialties of pragmatical function of sentence patterns, proposing strategies, which include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context, noticing differences of cultural memes within different nationalities, performing tolerant strategies to a proper extend on the failures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amount of pragmatical fail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言 Ⅱ. 语言中的模因现象 Ⅲ. 模因论视角下语用失误归类分析 Ⅳ. 应对策略——重视跨文化交际中的语境制约功能 Ⅴ. 结论 참고문헌 Abstract
      • Ⅰ. 序言 Ⅱ. 语言中的模因现象 Ⅲ. 模因论视角下语用失误归类分析 Ⅳ. 应对策略——重视跨文化交际中的语境制约功能 Ⅴ. 结论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