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감상수업이 메타인지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ppreciation Class Using Digital Mind Map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 Cogn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6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감상수업에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과 매타인지에 의한 확산적 사고를 지향하게 하는 데 있다.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감상수업이 주는 교육적 의미를 고려해 볼 때, 기존의 교과서 위주의 텍스트 자료 및 PPT 감상이 주를 이루는 강의식 교수-학습 과정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2-2013 학년도 현재까지 연구자가 담당하는 중학교 2학년 5개 학급을 대상으로 감상수업에 디지털 마인드맵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과 메타인지 측면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개개인의 인지적 사고 세계를 고려한 미적체험의 전개방식은 감상수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감상수업에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과 매타인지에 의한 확산적 사고를 지향하게 하는 데 있다.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감상수업이 주는 교육...

      본 연구의 목적은 감상수업에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과 매타인지에 의한 확산적 사고를 지향하게 하는 데 있다.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감상수업이 주는 교육적 의미를 고려해 볼 때, 기존의 교과서 위주의 텍스트 자료 및 PPT 감상이 주를 이루는 강의식 교수-학습 과정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2-2013 학년도 현재까지 연구자가 담당하는 중학교 2학년 5개 학급을 대상으로 감상수업에 디지털 마인드맵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과 메타인지 측면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개개인의 인지적 사고 세계를 고려한 미적체험의 전개방식은 감상수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divergent think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 cognition of students using digital mind map in appreciation clas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appreciation class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 education. instructor-led teaching learning process mainly proceeded by existing coursebook-oriented text material and PPT appreciation needs to be improved.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applied digital mind map and observed the results in appreciation class aiming at five classes of second year class in my charge from 2012 to 2013.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deduced meaningful implication in the re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 cognition. In particular. modes of development of esthetics experience considering individual cognitive thinking system showed the new way in appreciation cla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divergent think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 cognition of students using digital mind map in appreciation clas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appreciation class from the point of view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divergent think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 cognition of students using digital mind map in appreciation clas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appreciation class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 education. instructor-led teaching learning process mainly proceeded by existing coursebook-oriented text material and PPT appreciation needs to be improved.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applied digital mind map and observed the results in appreciation class aiming at five classes of second year class in my charge from 2012 to 2013.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deduced meaningful implication in the re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 cognition. In particular. modes of development of esthetics experience considering individual cognitive thinking system showed the new way in appreciation cla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여는 글
      • Ⅱ. 디지털 마인드맵의 정의와 특성 및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 Ⅲ. 감상수업에서 디지털 마인드맵 활용의 실제
      • Ⅳ. 맺는 글
      • <요약>
      • Ⅰ. 여는 글
      • Ⅱ. 디지털 마인드맵의 정의와 특성 및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 Ⅲ. 감상수업에서 디지털 마인드맵 활용의 실제
      • Ⅳ. 맺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영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매체의 제작" 학지사 2009

      2 신 해, "학교성적을 쑥쑥 올려주는 디지털 마인드맵: 초등학생용" 필통 2007

      3 오경철, "트리즈 마인드맵: 생각이 열리는 나무" 성안당 2012

      4 Buzan, T., "토니 부잔의 마인드맵 두뇌사용법" 비즈니스맵 2010

      5 전소연, "컴퓨터 과목에서 디지털 마인드 맵의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김범준, "캐릭터 디자인 교육에서 마인드맵과 스캠퍼를 활용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김광채, "초등생 교과를 응용한 디지털 마인드맵" 필통 2008

      8 이경아, "창의적 조형감각 향상을 위한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사례"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97-122, 2011

      9 정영교, "창의적 사고의 기술: 생각의 지도를 그려라" 크레듀 2006

      10 이경아,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과 운영방안"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27-158, 2010

      1 백영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매체의 제작" 학지사 2009

      2 신 해, "학교성적을 쑥쑥 올려주는 디지털 마인드맵: 초등학생용" 필통 2007

      3 오경철, "트리즈 마인드맵: 생각이 열리는 나무" 성안당 2012

      4 Buzan, T., "토니 부잔의 마인드맵 두뇌사용법" 비즈니스맵 2010

      5 전소연, "컴퓨터 과목에서 디지털 마인드 맵의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김범준, "캐릭터 디자인 교육에서 마인드맵과 스캠퍼를 활용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김광채, "초등생 교과를 응용한 디지털 마인드맵" 필통 2008

      8 이경아, "창의적 조형감각 향상을 위한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사례"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97-122, 2011

      9 정영교, "창의적 사고의 기술: 생각의 지도를 그려라" 크레듀 2006

      10 이경아,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과 운영방안"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27-158, 2010

      11 안지혜, "지필마인드맵과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생물수업의 효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이경아, "중학교 조소표현 영역에서 ICT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지도 방안 연구" 17 : 347-371, 2010

      13 Meyer, H.,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14 Tileston, D. W., "좋은 수업의 실제 - 10가지 전략" 시그마 프레스 2007

      15 전도근, "전도근 박사의 자기주도학습 코칭 전략" 학지사 2012

      16 박형근, "자기주도학습교육방법론" 아트블루 2012

      17 Efland, A. D., "인지 중심 미술 교육론 탐구: 교윢과정 개발의 새접근" 교육 과학사 2005

      18 이경아, "유비쿼터스(Ubiquitous) 패러다임 시대의 미술교육 전망"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117-144, 2011

      19 Eisner, E. W., "예술교육론 - 미술교과의 재발견" 아카데미프레스 2007

      20 "알마인드"

      21 이영희, "스마트폰을 활용한 디지털 마인드맵: 생각 정리기술" 글로벌 2011

      22 이영희, "성공을 위한 생각정리기술 Thinkwise를 활용한 디지털 마인드맵" 글로벌 2011

      23 Rebaud, D., "생각정리의 기술: 한 장으 로 끝내는 천재들의 사고법, 마인드맵" 지형 2006

      24 이창림, "미술수업에서 교사의 스캐폴딩(scaffolding)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27 (27): 407-434, 2011

      25 김혜숙,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12

      26 류지영, "미술감상교육" 미진사 2011

      27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 시공사 2003

      28 Csikszent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해냄 2010

      29 "목일중학교 이경아 샘의 그림창고"

      30 김준모, "마인드맵퍼 씽크와이즈로 완성하는 일본어: 두뇌개발도구" 필통 2009

      31 손아영, "마인드맵의 유형과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여부에 따른 생활문 쓰기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및 쓰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2 김은애, "마인드맵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3 최행규, "러시아어 학습을 위한 디지털 마인드맵의 활용" 러시아연구소 24 (24): 243-267, 2008

      34 서미경, "디지털마인트맵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5 김수영,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컴퓨터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흥미도와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6 석진일,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상호작용 수업이 초등사회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7 채정화,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사회과 교수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흥미,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8 김준모, "디지털 정리비법: 창의적인 학습법으로 공부의 달인이 되는" BM성안당 2010

      39 김수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컴퓨터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흥미도와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245-248, 2011

      40 고윤경,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중학교 사회과 내용의 통합적 재구성 : '인구변화와 인구문제'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1 최행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러시아어 어휘 및 문장 학습법 제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0 (10): 221-235, 2007

      42 이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09

      43 윤승금, "교육매체의 이론과 실제" 서울 2004

      44 나일주, "교육공학 관련 이론" 교육과학사 2010

      45 Byrnes, J. P., "교과수업 맥락에서의 인지발달과 학습" 아카데 미프레스 2011

      46 백가령,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에서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7 Dumont, H., "‘학습의 본질: 인지적 관점에서 본 학습 기제‘ 및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육 개발원 2011

      48 Clark, R. C., "e-learning과 교수과학" 아카데미프레스 2006

      49 이경아, "Web 2.0에 기반 한 스마트 러닝(SMART-learning) 에서의 미술교육 - 중학교에서 디지털 몽타주를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139-164, 2012

      50 김준모, "ThinkWise를 응용한 디지털 마인드맵" 글로벌 2006

      51 반신환, "(인지과정 중심의) 자기주도 학습법" 시그마프레스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4 0.91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