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소앙(1887~1957)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이자 사상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을 기초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68097
2011
Korean
학술저널
151-16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소앙(1887~1957)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이자 사상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을 기초하...
조소앙(1887~1957)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이자 사상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을 기초하고, 각종 선언서 등을 작성하며 이론가로 역할하였다. 뿐만 아니라 三均主義를 창안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치이념과 목표를 정립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조소앙은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역사 철학 종교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의 대표적인 저술 중 하나가 『소앙집』이다. 『소앙집』은 1930년 전후에 쓴 그의 글을 모아 엮은 것으로, 1932년 9월 중국 상해에서 간행되었다. 『소앙집』의 구성은 크게 상편과 하편으로 되어 있다. 상편은 「韓國現狀及其革命趨勢」라는 史論으로 모두 6개의 章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2·3장은 일제 식민지하에서 한민족의 상태를 정치·교육·경제로 나누어 서술한 것이고, 제4장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역대 사회제도를 정치·경제·교육으로 나누어 분석 비판한 글이다. 제5장은 대원군 집권 이래 3·1운동에 이르기까지 5차례에 걸친 혁명운동에 대해 그 특징·주체·방법·이념·결과 등을 정리한 것이고, 제6장은 광주학생운동의 발발과 그 전개과정에 대해 서술한 글이다. 그리고 하편은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하는 동안 발표한 각종 선언서·성명서 등을 모아 엮었다. 『소앙집』은 전문적인 역사서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수록된 글들에는 그의 역사관이 잘 나타나 있다. 특히 「韓國革命之歷史的基礎」와 「韓國革命運動之體系」라는 글 속에는 역사의 주체를 일반 백성으로 이해하는 ``민중사관``이 짙게 배어 있다. 삼국시대 이래 각종 문헌을 근거로 역대 사회제도를 분석하고, 일반 백성들이 정치·경제·교육의 면에서 불평등한 지위에 있었음을 논증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대원군 이래 3·1운동 때까지 혁명운동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운동의 주체가 황족이나 지식계급에서 점차 민중·청년·남녀학생·노농계급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논증하기도 하였다. 『소앙집』을 통해 조소앙이 역사학자로서의 면모를 갖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소앙은 역사와 관련된 많은 문헌들을 섭렵하였고, 역사를 이해하고 서술하는 자신만의 史論을 갖고 있었다. 그의 역사관은 역사의 주체를 민중으로 이해하는 ``민중사관``이었다. 앞으로 그의 많은 글들을 분석한다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조소앙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jo So Ang(1887-1957) is famed to us as a patriotic activist and ideologu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He not only had drafted the constitution and several declarations of the Provisional G...
Tjo So Ang(1887-1957) is famed to us as a patriotic activist and ideologu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He not only had drafted the constitution and several declaration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also made ``Samgyunjuoui``(三均主義: the Principle of Three Equality) as an political ideology and goal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acting for independence movement, Tjo So Ang had written many works including history, philosophy, and religion etc. The most famous one of them is Soangjip(素昻集). Soangjip is a collection of Tjo So Ang`s writings about 1930. It was published in September, 1932 in Shanghai. Soangjip is made of two parts. The one is his personal view on history titled ``the Status Quo of Korea and the Revolutionary Tendency``(韓國現狀及革命趨勢) in six chapters. The first, second, third chapters describe Korean politics, education, and economy under Japanese colonialism. The fourth chapter analyzes and criticizes the so-called social system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from Three Kingdoms through late Joseon Dynasty. The fifth chapter speaks on the characteristic, main body, method, ideology, and result of the five revolutionary movements from Daewon``gun``s sizure of power through March First Movement. The sixth chapter writes the outbreak and development of Gwangjoo Student Movement. And the other is compiled several declarations and statements released dur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Soangjip cannot be called professional history book, but we can find Tjo So Ang`s historical consciousness in his writings. Especially, there is the people-oriente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Historic Base of Korean Revolution``(韓國革命之歷史的基礎) and ``the System of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韓國革命運動之體系). Because, analyzing many social systems in several historical materials, he had focused on the people`s unequal status in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from Three Kingdoms through the present. And he had tried to analyze the revolutionary movements after Daewon`gun through March First Movement, and asserted that the main bodies of the movements had been changing from royal families and the intellectual class to the people, the youth, students, and the labour class. We can confirm that Tjo So Ang has an aspect of historian through Soangjip. Tjo So Ang had read many history books, and obtained his private, special view on history. His historical view was the people-oriented. If we study Tjo So Ang`s writings further, we would find out the new phase of Tjo So Ang which not found yet.
서울,경기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지 유적 검토 -평면형태 및 주거지내(內) 출토 무문양토기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기와 유통 연구 -가마의 위치와 운송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