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明 後期 月港 開港과 壬辰倭亂 = 明朝后期月港開港與壬辰倭亂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近來,對于壬辰倭亂(壬辰戰爭,1592-1598)的再論在國內外?起新一輪熱潮,這是因爲此次戰爭无論從東亞還是世界史方面來看,都是一場意義重大的國際戰爭,有必要重新引起關注.壬辰倭亂發生的背景及戰爭引起的結果,但從一個國家的角度來認識的話略顯牽强,而應當從東亞乃至國際化的脈絡中去審視。 在對這種問題意識完全認可的立場之下,本文從中國和日本的經濟關系及東亞海洋貿易史的觀点出發,對壬辰倭亂的國際化脈絡展開探討。 不過,當時的中日關系?難單純地理解成兩國之間的問題,因爲以南中國海爲媒介進行的與東南亞的交易和進入南中國海的歐洲勢力的介入,促使整個局勢正向所謂的與“全球經濟”連動的復雜活躍的局面轉換。本文主要探討在壬辰倭亂前后的中日關系方面,從被認爲掌握主導權的中國-卽明朝的立場上探討對日關系和海洋政策。在明朝的對外貿易中,海禁政策和朝貢貿易是明朝的兩種基本政策,在壬辰倭亂前后的16世紀后半期,這兩種政策給壬辰倭亂的爆發、明軍的參戰、以及講和協商帶來什?樣的影響,幷且又是如何隨之發生變化的??本文硏究便是從這些疑問開始的。特別是壬辰倭亂發生的25年前,明朝實行了與現行海禁政策截然不同的“月港開港”政策,這種海洋政策的基調變化與壬辰倭亂之間存在?樣的關系、以及?們的關系到底有多大便是本文的硏究目的。 在壬辰倭亂的背景中,月港開港以后持續的排除日本過程中存在海洋 開放這一矛盾性政策指向,以及在對戰爭的談話協商過程中矛盾幷未消失。本文認爲,鎭壓`嘉靖大倭寇`以后實施的月港開港政策將日本排除在外,促使日本與中國直接進行貿易的欲求激增,最終演變成爲16世紀后期壬辰倭亂爆發的導火索。
      번역하기

      近來,對于壬辰倭亂(壬辰戰爭,1592-1598)的再論在國內外?起新一輪熱潮,這是因爲此次戰爭无論從東亞還是世界史方面來看,都是一場意義重大的國際戰爭,有必要重新引起關注.壬辰倭亂...

      近來,對于壬辰倭亂(壬辰戰爭,1592-1598)的再論在國內外?起新一輪熱潮,這是因爲此次戰爭无論從東亞還是世界史方面來看,都是一場意義重大的國際戰爭,有必要重新引起關注.壬辰倭亂發生的背景及戰爭引起的結果,但從一個國家的角度來認識的話略顯牽强,而應當從東亞乃至國際化的脈絡中去審視。 在對這種問題意識完全認可的立場之下,本文從中國和日本的經濟關系及東亞海洋貿易史的觀点出發,對壬辰倭亂的國際化脈絡展開探討。 不過,當時的中日關系?難單純地理解成兩國之間的問題,因爲以南中國海爲媒介進行的與東南亞的交易和進入南中國海的歐洲勢力的介入,促使整個局勢正向所謂的與“全球經濟”連動的復雜活躍的局面轉換。本文主要探討在壬辰倭亂前后的中日關系方面,從被認爲掌握主導權的中國-卽明朝的立場上探討對日關系和海洋政策。在明朝的對外貿易中,海禁政策和朝貢貿易是明朝的兩種基本政策,在壬辰倭亂前后的16世紀后半期,這兩種政策給壬辰倭亂的爆發、明軍的參戰、以及講和協商帶來什?樣的影響,幷且又是如何隨之發生變化的??本文硏究便是從這些疑問開始的。特別是壬辰倭亂發生的25年前,明朝實行了與現行海禁政策截然不同的“月港開港”政策,這種海洋政策的基調變化與壬辰倭亂之間存在?樣的關系、以及?們的關系到底有多大便是本文的硏究目的。 在壬辰倭亂的背景中,月港開港以后持續的排除日本過程中存在海洋 開放這一矛盾性政策指向,以及在對戰爭的談話協商過程中矛盾幷未消失。本文認爲,鎭壓`嘉靖大倭寇`以后實施的月港開港政策將日本排除在外,促使日本與中國直接進行貿易的欲求激增,最終演變成爲16世紀后期壬辰倭亂爆發的導火索。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혜원, "중국인의 ‘南倭’ 체험과 壬辰전쟁(1592-1598) - 『籌海圖編-重編』을 중심으로 -" 역사학회 (221) : 355-386, 2014

      2 박수철,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3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4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5 정두희, "임진왜란 :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6 고노이 다카시, "일본 그리스도교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7 거자오광, "이 중국에 거하라(宅玆中國)" 글항아리 2012

      8 조영헌, "세계의 대상인들"

      9 아라미야 마나부, "북경 천도 연구-근세 중국의 수도 이전" 서경문화사 2016

      10 하우봉,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한일관계사학회 (39) : 331-368, 2011

      1 차혜원, "중국인의 ‘南倭’ 체험과 壬辰전쟁(1592-1598) - 『籌海圖編-重編』을 중심으로 -" 역사학회 (221) : 355-386, 2014

      2 박수철,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3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4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5 정두희, "임진왜란 :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6 고노이 다카시, "일본 그리스도교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7 거자오광, "이 중국에 거하라(宅玆中國)" 글항아리 2012

      8 조영헌, "세계의 대상인들"

      9 아라미야 마나부, "북경 천도 연구-근세 중국의 수도 이전" 서경문화사 2016

      10 하우봉,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한일관계사학회 (39) : 331-368, 2011

      11 신동규, "豊臣秀吉의 조선침략과 포르투갈 관계에 대한 고찰" 역사연구소 (78) : 139-168, 2013

      12 岡田英弘, "紫禁城の榮光 : 明淸全史" 講談社 2011

      13 鄭若曾, "籌海圖編" 中華書局 2007

      14 萬曆, "福州府志 (萬曆41年刊本)"

      15 李伯重, "火槍與帳簿: 早期經濟全球化時代的中国與東亞世界" 生活讀書 新知三聯書店 2017

      16 조영헌, "海商 王直의 興亡과 徽州 네트워크" 명청사학회 (44) : 33-85, 2015

      17 上田信, "海と帝國 : 明淸時代" 講談社 2005

      18 嚴從簡, "殊域周咨錄" 中華書局 2009

      19 조영헌, "正德帝의 南巡과 南京" 명청사학회 (45) : 37-84, 2016

      20 張燮, "東西洋考(中外交通史籍叢刊)" 中華書局 2000

      21 小島毅, "東アジア海域に漕ぎだす1 海から見た歴史" 東京大学出版会 2013

      22 "朝鮮王朝實錄"

      23 宋應昌, "朝鮮史料匯編" 全國圖書館文獻縮微復制中心 2004

      24 "明經世文編"

      25 "明實錄"

      26 조영헌, "明史外國傳譯註1-外國傳上" 東北亞歷史財團 2011

      27 檀上寬, "明代海禁=朝貢システムと華夷秩序"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13

      28 萬明, "明代中外關係史論考"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1

      29 홍성구, "明代 北邊의 互市와 朝貢" 중국사학회 (72) : 67-92, 2011

      30 鄭樑生, "明・日關係史の硏究" 雄山閣 1984

      31 董興華, "從“壬辰倭亂”看明代山東的戰略地位" (9) : 2013

      32 徐光啓, "徐光啓集(上冊)" 上海古籍出版社 1984

      33 顧炎武, "天下郡國利病書(5)" 上海古籍出版社 2012

      34 조영헌, "大運河와 中國商人: 淮揚지역 徽州商人成長史, 1415- 1784" 민음사 2011

      35 崔官, "壬辰倭亂-四百年前的朝鮮戰爭"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3

      36 이현종, "壬辰倭亂時琉球東南亞人의 來援" 한국일본학회 2 : 1974

      37 楊金森范中義, "中國海防史 (上)" 海軍出版社 2005

      38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朝鮮傳譯註4" 국사편찬위원회 2004

      39 村井章介, "世界史のなかの戦国日本" 筑摩書房 2012

      40 高瀬弘一郎, "キリシタン時代の貿易と外交" 八木書店 2013

      41 高瀬弘一郎, "キリシタン時代の硏究" 岩波書店 1977

      42 鄭樑生, "『明代倭寇史料』第7輯" 文史哲出版社 2005

      43 谷应泰, "「援朝鮮」『明史紀事本末』"

      44 Pin-tsun Chang, "The Evolution of Chinese Thought on Maritime Foreign Trade from the Six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y" 1 : 1989

      45 James B. Lewis, "The East Asian War, 1592-1598 : international relations, violence and memory" Routledge 2015

      46 Arturo Giraldez, "The Age of Trade: The Manila Galleons and the Dawn of the Global Econom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

      47 Anthony Reid,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Volume One: The Lands below the Winds" Yale University Press 1988

      48 Timothy Brook, "Sagacious Monks and Bloodthirsty Warriors: Chinese Views of Japan" Pacific Century Press 2002

      49 Timothy Brook, "Mr. Selden's Map of China : The Spice Trade, a Lost Chart and the South China Sea" Profile Books 2015

      50 Evelyn S. Rawski, "Early Modern China and Northeast Asia: Cross-Border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51 John E. Wills, Jr, "China and Maritime Europe, 1500-1800 : Trade, Settlement, Diplomacy, and Mis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52 Helen F. Siu, "Asia Inside Out: Changing Tim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53 夫馬進, "<使琉球錄>解題及び硏究" 京都大學文學部東洋史硏究室 1998

      54 한지선, "17세기 초 동아시아 해양세계의 변화와 海商 李旦" 명청사학회 (44) : 87-116, 2015

      55 차혜원, "16세기, 명조의 南倭대책과 封ㆍ貢ㆍ市" 동양사학회 (135) : 59-93, 2016

      56 柳成龍, "(校勘ㆍ解說) 懲毖錄:한국의 고전에서 동아시아의 고전으로" 아카넷 2013

      57 申炅, "(國譯)大東野乘9 : 再造藩邦志" 민족문화추진회 1973

      58 小葉田淳, "(中世)南島通交貿易史の硏究" 刀江書院 194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A-CHONG(s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1 1.55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