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신문뉴스 활용교육(NIE) 효과 : 뉴스 이용, 뉴스 리터러시, 정치사회적 참여를 중심으로 = How effective is NIE for adolescents’ in Korea? : Focusing on the Media Use,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7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wspaper In Education (NIE) for adolescents in Korea, specifically focused on the media use,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It analyzed 166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obtained from ‘Teenage Media Use in Korea 2016’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in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IE use more news on average through TV, radio, magazines and mobile than those who do not. Seco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e NIE had higher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Third, the effects of various media usage on news literacy differed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of NIE. In other words, for those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NIE, TV use and mobile use have a negative effect on news literacy, while newspaper use have a positive effect. Fourth,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NIE ha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s they used TV new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lored the effect of NIE, to improve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which are regarded as civic virtu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wspaper In Education (NIE) for adolescents in Korea, specifically focused on the media use,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It analyzed 166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obtained from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wspaper In Education (NIE) for adolescents in Korea, specifically focused on the media use,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It analyzed 166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obtained from ‘Teenage Media Use in Korea 2016’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in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IE use more news on average through TV, radio, magazines and mobile than those who do not. Seco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e NIE had higher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Third, the effects of various media usage on news literacy differed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of NIE. In other words, for those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NIE, TV use and mobile use have a negative effect on news literacy, while newspaper use have a positive effect. Fourth,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NIE ha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s they used TV new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lored the effect of NIE, to improve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which are regarded as civic virtu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정화, "초등학생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93-108, 2012

      2 송원숙, "청소년의 정치사회적 역량을 높여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 친구, 미디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3) : 45-83, 2019

      3 김용호, "청소년의 신문활용교육(NIE)이 기업가정신 및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하여"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53-164, 2016

      4 이화행, "청소년기 NIE(Newspaper in Education) 경험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신문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456-488, 2011

      5 심미선, "청년층의 뉴스 콘텐츠 이용 패턴과 전망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6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7 장근영, "아동․ 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지원체계 개발 연구Ⅰ: 총괄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8 양정애, "세대를 가르는 플랫폼 : 연령대별 플랫폼 이용의 양상과 특징" 한국언론진흥재단 6 (6): 2020

      9 금희조,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대화가 정치 지식, 효능감,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의 종류와 대화 채널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452-481, 2015

      10 양정애, "뉴스리터러시 교육의 단기효과 연구: 중·고생 대상 시범수업 및 교육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7 (87): 172-212, 2018

      1 구정화, "초등학생의 NIE 학습유형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련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93-108, 2012

      2 송원숙, "청소년의 정치사회적 역량을 높여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 친구, 미디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3) : 45-83, 2019

      3 김용호, "청소년의 신문활용교육(NIE)이 기업가정신 및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하여"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53-164, 2016

      4 이화행, "청소년기 NIE(Newspaper in Education) 경험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신문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456-488, 2011

      5 심미선, "청년층의 뉴스 콘텐츠 이용 패턴과 전망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6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7 장근영, "아동․ 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지원체계 개발 연구Ⅰ: 총괄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8 양정애, "세대를 가르는 플랫폼 : 연령대별 플랫폼 이용의 양상과 특징" 한국언론진흥재단 6 (6): 2020

      9 금희조,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대화가 정치 지식, 효능감,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의 종류와 대화 채널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452-481, 2015

      10 양정애, "뉴스리터러시 교육의 단기효과 연구: 중·고생 대상 시범수업 및 교육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7 (87): 172-212, 2018

      11 이정훈, "뉴스 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의 뉴스콘텐츠 이용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대 뉴스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80-190, 2013

      12 신태범, "국내 청소년의 포털뉴스 이용특성과 뉴스신뢰, 공공성인식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241-294, 2013

      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고등학생들의 정치참여욕구 및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14 이재국, "가짜뉴스의 폐해와 규제 논란의 배경" 60 (60): 11-17, 2018

      15 김아미, "‘가짜 뉴스’와 청소년: 청소년은 뉴스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경기도 교육 연구원 2017

      16 DeRoche, E. F., "The Newspaper : A reference book for teachers and librarians" ABC CLIO 1991

      17 황유선, "NIE의 학업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5-705, 2016

      18 황유선, "NIE와 교육 효과"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19 정문성, "NIE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0 김기태, "NIE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및 효과 검증" 신문발전위원회 2007

      21 김경은,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교과교육연구소 16 (16): 771-797, 2012

      22 Mutz, D. C., "Hearing the other side: Deliberative versus Participatory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3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NCB University Pre 9 (9): 1-6, 2001

      24 McLeod, J. M., "Communit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 The role of mass media and interpersonal discussion in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16 : 315-336, 1999

      25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26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