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개인특성에 따른 음악상품 소비에 관한 연구 - 몰입을 매개변수로 = Study on Music Consumption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y - Mediating Role of Flo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3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about consumers’ personality to influence music consumption through purchasing representative products such as CD, DVD, online music and paid concerts (including music festival) in a larger growth in the domestic music indust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consumers’ personality like expertise, involvement and arousal intensity were in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to music product and sexuality were moderating variable. Also it set flow to music was mediating variable and music consumption, cross-selling and word of mouth were dependent variable. And this study measured male and female separately. Normally, Music consumers had an interest in music product, higher loyalty level and higher level of flow to the music. Also Flow worked between involvement and cross-selling and between expertise and word of mouth as a mediating variable but satisfaction to music product and sexuality didn’t worked as moderating variable. Through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 industry and be prepared to give a foundation to get closer to consumers’ expect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valuated about consumers’ personality to influence music consumption through purchasing representative products such as CD, DVD, online music and paid concerts (including music festival) in a larger growth in the domestic music industry....

      This study evaluated about consumers’ personality to influence music consumption through purchasing representative products such as CD, DVD, online music and paid concerts (including music festival) in a larger growth in the domestic music indust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consumers’ personality like expertise, involvement and arousal intensity were in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to music product and sexuality were moderating variable. Also it set flow to music was mediating variable and music consumption, cross-selling and word of mouth were dependent variable. And this study measured male and female separately. Normally, Music consumers had an interest in music product, higher loyalty level and higher level of flow to the music. Also Flow worked between involvement and cross-selling and between expertise and word of mouth as a mediating variable but satisfaction to music product and sexuality didn’t worked as moderating variable. Through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 industry and be prepared to give a foundation to get closer to consumers’ expec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성장세가 커지는 국내 음악 산업에서 대표적인 물리적 상품인 음반(CD ,DVD), 온라인 음원, 유료 공연(음악 축제 포함) 구입을 통해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음악 상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이라고 볼 수 있는 전문성, 관여도, 감성강도를 독립변수로, 음악상품에 대한 만족, 성별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음악에 대한 몰입을 매개변수로, 음악상품 소비인 관련영역구매와 구전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남성, 여성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음악상품 소비자들은 평소 음악 상품에 가지고 있는 관심, 애호도 수준이 높을수록 음악에 대한 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몰입은 관여도와 관련영역구매 사이, 전문성과 구전의도 사이에 매개효과로 작용하였지만 음악상품에 대한 만족과 성별은 조절변수로 작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소비자에게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성장세가 커지는 국내 음악 산업에서 대표적인 물리적 상품인 음반(CD ,DVD), 온라인 음원, 유료 공연(음악 축제 포함) 구입을 통해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음악 상품 소비에...

      본 연구는 최근 성장세가 커지는 국내 음악 산업에서 대표적인 물리적 상품인 음반(CD ,DVD), 온라인 음원, 유료 공연(음악 축제 포함) 구입을 통해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음악 상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이라고 볼 수 있는 전문성, 관여도, 감성강도를 독립변수로, 음악상품에 대한 만족, 성별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음악에 대한 몰입을 매개변수로, 음악상품 소비인 관련영역구매와 구전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남성, 여성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음악상품 소비자들은 평소 음악 상품에 가지고 있는 관심, 애호도 수준이 높을수록 음악에 대한 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몰입은 관여도와 관련영역구매 사이, 전문성과 구전의도 사이에 매개효과로 작용하였지만 음악상품에 대한 만족과 성별은 조절변수로 작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소비자에게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경, "한국 문화소비자의 특성과 관객개발에 관한 연구" 3 : 148-169, 2003

      2 정영남, "프로축구 관람소비자 행동의도 영향요인" 38 (38): 824-833, 1999

      3 안대희, "축제 방문객의 참여동기가 참여몰입 및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91-399, 2009

      4 강순화, "축제 관여도,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간의 관계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159-176, 2011

      5 채지영, "체험상품으로서의 대중음악 소비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14 (14): 5-140, 2003

      6 이진희, "제품 관련 온라인 구전(e-WOM)의 효과: 방향성, 유용성, 상호작용 성향(IR)의 역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2 (12): 283-307, 2011

      7 손준상, "인터넷쇼핑에서 감정과 플로우가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및 구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19 (19): 489-509, 2006

      8 전우영, "인터넷 쇼핑에서 사용후기가 제품에 대한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차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7 (7): 113-129, 2006

      9 김지혜, "은행서비스 산업에서 교차구매 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1 (11): 57-89, 2009

      10 성영신, "온라인 구전정보가 관람 의도에-‘기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57 : 31-52, 2002

      1 정미경, "한국 문화소비자의 특성과 관객개발에 관한 연구" 3 : 148-169, 2003

      2 정영남, "프로축구 관람소비자 행동의도 영향요인" 38 (38): 824-833, 1999

      3 안대희, "축제 방문객의 참여동기가 참여몰입 및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91-399, 2009

      4 강순화, "축제 관여도,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간의 관계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159-176, 2011

      5 채지영, "체험상품으로서의 대중음악 소비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14 (14): 5-140, 2003

      6 이진희, "제품 관련 온라인 구전(e-WOM)의 효과: 방향성, 유용성, 상호작용 성향(IR)의 역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2 (12): 283-307, 2011

      7 손준상, "인터넷쇼핑에서 감정과 플로우가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및 구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19 (19): 489-509, 2006

      8 전우영, "인터넷 쇼핑에서 사용후기가 제품에 대한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차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7 (7): 113-129, 2006

      9 김지혜, "은행서비스 산업에서 교차구매 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1 (11): 57-89, 2009

      10 성영신, "온라인 구전정보가 관람 의도에-‘기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57 : 31-52, 2002

      11 홍경완, "예술축제에서의 몰입: 내재적 동기, 몰입, 재방문의도"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115-131, 2007

      12 조광익, "여가 소비와 문화자본의 관계 - 여가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91-314, 2010

      13 이호배, "소비자 태도형성과정에서 감정강도의 역할 재평가: 긍정적 정서유발형 광고를 중심으로" 9 (9): 83-111, 1998

      14 이미아, "소비자 지식이 사고체계와 온라인 탐색경향에 미치는 영향: 제품가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23 (23): 115-142, 2012

      15 서문식, "성별에 따른 인터넷 쇼핑상황에서 감정적 반응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9 : 1-28, 2002

      16 김덕출, "서비스산업에서 획득채널 고객별 추가구매에 대한 관계품질변수의 차별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 10 (10): 33-49, 2012

      17 이문규, "서비스 충성도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14 (14): 21-45, 1999

      18 박은아, "브랜드 인지도 및 제품 유형에 따른 사용후기 영향력: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2008

      19 이지훈, "방문동기, 만족도, 구전, 지역이미지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산거리극 축제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경제학회 13 (13): 155-174, 2010

      20 정익준, "박물관 관람객의 몰입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실천민속학회 12 : 331-352, 2008

      21 지주은, "뮤지컬 관객의 플로우(flow)경험 구조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12 (12): 87-114, 2009

      22 채지영, "문화상품의 소비 경험: 라이브콘서트를 중심으로" 20-21, 2000

      23 서철현, "문경 전통찻사발축제에 대한 브랜드 인식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몰입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67-184, 2010

      24 김성용, "무용공연 관객성향과 몰입 및 관람가치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9 (19): 911-922, 2010

      25 김정구, "마케팅활동, 사회적 상호작용, 플로우가 온라인 게임의 애호도와 구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온라인 게임의 브랜드매력성과 브랜드일체감의 매개적 영향 -" 한국마케팅학회 18 (18): 93-120, 2003

      26 이수범, "디지털 시대의 음악산업" 한울 2012

      27 주영진, "기술제품 재구매시 제품지식과 전환비용이 제품속성별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22 (22): 245-265, 2011

      28 신일수, "국내 음반산업의 현황과 과제" 2003

      29 신현준, "국내 음반산업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보고서" 삼성경제연구소 2002

      30 김재영, "광고배경음악 장르와 성별에 따른 경로모형 검증: 발라드 음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43-74, 2006

      31 권혁인, "공연서비스에 대한 관람객의 순차적 기대 및 성과와 만족 간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87-302, 2011

      32 이유재, "고객의 애칭명명 행동이 제품선호에 미치는 영향 - ‘옆구리폰', 애칭인가? 브랜드인가? -" 한국소비자학회 18 (18): 21-48, 2007

      33 정윤희, "경험적 소비에서 경험특성, 즐거움과 죄책감, 재경험 의도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8 (38): 523-553, 2009

      34 Locke, E. A., "What is Job Satisfaction?" 4 (4): 309-336, 1969

      35 Larsen, R. J, "Theory and measurement of affect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 1984

      36 Styven, M. E., "The need to touch: Exploring the link between music involvement and tangibility preference" 63 (63): 1088-1094, 2010

      37 Krugman, H., "The measurement of Advertising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lity 583-596, 1966

      38 Teresa, L.,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work performance" 33 : 173-191, 2005

      39 Oliver, R. N.,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ustomer" Mcgraw-Hill Inc 1997

      40 Konecni, V. J., "Psychology of Music"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41 Spangenberg, E. R.,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dimensions of attitude: A generally applicable scale" 24 (24): 235-241, 1997

      42 Okada, E. M., "Justification Effects on Consumer Choice of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42 (42): 43-53, 2005

      43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Plenum Press 1975

      44 Silverman, G., "How to harness the awesome poser of word of mouth"

      45 Lacher, K. T., "Hedonic Consumption: Music as a Product" 16 : 367-373, 1989

      46 Hirschman E. C.,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46 (46): 92-101, 1982

      47 두정완, "Flow 개념과 인터넷상의 소비자 구매의도와의 관계 및 Flow유형에 따른 구매행동 차이 분석" 한국경영학회 32 (32): 4-118, 2003

      48 Soureli, M.,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cross-buying intention: A model for financial services" 13 (13): 5-16, 2008

      49 한상린, "FLOW 개념을 이용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소비자 구매의도 결정요인분석" 15 (15): 187-204, 2000

      50 Hirschman, E. C., "Ethnic Variation in Hedonic Consumption" 118 (118): 225-234, 1982

      51 Ngobo, P. V., "Drivers of Client Cross-Buying Intentions" 38 (38): 1129-1157, 2004

      52 Myers, S., "Donations to Charity as 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 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24 (24): 434-446, 1998

      53 Kruger, M., "Does loyalty pay? First-time verses repeat visitors at a national arts festival" 14 (14): 79-104, 2010

      54 Alba, J.,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13 : 411-454, 1987

      55 Solomon, M. R., "Consumer behavior: Buying, Having and Being" Prentice Hall 2002

      56 Petty, R. E.,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ling Role of Involvement" 10 : 135-146, 1983

      57 Csil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siety" Jossey-Bass 1975

      58 Hausman, A., "Attribute satisfaction and experiential involvement in evlauations of live musical performance: Theory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services" 18 (18): 210-217, 2011

      59 Lacher K. T.,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esponses and Relationships Involved in the Evaluation of, and in the Intention to Purchase New Rock Music" 21 (21): 366-380, 1994

      60 Larsen, R. J, "After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 A review" 21 (21): 1-39, 1987

      61 Lechmann, A. C., "Affective Responses to Everyday Life Events and Music Listening" 25 : 84-90, 1997

      62 Rusbult, C. E., "A longitudinal test of the investment model: The development and deterioration of satisfaction and commitment in heterosexual involvement" 45 : 101-147,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KCI등재
      2021-04-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8 1.48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