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진 계측법과 SCD(Smart Centering Device)로 하방안구이동량과 매개 변수를 측정하여 누진굴절력렌즈 처방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원거리 사진 계측 장치를 제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96035
대전 :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안경광학과 , 2024. 8
2024
한국어
대전
viii, 49 p. ; 26 cm
지도교수: 마기중
I804:25018-20000080909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진 계측법과 SCD(Smart Centering Device)로 하방안구이동량과 매개 변수를 측정하여 누진굴절력렌즈 처방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원거리 사진 계측 장치를 제작...
본 연구는 사진 계측법과 SCD(Smart Centering Device)로 하방안구이동량과 매개 변수를 측정하여 누진굴절력렌즈 처방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원거리 사진 계측 장치를 제작하여 원거리 동공중심간거리, 광학중심점높이, 정점간거리, 경사각 및 안면각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근거리 작업 자세를 측면에서 동영상으로 촬영하였으며 근거리 동공중심간거리는 정면에서 동공반사점을 촬영하여 측정하였다. 하방안구이동량은 측정한 정점간거리, 경사각 및 근거리 작업 자세 계측값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그리고 사진 계측값과 SCD 측정값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성인 25명을 선정하였다. 근거리 작업 거리는 33cm 미만이 21명(26.15±4.25cm), 33cm 이상이 4명(36.58±4.39cm)으로 대부분 짧게 측정되었다. 하방안구이동량은 근거리 작업 거리가 33cm 미만인 대상자들이 10.49±3.39mm, 33cm 이상인 대상자들이 7.91±2.97mm로 33cm 미만인 대상자들이 더 길게 측정되었다. 또한 근거리 작업 거리가 짧아질수록 하방안구이동량은 길게 측정되었다.
사진 계측법과 SCD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 작업 거리에서 단안과 양안의 동공중심간거리와 안면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광학중심점높이, 정점간거리 및 경사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사진 계측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하방안구이동량은 10.12±3.33mm로 SCD 측정값인 9.67±1.99mm보다 0.46±3.35mm 크게 측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CD 측정 모듈(Module)인 Reference ruler에 의한 피팅 상태 변화로 광학중심점높이는 SCD 측정값과 사진 계측값의 일치 구간이 넓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진 계측법을 이용하여 Reference ruler를 착용하기 전과 후에 광학중심점높이를 측정하여 Reference ruler에 의한 측정 오차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Reference ruler 착용 전과 보정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누진대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근거리 작업 자세와 하방안구이동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하방안구이동량과 매개 변수 측정값을 두 계측법을 이용하여 비교한 후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에서 누진굴절력렌즈 처방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