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프로젝트 구매 조달 분야는, 프로젝트 요구 조건과 여건에 따라 천차만별하여 동일 조건하에 진행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프로젝트 마스터 스케줄에 구매 계획을 각 MR(Material Requis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20426
서울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 건설관리학 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서울
x, 135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김주형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128-13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플랜트 프로젝트 구매 조달 분야는, 프로젝트 요구 조건과 여건에 따라 천차만별하여 동일 조건하에 진행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프로젝트 마스터 스케줄에 구매 계획을 각 MR(Material Requisi...
플랜트 프로젝트 구매 조달 분야는, 프로젝트 요구 조건과 여건에 따라 천차만별하여 동일 조건하에 진행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프로젝트 마스터 스케줄에 구매 계획을 각 MR(Material Requisition) 별로 수립하여 구매 업무를 진행 하나 수많은 품목과 발주 업체를 관리 해야 하므로 계약 납기 내 선적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납기 지연이 발생치 않도록 제작 공정 관리를 철저히 해야겠지만, 우선 최대한 구매 소요 기간을 단축하여서 제작 공정 지연을 만회 할 수 있으며, 자재 발주를 앞당기므로써 제작 공정 관리에 집중하여 제작 공정 지연 방지에 노력 할 수 있다. 구매 부분의 공정 지연 및 제작 지연은 바로 후속 시공 공정 지연으로 연결되어 전체 프로젝트 공사 지연이 발생하게 되며, 전체 프로젝트 비용 대비 구매 부분의 비용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구매의 성공이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
특히, 예산 내에서 계획된 구매 일정에 따라 해당 자재들의 현장 소요일 내 도착하도록 발주 완료 하기는 매우 어려운 현실 이며 인적 요인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구매 부분은 설계와 시공의 가교 역할로서 많은 외부 업체들과 연관 되어 있고 플랜트 프로젝트의 기자재들 대부분이 주문 생산(Order Made)으로써 제작 기간이 필요하며, 공급 업체들도 한정 되어 있어서 외부 환경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고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플랜트 산업은 일반적인 건설 프로젝트와는 달리 엔지니어링, 기계설비 및 시공, 시운전등 여러 전문가가 모여 구현 하는 복합 프로젝트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물들이 필요로 한다. 이 다양한 시설물들의 구매 조달 여부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 한다고 볼 수 있다. 국내 건설사들의 현재 주어진 여건, 보유한 인적 자원 및 기술을 가지고 단 시간 내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는 부분이 구매 조달 분야이며, 전체 EPC 사업비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구매 부분(약 45~65%)은 구매 조달 품목 및 공급 체인(Supply Chain)이 다양하고 제작 및 운송 기간, 현장 소요 기간이 상이하다. 이런 여러 가지 상황이 구매 조달 계획 수립을 어렵게 만들고 있고 구매 조달 소요 기간의 지연에 따라 현장 도착 납기가 지연될 시 바로 프로젝트 공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플랜트 건설에서 구매 조달의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으나 연구의 대부분이 제조업의 구매, 구매 프로세스 개선, 공급자 관계 나 정비용 구매 조달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 논문은” H”사 실제 사례 중심으로 플랜트 프로젝트 구매의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구매 각 단계별 구매 행위(Activity)를 규정하여 표준화 하였다. 이 규정화한 각 구매 단계별 구매 행위(Activity) 기준으로 플랜트 프로젝트의 각 공종 자재별(기계, 배관, 전기, 계장)로 각 구매 단계별 평균 구매 소요 기간을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동일 자재 그룹(Group)군이 LLI(Long Lead Item)와 일반 구매 진행 품으로 각각 속해있는 자재 품목을 비교하여, LLI(Long Lead Item)품목으로 분류하여 구매를 시작했을시와 일반 구매품으로 분류하여 구매를 시작했을 때 발생하는 평균 구매 소요일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후 비교 분석한 결과를 근간으로 평균 구매 소요일 지연 또는 단축 요인을 도출 하여 평균 구매 소요일 단축 대안 및 방안을 제시 하여 추후 프로젝트 수행 시 구매 조달 업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구매 소요일정 계획 및 관리 방안 수립, 구매 전략 수립, 시스템(System) 개발 시 지표를 제시 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