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시관 기반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탐색: 민주인권기념관을 중심으로 = Exploring Direction and Task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Exhibition Hall: Focusing on Democracy and Human Rights Memorial Ha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20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cultivate the values, attitudes, norm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a democratic society has been steadily carried out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With the opening of the Democray and Human Rights Memorial Hall, Korea Democracy Foundation, which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attempting to challenge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exhibition hall. The direc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at embodies history and presentity together, not just a space to commemorate a specific object or a special period,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teaching a specific event cal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t should have the goal of realizing better democracy in everyday life by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the history and processes that have achieved democracy. Second, it should aim for scalability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ird, it should be not a lecture-oriented education, but an education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explore democracy and human rights. Fourth, a safe space for discussion should be provided regardless of political posi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ooperation structure with various institutions that are striving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번역하기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cultivate the values, attitudes, norm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a democratic society has been steadily carried out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With the opening of the Democray ...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cultivate the values, attitudes, norm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a democratic society has been steadily carried out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With the opening of the Democray and Human Rights Memorial Hall, Korea Democracy Foundation, which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attempting to challenge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exhibition hall. The direc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at embodies history and presentity together, not just a space to commemorate a specific object or a special period,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teaching a specific event cal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t should have the goal of realizing better democracy in everyday life by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the history and processes that have achieved democracy. Second, it should aim for scalability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ird, it should be not a lecture-oriented education, but an education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explore democracy and human rights. Fourth, a safe space for discussion should be provided regardless of political posi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ooperation structure with various institutions that are striving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 태도, 규범, 지식 및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은 한국사회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그동안 민주시민교육의 근간을 마련해 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인권기념관 개관을 계기로 전시관 기반의 민주시민교육으로의 도전을 꾀하고 있다. 특정 대상이나 특별한 기간만을 기념하는 공간이 아니라 역사와 현재성을 함께 구현하는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인권기념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민주화운동’이라는 특정한 사건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성취해 나갔던 역사와 과정들을 기억하고 기념함으로써, 일상 속에서 더 나은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목표를 지녀야 한다. 둘째,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확장성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강의가 중심이 되는 일방향적인 교육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탐구해 나가는 교육방법론적인 제고가 요청된다. 넷째, 정치적 입장과 관계없이 공론의 장이 펼쳐지는 안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과 교육적 협력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번역하기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 태도, 규범, 지식 및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은 한국사회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그동안 민주시민교육의 근간을...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 태도, 규범, 지식 및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은 한국사회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그동안 민주시민교육의 근간을 마련해 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인권기념관 개관을 계기로 전시관 기반의 민주시민교육으로의 도전을 꾀하고 있다. 특정 대상이나 특별한 기간만을 기념하는 공간이 아니라 역사와 현재성을 함께 구현하는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인권기념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민주화운동’이라는 특정한 사건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성취해 나갔던 역사와 과정들을 기억하고 기념함으로써, 일상 속에서 더 나은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목표를 지녀야 한다. 둘째,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확장성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강의가 중심이 되는 일방향적인 교육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탐구해 나가는 교육방법론적인 제고가 요청된다. 넷째, 정치적 입장과 관계없이 공론의 장이 펼쳐지는 안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과 교육적 협력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주,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참여연대 (34) : 99-134, 2019

      2 이영제, "한국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형상화 : 민주인권기념관에 민주화운동 역사를 어떻게 담을 것인가?" 67 : 1-13, 2019

      3 김성수, "학교 내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부 2015

      4 홍혜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 교육방법론에 대한 탐색" 한국조형교육학회 (80) : 323-345, 2021

      5 이쌍철,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9

      6 하진, "지역문학관의 이용자 참여 교육프로그램에대한 의미 고찰"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5) : 175-206, 2022

      7 박범기, "지금, 여기에서의 민주인권기념관의 쓸모 : 민주화운동 이후 세대에게 민주인권기념관의역할은 무엇인가?" 42 : 1-14, 2019

      8 엄수정 ; 김종훈 ; 정수정, "정의지향적 관점에 비추어 본 민주시민교육 교과서 분석: 경기도교육청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80 : 9-31, 2021

      9 장은주, "우리는 시민입니다" 피어나 2020

      10 송창석, "시민사회단체의 정치교육(민주시민교육): 가칭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입법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2004

      1 장은주,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참여연대 (34) : 99-134, 2019

      2 이영제, "한국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형상화 : 민주인권기념관에 민주화운동 역사를 어떻게 담을 것인가?" 67 : 1-13, 2019

      3 김성수, "학교 내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부 2015

      4 홍혜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 교육방법론에 대한 탐색" 한국조형교육학회 (80) : 323-345, 2021

      5 이쌍철,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9

      6 하진, "지역문학관의 이용자 참여 교육프로그램에대한 의미 고찰"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5) : 175-206, 2022

      7 박범기, "지금, 여기에서의 민주인권기념관의 쓸모 : 민주화운동 이후 세대에게 민주인권기념관의역할은 무엇인가?" 42 : 1-14, 2019

      8 엄수정 ; 김종훈 ; 정수정, "정의지향적 관점에 비추어 본 민주시민교육 교과서 분석: 경기도교육청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80 : 9-31, 2021

      9 장은주, "우리는 시민입니다" 피어나 2020

      10 송창석, "시민사회단체의 정치교육(민주시민교육): 가칭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입법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2004

      11 이해주, "시민교육지침서"

      12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누리집"

      13 김육훈, "민주인권기념관이 민주주의 교육의 새날을 열기를" 41 : 1-16, 2019

      14 이동기, "민주인권기념관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관점과 방향" 96-113, 2022

      15 김영철, "민주인권기념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 현황" 62-80, 2022

      16 조세열, "민주인권기념관 건립과 운영, 무엇을 고려해야 하나?-근현대사기념관과 식민지역사박물관의 사례 검토-" 44 : 1-15, 2019

      17 음선필, "민주시민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한국법제연구원 2013

      18 우기동, "민주시민교육센터 설립·운영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8

      19 "민주시민 교육' 폐지하려고 한 경남도"

      20 양지연, "미술관과 공교육의 파트너십을 위한 초중등 교사 연구" 4 : 19-40, 2003

      21 최정희, "미술관과 공교육연계 시각문화교육 현황과 분석" 3 : 170-187, 2003

      22 이영제, "남영동 민주인권기념관 건립의 의미와 과제" 39 : 1-19, 2019

      23 조철민, "경기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 수립 연구" 조철민, 김원석, 김재민(2019). 경기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 수립 연구. 수원: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2019

      24 이동기, "‘민주인권기념관’ 건립 구상: 10개의 테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0) : 279-315, 2019

      25 Brown, K., "Museum, communities and artists" 34 (34): 5-13, 2008

      26 Wickens, K., "Museum and community : The benefits of working together" 37 (37): 91-100, 2012

      27 Wortham, S, "Education for Democratic Dispositions: Developing Whole People through Historical Narrative" 10-29, 2022

      28 권남희 ; 송주희 ; 임한슬, "COVID-19 환경에서 비대면 박물관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교육학회 16 (16): 247-271, 2021

      29 서울특별시교육청, "2018 학교민주시민포럼자료집" 서울특별시교육청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