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프로스테틱 특수분장이 심리.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rosthetic Special Make-up up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2903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111 p. : 채색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성신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경희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권말에 부록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서는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외모의 장애는 사회로부터 배척받고 그로 인한 장애인들의 심리적 압박은 잘못된 행동 결과 혹은 사회 부적응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선천적 혹은 후천적 사고에 의해 생기는 신체손상장애인을 대상으로 프로스테틱 특수분장을 활용한 보형물 착용이 심리적, 생리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방법과 실험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153명의 신체손상장애인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공포증 통제의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설문지 조사를 실시한 대상자 중 10명을 편의 추출하여 뇌파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내용은 10인을 대상으로 보형물 착용 전, 후의 심리적 특성의 변화와 뇌파값 변화를 측정하였고 보형물 제작 중 테스트 시의 뇌파값을 측정하여 보형물 착용 전 뇌파값과 비교하였으며, 4가지의 사진자극물에 대한 뇌파값 반응을 보형물 착용 전 뇌파값과 비교하였다. 또한 보형물 착용 3개월 후 심층 인터뷰를 통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대상자의 보형물 착용 전, 후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공포증 통제에 대한 심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자기효능감 중에서 자기조절효능감 및 자신감, 자아존중감 중에서 자기유능감과 자기주장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보형물을 착용한 후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자기유능감과 자기주장이 더 증가하였다.
      둘째, 실험대상자의 보형물 착용 전 뇌파값과 보형물 착용 테스트시의 뇌파 값을 비교해 본 결과 좌, 우측 전전두엽의 쎄타파, 우측 두정엽에서 알파파와 베타파에서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대상자들이 보형물 착용 테스트 시에 불안한 심리 상태를 보였음을 의미한다.
      셋째, 실험대상자의 보형물 착용 전, 후 뇌파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우측 전두엽의 알파파, 우측 측두엽의 감마파와 SEF50에서 긍정적인 뇌파 리듬이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손상장애인들이 보형물 착용 전보다 착용 후에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실험대상자의 기본뇌파와 4종류의 사진자극물에 대한 반응시의 뇌파값을 비교하였다. 기본뇌파와 자극물1(자신의 신체손상 부위을 촬영한 사진)을 응시했을 때 나타난 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쎄타파 및 알파파의 감소와 감마파, 베타파의 증가로 인해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자극물1에 반응했을 때 긴장과 스트레스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기본뇌파와 자극물2(자신의 신체손상 부위를 포토샵으로 가상 복원한 사진)를 응시했을 때의 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쎄타파 및 알파파의 감소와 감마파, 베타파의 증가로 인해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으며, 이것은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기본뇌파와 자극물3(타인의 신체손상 부위를 촬영한 사진)의 반응에 대한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우측 전두엽에서 쎄타파와 알파파의 증가, 감마파의 감소를 보이면서 긍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그러나 좌측 전전두엽에서 쎄타파 및 알파파의 감소와 감마파가 증가하여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대상자들이 자신의 신체손상 부위 사진에 대한 반응보다 타인의 신체손상 부위 사진을 응시했을 때 우측 전두엽에서 긍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날 수 있으나, 동시에 좌측 전전두엽에서는 정서불안의 상태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기본뇌파와 자극물4(타인의 신체손상 부위를 가상 복원한 사진)의 반응에 대한 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우측 전두엽에서 쎄타파, 알파파의 긍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나 심리적 안정 상태를 보였으나, 좌, 우측 전전두엽의 알파파 및 감마파, 좌, 우측 두정엽의 알파파, 감마파, 베타파에서 부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4종류의 자극물의 반응에서 전체적으로 좌, 우측 전전두엽과 좌, 우측 두정엽에서 뇌파수의 평균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부정적인 뇌파리듬을 보였는데 이것은 자극물에 의해 시각적 자극을 받아 뇌 전체 영역을 통제하는 전전두엽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자극물2(자신의 신체장애 부위를 가상 복원한 사진)의 반응에 대한 뇌파값과 보형물 착용 한 달 후의 뇌파값을 비교해 본 결과 쎄타파 및 알파파의 증가와 베타파, 감마파, SEF50의 감소로 긍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대상자들이 자극물2를 응시했을 때보다 보형물을 직접 착용하고 한 달 동안 활동을 한 경우에 심리적으로 더 안정된 상태를 보였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보형물 착용에 관한 실험을 마친 뒤 3개월 후 대상자에게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보형물 착용으로 인해 개인의 심리상태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보형물을 소지하고 있는 것 자체만으로 마음의 안정을 가져왔다고 하였다.
      따라서, 프로스테틱 특수분장을 활용한 보형물 제작은 신체손상장애인에게 심리적 안정 및 자신감을 높여줌으로써 대인관계와 사회생활을 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현대사회에서는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외모의 장애는 사회로부터 배척받고 그로 인한 장애인들의 심리적 압박은 잘못된 행동 결과 혹은 사회 부적응으로 이어진다. ...

      현대사회에서는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외모의 장애는 사회로부터 배척받고 그로 인한 장애인들의 심리적 압박은 잘못된 행동 결과 혹은 사회 부적응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선천적 혹은 후천적 사고에 의해 생기는 신체손상장애인을 대상으로 프로스테틱 특수분장을 활용한 보형물 착용이 심리적, 생리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방법과 실험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153명의 신체손상장애인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공포증 통제의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설문지 조사를 실시한 대상자 중 10명을 편의 추출하여 뇌파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내용은 10인을 대상으로 보형물 착용 전, 후의 심리적 특성의 변화와 뇌파값 변화를 측정하였고 보형물 제작 중 테스트 시의 뇌파값을 측정하여 보형물 착용 전 뇌파값과 비교하였으며, 4가지의 사진자극물에 대한 뇌파값 반응을 보형물 착용 전 뇌파값과 비교하였다. 또한 보형물 착용 3개월 후 심층 인터뷰를 통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대상자의 보형물 착용 전, 후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공포증 통제에 대한 심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자기효능감 중에서 자기조절효능감 및 자신감, 자아존중감 중에서 자기유능감과 자기주장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보형물을 착용한 후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자기유능감과 자기주장이 더 증가하였다.
      둘째, 실험대상자의 보형물 착용 전 뇌파값과 보형물 착용 테스트시의 뇌파 값을 비교해 본 결과 좌, 우측 전전두엽의 쎄타파, 우측 두정엽에서 알파파와 베타파에서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대상자들이 보형물 착용 테스트 시에 불안한 심리 상태를 보였음을 의미한다.
      셋째, 실험대상자의 보형물 착용 전, 후 뇌파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우측 전두엽의 알파파, 우측 측두엽의 감마파와 SEF50에서 긍정적인 뇌파 리듬이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손상장애인들이 보형물 착용 전보다 착용 후에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실험대상자의 기본뇌파와 4종류의 사진자극물에 대한 반응시의 뇌파값을 비교하였다. 기본뇌파와 자극물1(자신의 신체손상 부위을 촬영한 사진)을 응시했을 때 나타난 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쎄타파 및 알파파의 감소와 감마파, 베타파의 증가로 인해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자극물1에 반응했을 때 긴장과 스트레스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기본뇌파와 자극물2(자신의 신체손상 부위를 포토샵으로 가상 복원한 사진)를 응시했을 때의 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쎄타파 및 알파파의 감소와 감마파, 베타파의 증가로 인해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으며, 이것은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기본뇌파와 자극물3(타인의 신체손상 부위를 촬영한 사진)의 반응에 대한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우측 전두엽에서 쎄타파와 알파파의 증가, 감마파의 감소를 보이면서 긍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그러나 좌측 전전두엽에서 쎄타파 및 알파파의 감소와 감마파가 증가하여 부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대상자들이 자신의 신체손상 부위 사진에 대한 반응보다 타인의 신체손상 부위 사진을 응시했을 때 우측 전두엽에서 긍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날 수 있으나, 동시에 좌측 전전두엽에서는 정서불안의 상태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기본뇌파와 자극물4(타인의 신체손상 부위를 가상 복원한 사진)의 반응에 대한 뇌파값을 비교한 결과, 우측 전두엽에서 쎄타파, 알파파의 긍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나 심리적 안정 상태를 보였으나, 좌, 우측 전전두엽의 알파파 및 감마파, 좌, 우측 두정엽의 알파파, 감마파, 베타파에서 부정적인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4종류의 자극물의 반응에서 전체적으로 좌, 우측 전전두엽과 좌, 우측 두정엽에서 뇌파수의 평균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부정적인 뇌파리듬을 보였는데 이것은 자극물에 의해 시각적 자극을 받아 뇌 전체 영역을 통제하는 전전두엽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자극물2(자신의 신체장애 부위를 가상 복원한 사진)의 반응에 대한 뇌파값과 보형물 착용 한 달 후의 뇌파값을 비교해 본 결과 쎄타파 및 알파파의 증가와 베타파, 감마파, SEF50의 감소로 긍정적 뇌파리듬이 나타났다. 이것은 대상자들이 자극물2를 응시했을 때보다 보형물을 직접 착용하고 한 달 동안 활동을 한 경우에 심리적으로 더 안정된 상태를 보였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보형물 착용에 관한 실험을 마친 뒤 3개월 후 대상자에게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보형물 착용으로 인해 개인의 심리상태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보형물을 소지하고 있는 것 자체만으로 마음의 안정을 가져왔다고 하였다.
      따라서, 프로스테틱 특수분장을 활용한 보형물 제작은 신체손상장애인에게 심리적 안정 및 자신감을 높여줌으로써 대인관계와 사회생활을 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 문 개 요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3
      • 논 문 개 요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특수분장과 프로스테틱 5
      • 2. 심리적 특성 23
      • 3. 뇌파의 정의 및 특성 34
      • Ⅲ. 연구방법 42
      • 1. 연구문제 42
      • 2. 연구절차 43
      • 3.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45
      • 4. 측정도구 47
      • 5. 연구대상 56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60
      • 1. 신체손상장애인의 심리적 특성 요인분석 60
      • 2. 심리적 특성 요인간의 상관관계 66
      • 3. 보형물 착용 전, 후의 심리적 특성 차이 68
      • 4. 보형물 착용 전과 보형물 착용 테스트시의 뇌파값 비교 70
      • 5. 보형물 착용 전과 착용 한 달 후의 뇌파값 비교 73
      • 6. 보형물 착용 전 뇌파값과 사진자극물 반응에 대한 뇌파값 비교 76
      • 7. 자극물2의 반응에 대한 뇌파값과 보형물 착용 후의 뇌파값 비교 92
      • 8. 신체손상장애인의 보형물 착용 후의 사례 조사 95
      • Ⅴ. 결론 105
      • 1. 요약 및 결론 105
      •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110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체만족, "복식", , 20(4), pp.515?528, null

      2 이학재, "분장의 길", 자유문학사, 서울 : 자유문학사, 1994

      3 이홍식, "국어대사전", 세진, 서울: 민중서관, 1980

      4 최창욱, 김대식, "뇌파검사학", 서울 : 고력의학, 2001

      5 이태희, "뇌와 마음』", 참나무, 서울 : 참나무, 2002

      6 진복희, "임상생리학 뇌파", 서울 : 고려의학, 2014

      7 이정숙, "정신건강간호학(상)", 현문사, 서울 : 현문사, 2000

      8 민승기, "악안면 보철물의 역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2 (4), pp.383?396, 2000

      9 김철중, 유은경, 황민철, "시각 감성 변화의 뇌파 특성", 대한인간공학회, 대한인간공학 회 1997년 학술대회 논문집, 2, pp.468?472, 1997

      10 이화진, "보철분장에 있어 모델링의 역할", 한국패션뷰티학회, 한국패션뷰티학회지, 2(3), pp.60?67, 2004

      1 체만족, "복식", , 20(4), pp.515?528, null

      2 이학재, "분장의 길", 자유문학사, 서울 : 자유문학사, 1994

      3 이홍식, "국어대사전", 세진, 서울: 민중서관, 1980

      4 최창욱, 김대식, "뇌파검사학", 서울 : 고력의학, 2001

      5 이태희, "뇌와 마음』", 참나무, 서울 : 참나무, 2002

      6 진복희, "임상생리학 뇌파", 서울 : 고려의학, 2014

      7 이정숙, "정신건강간호학(상)", 현문사, 서울 : 현문사, 2000

      8 민승기, "악안면 보철물의 역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2 (4), pp.383?396, 2000

      9 김철중, 유은경, 황민철, "시각 감성 변화의 뇌파 특성", 대한인간공학회, 대한인간공학 회 1997년 학술대회 논문집, 2, pp.468?472, 1997

      10 이화진, "보철분장에 있어 모델링의 역할", 한국패션뷰티학회, 한국패션뷰티학회지, 2(3), pp.60?67, 2004

      11 이시형, 정광설, "사회공포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신경정신의학, 23 (1), pp.111?118, 1984

      12 김은정, "사회공포증 : 사회공포증의 의미", 상담과 선교, 64, pp.6?23, 2009

      13 Alister, M., Joanna, M., "한국기도학생회 출판부. 자존감", 서울 : 한 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3

      14 권만우, "메시지 자극과 뇌파반응의 관계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5 Franklin Schneler, 오동제 역 , M. D, "사회공포증의 이해와 극복하 는 방법", 서울 : 하나의 학사, 2001

      16 박상준, "뇌파변조에 의한 정신개발 장치의 현황", 한국정신과학학회, 한국정신과학학회, 2, pp.172?170, 1995

      17 류현, "남자고등학교 교실냄새에 대한 뇌파반응", 감성과학, 16(3), pp.287?396, 2013

      18 오강섭, 허묘연, 이시형,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관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 경정신의학, 38(1), pp.64?76, 1999

      19 김상규, 정구인, 김기현, 오현숙, "e-Sports 게임수행능력에 따른 뇌파 변화비교", 한국체육학회, 한국 체육학회지, 47(5), pp.175?182, 2008

      20 이재광, "외향적인 사람의 뇌파특성에 관한 예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34(1), pp.320?326, 1995

      21 김은자, 이태용, 이옥경, 신숙희, "발반사 마사지가 노인의 뇌파에 미 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 대한피부미용학회지, 8(4), pp.113?130, 2010

      22 권오연, "음악에 의한 감정의 생리적 측정에 대한 소고", 음악과민족, (25), pp.185?214, 2003

      23 Richard G, "사회공포증의 인지행동집단치료 :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7

      24 구훈정, "사회불안장애의 주의 개입, 탈개입 및 회피과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5 金大植, 崔璋郁, "건강한 한국인의 운동신경 전도속도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 동남보건대학 논문집, 19(2), pp.51?59, 2001

      26 조기여, 유태순, "자기효능감, 화장근접도, 의복근접도의 상관관계", 한국복식학회, 한국복식학회지, 32, 183?201, 1997

      27 김형근, 최동형, 김형재, "소이증을 동반한 난청 대상자의 보청기 접 합사례", 청능재활, 4(2), pp.207?209, 2008

      28 안민규, 전성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원리 및 기술 동향",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지, 29(4). pp.42?53, 2011

      29 김철중, 황민철, 류은경, "시각 감성평가를 위한 뇌파의 민감성에 대 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대한인간공학회지, 17(1). pp.1?9, 1998

      30 심준영, "신체적, 인지적 훈련에 따른 뇌파와 기분상태 변화", 한국스 포츠리서치, 15(1), pp.427?400, 2004

      31 박병운, "뇌파밴드별 상호 연관성에 따른 뇌기능 최적화연구", 한국정 신과학학회. 21, pp.103?108, 2005

      32 박은주, 조현주 , "대학생 외모관리태도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신", 2012

      33 김승현, 윤은재, "멀티피스를 이용한 보철분장 제작과정에 관한 연구",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지, 4(2), pp.137?145, 2008

      34 홍영근, "사회공포증과 불안검사-14(SPAI-14)개발 및 타당황 연구", 정서?학습장애연구. 30(3), pp.227?245, 2014

      35 김용선, 신병철, "한국 영화에서의 특수분장의 표현 기법에 관한 연 구",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지, 2(1), pp.15?20, 2006

      36 도복늠, 차선희, "입원한 정신과 환자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무력 감",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정신간호학회지, 11(3), pp.324?335, 2002

      37 조효정, "보철분장 적용에 따른 특수분장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예술학회, 한 국미용예술학회지, 1(3), pp.33?39, 2007

      38 권정혜, 손정아, "사회공포증이 있는 청소년들의 인지행동집단치료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 1(1), pp.77?92, 2001

      39 이정순, 한경희, "여대생 체형인식이 신체이미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즈니스, 11(2), 145?154, 2007

      40 고영민, 황혜주, 한은희, 장태수, "“두개천골요법이 노인의 뇌파와 심전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0(4), pp.879?886, 2012

      41 심준영, "스트레스 완화 훈련과 자극이 따른 뇌 영역별 활성화 비교",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1), pp.140?141, 2004

      42 김정희, 여혜연 ( Hye Yeon Yeo ), "라이프 마스크 재료에 따른 표현방법 및 효과에 관 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4(15), pp.1322?1330, 2009

      43 오윤희, "사회불안장애 발병요인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4 김용호, 심준영, "뇌호흡 수련이 여성 노인의 뇌파와 우울상태에 미치 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7(4), pp.117?133, 2012

      45 김은정, "사회공포증 집단이 사회공포 상황에서 보이는 사회적 자기처리", 한국심리학회지, 19(1), pp.33?45, 2000

      4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47 오강섭, 안영균, 이시형, "사회공포증 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39(6), pp.1093?1101, 2000

      48 김은희, "뇌파측정(EEG)을 통한 텔레비전 광고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8(1), pp.273?299, 2010

      49 양재원, "사회불안 증상과 얼굴표정의 정서인식 편향.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0 김민경, "먼셀 10색상과 메이크업 컬러에 대한 뇌파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1 김학년, "성격유형과 통제위치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52 구양순, 이현옥, "사회적 효능감, 외모관심,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계층적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p.271?277, 2009

      53 박은희, 권정혜, 윤혜영, "사회적 상호작용에 나타나는 사회공포증 집단의 행동 특성 및 인상 평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 11(1), pp.53?73, 2011

      54 강희순, 임경희, "전남지역 고등학생의 외모만족과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4(1), pp.481-500, 2013

      55 장미숙, "20세기 영화 특수 분장사와 캐릭터 특수분장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6 유우경, 김연희, 장성호, 서정환, 고명환,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을 이용한 작업기억 및 시공간 주의력 뇌 신경망 연구", 大韓再活醫學會, 대한재활의 학회지, 28(4), pp.301?305, 2004

      57 강승연, "아로마 오일의 농도변화와 향의 노트별 뇌파반응특성. 숭실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8 유승호, "자기 효능감 이론의 현대적 의미와 컴퓨터게임 효능감의 개념화에 대한 연구", 사회화이론, 11, pp.169?193, 2007

      59 장혜숙, "식물의 시각적 요소가 인간의 감성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0 구양숙, 이현옥,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모관심,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계층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p.271-277, 2009

      61 김주리, "손상된 얼굴의 보형물(Prosthetic)복원으로 인한 미용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2 서윤경,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63 정혜선, 심준영, 조동진, "무용학습이 시각 및 청각적 자극과 이미지 상상 동안 뇌파와 POMS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 리학회지, 16(3), pp1?17, 2005

      64 박현미, "대학생의 자아효능감, 스트레스, 우울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5 문서란 , "노래활동이 뇌의 주의집중도와 뇌 활성량 변화에 미치는 영 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6 정희영, "미용전공 대학생의 가치관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67 임효정, "긍정적 자아형성을 위한 메이크업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8 오강섭, 이복동, 오윤희, "사회공포증 환자에 있어 지각된 불안 통제 감이 사회적 불편감 및 회피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 료, 3(1), pp.81?92, 2003

      69 김재근, "자기효능감, 학교학습동기, 사회적 지지가 자기존중감에 미 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70 박기환, 송지연, "가해염려형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변인 : 체면, 눈치, 문화적 자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지, 14(2), pp.329?343, 2009

      71 류분순, "무용동작 심리치료가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외상후 스트레 스, 뇌파 및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2 서현진, "자기애성향,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 및 화장의 심리적 효 용의 관계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3 정복자, "장애인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자존감,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74 김영욱, "태권도 수련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8

      75 권영식, "과학영재의 창의적 두뇌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미술 통합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76 부은희 ,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 사회화 결과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77 송영목, "좌측 측두엽 경색에 의해 발생하였 다가 회복된 후 우측 측두엽 경색에 의해 다시 악화된 감각 성 실어증 1례", 대한뇌졸중학회, 대한뇌졸중학회지, 5(2), pp.217?220, 2003

      78 신현영, "의상치료를 통한 정신장애자의 자기외모이미지 변화가 자기 존중감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79 이지연, "스노즐렌을 적용한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치료효과 검 증:뇌파의 정량적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9

      80 강미정, "에니어그램 집단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 인관계 및 전반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1 김근아, "가족 내 손상에 역할강화를 위한 장기 집단상담이 우울증과 사회공포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뇌졸증으로 인한 좌측편 마비 장애인의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1(2), pp.5?20,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