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과 한반도 정세 전망 =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the Prospect of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Aftermath of North Korean attack on Yeonpyeong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2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recast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Yeonpyeong Island and vessel Cheonan incidents in 2010 and U.S.-China Summit in 2011.
      The intention of North Korea’s provocations are, internally for the residents'solidarity, showing off the capabilities of Kim Jong Un and demonstrating the power of Seongun politics, externally for the resumption of six party talks, induction of South-South conflict, and neutralization of NLL.
      If president Obama considers for reelection in 2012, he will take some drastic measures on North Korean issue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refore, Obama administration pressures on North Korea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induces ROK to accept North Korea’s dialogue offensives and attempts to resume the six party talks.
      North Korea is taking advantage of an opportunity of omni-directional dialogue offensives shaking the U.S. and South Korea with January 19th U.S.-China Summit. There seems no sincerity in North Korea’s omni-directional dialogue offensives. North Korea’s recent dialogue offensives are unprecedented. Therefore if you do not deal with North Korea properly, you will be in the fetch of North Korea. Therefore, in drastic changes of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e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strategies of considering North-South relations as well as the U.S and Chin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recast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Yeonpyeong Island and vessel Cheonan incidents in 2010 and U.S.-China Summit in 2011. The intention of North Korea’s provocations are, internally for the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recast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Yeonpyeong Island and vessel Cheonan incidents in 2010 and U.S.-China Summit in 2011.
      The intention of North Korea’s provocations are, internally for the residents'solidarity, showing off the capabilities of Kim Jong Un and demonstrating the power of Seongun politics, externally for the resumption of six party talks, induction of South-South conflict, and neutralization of NLL.
      If president Obama considers for reelection in 2012, he will take some drastic measures on North Korean issue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refore, Obama administration pressures on North Korea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induces ROK to accept North Korea’s dialogue offensives and attempts to resume the six party talks.
      North Korea is taking advantage of an opportunity of omni-directional dialogue offensives shaking the U.S. and South Korea with January 19th U.S.-China Summit. There seems no sincerity in North Korea’s omni-directional dialogue offensives. North Korea’s recent dialogue offensives are unprecedented. Therefore if you do not deal with North Korea properly, you will be in the fetch of North Korea. Therefore, in drastic changes of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e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strategies of considering North-South relations as well as the U.S and Chi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2010년 북한이 자행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및 우라늄농축시설 공개를 둘러싼 배경과 이에 대한 미국 및 국제사회의 대응을 살펴보고 미국의 대북정책의 변화양상을 분석해 본 후, 최근 미중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를 전망하는데 있다.
      북한의 도발 의도는 대내적으로 주민 결속, 김정은의 역량과시, 선군정치의 위력 과시의 목적이 있었고, 대외적으로는 6자회담 재개, 남남갈등 유도, NLL 무력화 등의 목적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바마 대통령이 2012년 재선을 고려한다면 금년 하반기까지 북한문제에도 어느 정도 특단의 조치를 강구하면서 적극적으로 나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북한을 강하게 압박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으로 하여금 북한의 대화 제의를 받아들일 것을 유도하고 6자회담 재개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1월 19일 미중 정상회담을 미국과 한국을 흔드는 전방위 대화공세의 기회로이용하고 있다. 북한의 전방위 대화공세는 진정성을 갖고 있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최근 북한의 대화공세는 유례가 없는 것으로 북한의 저의를 파악하고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북한의 술책에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급격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정세의 변화 속에서 우리는 남북관계뿐만 아니라 대미·중관계 등 모두를 고려하는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2010년 북한이 자행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및 우라늄농축시설 공개를 둘러싼 배경과 이에 대한 미국 및 국제사회의 대응을 살펴보고 미국의 대북정책의 변화양...

      본 논문의 목적은 2010년 북한이 자행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및 우라늄농축시설 공개를 둘러싼 배경과 이에 대한 미국 및 국제사회의 대응을 살펴보고 미국의 대북정책의 변화양상을 분석해 본 후, 최근 미중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를 전망하는데 있다.
      북한의 도발 의도는 대내적으로 주민 결속, 김정은의 역량과시, 선군정치의 위력 과시의 목적이 있었고, 대외적으로는 6자회담 재개, 남남갈등 유도, NLL 무력화 등의 목적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바마 대통령이 2012년 재선을 고려한다면 금년 하반기까지 북한문제에도 어느 정도 특단의 조치를 강구하면서 적극적으로 나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북한을 강하게 압박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으로 하여금 북한의 대화 제의를 받아들일 것을 유도하고 6자회담 재개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1월 19일 미중 정상회담을 미국과 한국을 흔드는 전방위 대화공세의 기회로이용하고 있다. 북한의 전방위 대화공세는 진정성을 갖고 있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최근 북한의 대화공세는 유례가 없는 것으로 북한의 저의를 파악하고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북한의 술책에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급격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정세의 변화 속에서 우리는 남북관계뿐만 아니라 대미·중관계 등 모두를 고려하는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관희, "한미의 대북인식 공유 긴요"

      2 윤태영, "한미 동맹체제 하에서 한국의 대북한 위기관리, 1968~1983" 33 (33): 1999

      3 김근삼, "클린턴, ‘천안함 분명한 대응 실패로 북한 추가 도발"

      4 스인홍, "중국의 북 UEP 우려, 표현 약해도 언급 자체가 큰 진전"

      5 이인호,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미북관계 전망" 강원정치학회 2009

      6 전성훈,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대한민국의 선택" 통일연구원 2010

      7 오경섭, "북한의 연평도 군사도발과 우리의 대응"

      8 정경영, "북한의 연평도 공격과 대한민국의 안보국방태세"

      9 형혁규, "북한의 ‘연평도 도발’ 배경과 우리의 안보태세" 국회입법조사처 (157) : 2010

      10 박정우, "북 테러지원국 재지정안 곧 제출"

      1 홍관희, "한미의 대북인식 공유 긴요"

      2 윤태영, "한미 동맹체제 하에서 한국의 대북한 위기관리, 1968~1983" 33 (33): 1999

      3 김근삼, "클린턴, ‘천안함 분명한 대응 실패로 북한 추가 도발"

      4 스인홍, "중국의 북 UEP 우려, 표현 약해도 언급 자체가 큰 진전"

      5 이인호,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미북관계 전망" 강원정치학회 2009

      6 전성훈,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대한민국의 선택" 통일연구원 2010

      7 오경섭, "북한의 연평도 군사도발과 우리의 대응"

      8 정경영, "북한의 연평도 공격과 대한민국의 안보국방태세"

      9 형혁규, "북한의 ‘연평도 도발’ 배경과 우리의 안보태세" 국회입법조사처 (157) : 2010

      10 박정우, "북 테러지원국 재지정안 곧 제출"

      11 홍관희, "북 대화공세, 서해5도 침공 은폐 목적인가"

      12 우수근, "미중정상회담이 남긴 것"

      13 "기타 일간지 인터넷 기사"

      14 Wines, Michael, "U.S. Shifts Toward Talks on N. Korea"

      15 James Steinberg, "Speech of Deputy Secretary of State"

      16 Chanlett-Avery, "North Korea:U.S. Relations, Nuclear Diplomacy, and Internal Situation" CRS Report for Congress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