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정화, "초등학생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93-108, 2012
2 송원숙, "청소년의 정치사회적 역량을 높여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 친구, 미디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3) : 45-83, 2019
3 김용호, "청소년의 신문활용교육(NIE)이 기업가정신 및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하여"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53-164, 2016
4 이화행, "청소년기 NIE(Newspaper in Education) 경험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신문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456-488, 2011
5 심미선, "청년층의 뉴스 콘텐츠 이용 패턴과 전망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6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7 장근영, "아동․ 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지원체계 개발 연구Ⅰ: 총괄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8 양정애, "세대를 가르는 플랫폼 : 연령대별 플랫폼 이용의 양상과 특징" 한국언론진흥재단 6 (6): 2020
9 금희조,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대화가 정치 지식, 효능감,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의 종류와 대화 채널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452-481, 2015
10 양정애, "뉴스리터러시 교육의 단기효과 연구: 중·고생 대상 시범수업 및 교육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7 (87): 172-212, 2018
1 구정화, "초등학생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93-108, 2012
2 송원숙, "청소년의 정치사회적 역량을 높여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 친구, 미디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3) : 45-83, 2019
3 김용호, "청소년의 신문활용교육(NIE)이 기업가정신 및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하여"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53-164, 2016
4 이화행, "청소년기 NIE(Newspaper in Education) 경험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신문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456-488, 2011
5 심미선, "청년층의 뉴스 콘텐츠 이용 패턴과 전망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6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7 장근영, "아동․ 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지원체계 개발 연구Ⅰ: 총괄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8 양정애, "세대를 가르는 플랫폼 : 연령대별 플랫폼 이용의 양상과 특징" 한국언론진흥재단 6 (6): 2020
9 금희조,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대화가 정치 지식, 효능감,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의 종류와 대화 채널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452-481, 2015
10 양정애, "뉴스리터러시 교육의 단기효과 연구: 중·고생 대상 시범수업 및 교육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7 (87): 172-212, 2018
11 이정훈, "뉴스 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의 뉴스콘텐츠 이용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대 뉴스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80-190, 2013
12 신태범, "국내 청소년의 포털뉴스 이용특성과 뉴스신뢰, 공공성인식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241-294, 2013
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고등학생들의 정치참여욕구 및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14 이재국, "가짜뉴스의 폐해와 규제 논란의 배경" 60 (60): 11-17, 2018
15 김아미, "‘가짜 뉴스’와 청소년: 청소년은 뉴스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경기도 교육 연구원 2017
16 DeRoche, E. F., "The Newspaper : A reference book for teachers and librarians" ABC CLIO 1991
17 황유선, "NIE의 학업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5-705, 2016
18 황유선, "NIE와 교육 효과"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19 정문성, "NIE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0 김기태, "NIE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및 효과 검증" 신문발전위원회 2007
21 김경은,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교과교육연구소 16 (16): 771-797, 2012
22 Mutz, D. C., "Hearing the other side: Deliberative versus Participatory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3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NCB University Pre 9 (9): 1-6, 2001
24 McLeod, J. M., "Communit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 The role of mass media and interpersonal discussion in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16 : 315-336, 1999
25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26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