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탐색 = Exploration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a Teacher in Science Classes with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00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의 2단원 ‘물질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토 리텔링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 함으로써 효율적인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의 2단원 ‘물질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토 리텔링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 함으로써 효율적인 스토리텔링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각매개의 부재(不在)상황은 학생들의 구체적 상상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서 지식의 구조화 과정에 대한 어려움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준의 과학적 담화, 부적절한 은유(metaphor), 수업 안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커머그니티브(commognitive)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통의 걸림돌을 의미하였다. 과학적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교과 간 통합적 플 롯의 구성은 학생들의 경험을 정리해 주는 기본 구조의 부재를 의미는 것이며, 내러 티브의 토대로 작용하여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기억의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스 토리텔링 과학 수업의 평가 자료 부족, 스토리텔링 수업에 대한 동료 과학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부족은 산출물 평가 기준의 부재로 인한 평가의 어려움을 의미하 였다. 이러한 교사의 어려움을 토대로 소양지향의 과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서 중 학교 과학교과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교사 중심의 실천적 개혁이 지속적으로 필 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o educational scenes in the science study in the qualitative way by exploring difficulties that are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classes w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o educational scenes in the science study in the qualitative way by exploring difficulties that are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classes with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Mr. Kim, a science teacher from Geumran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Gyeonggi-do, and 6 students (3 male and 3 female students) in the scientific creativity class from the same school. We carried out a total of 28 session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deep interviews including 3 preliminary observation sessions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3. As a result of the study, included the difficulty in helping students’ specific imaginations due to lack of visual media, and the difficulty in imagination means the difficulty in perception and at the same time, in the capability of structuring, which is a general ability of mind. Also, scientific discourses at different levels, inadequate metaphor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used in the discourses turn up as commognitive conflicts, and hence mean ‘hindrance to communication.’I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basic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 composition of an integrated plot among subjects means the absence of a basic structure, and works as the basis of narratives so that it could not provide students with a significant structure of memories. Included the difficulty due to lack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roducts of storytelling science classes and with lack of recognition of storytelling classes by fellow science teachers and parents causes difficulties in assessment. Based on such difficulties among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approaches and efforts are necessary which apply storytelling to the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for the ultimate purpose of aptitude-oriented scienc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스토리텔링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스토리텔링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 강창익, "활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37 (37): 338-347, 2013

      3 우창완, "학습 내용을 이야기로 구성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4 강부미, "학생 중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8 (38): 657-669, 2014

      5 Tashakkori, A., "통합연구방법론" 학지사 2001

      6 박지은,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도입 단계의 스토리텔링이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김형자,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36 (36): 198-215, 2012

      8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9 강현석, "지식구조론의 재구성을 통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의 구성"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55-85, 2004

      10 김재춘, "의미 생성 활동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61-82, 2009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 강창익, "활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37 (37): 338-347, 2013

      3 우창완, "학습 내용을 이야기로 구성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4 강부미, "학생 중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8 (38): 657-669, 2014

      5 Tashakkori, A., "통합연구방법론" 학지사 2001

      6 박지은,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도입 단계의 스토리텔링이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김형자,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36 (36): 198-215, 2012

      8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9 강현석, "지식구조론의 재구성을 통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의 구성"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55-85, 2004

      10 김재춘, "의미 생성 활동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61-82, 2009

      11 김미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의 담화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2 김동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중학생들의 인체 구조와 기능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18-30, 2011

      13 정은주, "스토리텔링과 탐구활동을 결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14 김효정, "스토리텔링 활용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과학 관련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207-220, 2013

      15 장내인, "스토리텔링 활용 '우리 몸' 단원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16 한귀화, "스토리텔링 모형을 적용한 화학수업이 문과계열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동기, 태도 및 화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7 이지혜, "스토리텔링 과학 수업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1" 2012

      19 홍영기, "수학․과학 교과의 주제중심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42-66, 2009

      20 Durand, G., "상상력의 과학과 철학" 살림 1997

      21 Ryle, G., "마음의 개념" 문예출판사 1994

      22 권혁일,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39-170, 2008

      23 강경희, "내러티브 사고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생물학습프로그램 개발" 교육문제연구소 50 (50): 175-196, 2011

      24 김윤옥,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1996

      25 Hatch, J.,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08

      26 Cooper, P. J., "교실 의사소통 - 과적인 교실 상호작용을 위한 소통방법-" 교육과학사 2010

      27 권명순, "과학사를 배경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진화 관련 개념 및 진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2 (42): 386-397, 2014

      28 Campbell, P., "Using stories to enrich the physics curriculum" 33 (33): 356-359, 1998

      29 Sfard, A.,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s, and mathematiz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0 Weber, S., "The narrative anecdote for teacher education" 19 (19): 71-82, 1993

      31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32 Ellis, G.,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Penguin 1991

      33 어철호, "Storytelling을 활용한 초등 영어 지도 방법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01

      34 Rowcliffe, S., "Storytelling in science" 86 (86): 121-126, 2004

      35 Barab, S. A., "Smart people or smart context? Cognition, ability, and talent development in an age of situated approaches to knowing and learning" 37 (37): 165-182, 2002

      36 Roberts, D. A., "Seeing curriculum in a new light: essays from science education" OISE Press 65-87, 1982

      37 변문경, "STEAM기반 스토리텔링 과학수업에서 학습자의 흥미와 태도 변화과정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

      38 Choi, K.,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century" 48 (48): 670-697, 2011

      39 Jonassen, D. H., "Learning to solve problems" Pfeiffer 2004

      40 Goldbaum, E., "Grant to advance case study approach" 31 (31): 1-2, 2000

      41 Simon, S., "Good Practice in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has to say" Open University Oress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