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15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단소 학습 내용 고찰 및 지도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88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예술전문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 음악과 대금전공 , 2021. 8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 133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정승

      • UCI식별코드

        I804:11068-200000507918

      • 소장기관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등학교 국악교육은 교육과정 개정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강조되었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모든 국악기를 교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였지만 실제 학교에서는 다양한 국악기 지...

      초등학교 국악교육은 교육과정 개정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강조되었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모든 국악기를 교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였지만 실제 학교에서는 다양한 국악기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기의 종류 역시 단소, 소고, 소금, 장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가락 악기의 경우는 단소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그럼에도 많은 학생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하고도 단소 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것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초등학교 5‧6학년 검인정 8종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단소 지도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정간보 독보에 필수적인 이론 및 단계에 맞는 학습 내용의 부족, 연주곡의 부재로 교사 개인의 지도 능력에 따라 수업의 질이 좌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소를 자신 있게 지도할 수 있는 교사도 부족하다.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바람직하고 체계적인 국악 기악 교육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국악 제재곡의 연계성과 학년군의 연결성을 살린 단소의 5단계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모든 단계에는 활동지를 제시하여 학생 스스로 학습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정간보와 율명의 개념을 정확히 알고 단소를 연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정간보 독보법과 이론 학습을 다양한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정간보에 가창 제재곡의 노랫말이나 단어를 한글로 기보해 1정 1박, 2소박, 3소박을 연습하도록 했고 나아가 중성의 12율명과 청성을 구분한 단소의 주요 율명을 제시하였다.
      2단계 악기 탐색은 대금, 소금, 단소의 음색 및 특징을 비교하는 활동이다. 실물악기나 시청각자료를 활용해 3가지 악기의 연주를 비교 감상하도록 했고 단소의 구조와 명칭을 설명하였다.
      3단계 연주 자세 및 소리내기는 관악기 연주의 기본이 되는 복식호흡법을 다루고 바른 자세와 안정적인 취법을 위한‘1,2,3,4 자세’,‘주먹 소리내기’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입 모양을 설명하고 입김을 조절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 스스로 연습 계획을 세워 연주하도록 하였다.
      4단계 운지법 및 연주하기는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소리낼 수 있는‘無-潢-汰-淋-㳞-林-仲-潕’의 순서로 운지법을 익히도록 하고, 각 율명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17개의 연습곡과 연주곡을 제시하였다. 소리내기에 익숙해진 학생들은 앞서 학습한 곡을 ‘혀 치기’ 주법으로 연주하도록 정간보에 함께 기보하였다.
      5단계는 심화 학습으로 ‘南(湳)’의 교차운지와 장식음 부호 2가지(니레, 노니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제시곡인 ‘천년만세 中 계면가락도드리’의 일부를 연주하도록 지도하고, 앞선 제시곡에 장식음 부호를 넣어 새롭게 연주하는 활동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지도방안이 5‧6학년 학생들의 단소 연주 기량 향상에 도움이 되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는 기초적인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음악을 즐긴다는 목표를 실현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gone through series of curriculum revisi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has provided the possibility to teach all kinds of...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gone through series of curriculum revisi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has provided the possibility to teach all ki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but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teaching variou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n school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presented in music textbooks are still mainly composed of danso, sogo, sogeum, and janggu. In terms of rhythm instruments, the proportion of danso is overwhelmingly high. Nevertheless, many students do not know how to make the sound of danso even after graduating from elementary school. Accordingly, this study carefully reviewed the contents of teaching danso contained in eight kinds of music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class depends on the teaching ability of each teacher due to the lack of theoretical learning, which is essential for jungganbo's reading, and the absence of appropriate graded step-by-step learning content and songs to perform. Also there are not enough teachers who can teach danso with confidence. Therefore, this study sought a five-step teaching method of danso that fully reflects the connection of Korean traditional topic songs and the connection of the grade group for the desirable and systemat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At each step, activity papers were provided to students to complete tasks by themselves.

      In step 1, teachers instruct theoretical learning and jungganbo's reading necessary for playing danso through various activities. Step 2, instrument search, is where teachers explain the tone and characteristics of danso comparing daegeum with sogeum. Step 3 requires direct guidance of teachers because it is most challenging for students to maintain proper performance posture and make the sound of danso. Therefore, teachers should instruct students with detailed explanations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 order for them to learn the right way to play danso and practice on their own. In step 4, students learn fingering in the order of ‘無-潢-汰-淋-㳞-林-仲-潕’and they start from 無 which is easier to maintain stable performance. In addition, I selected songs for each note called yulmyeong in Korean, and marked the notes in jungganbo for students to practice tongue flicking after they master making the sound of danso. Step 5 is for advanced learning where two types of cross fingering and decorative codes are presented. They can be used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singing songs that are listed in music textbooks.
      The teaching method present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lay danso.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method will contribute to realizing the goal of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for students to creatively express and enjoy music by learning the basic performance fun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5
      • 3. 선행논문 고찰 7
      • Ⅱ. 이론적 배경 12
      • I.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5
      • 3. 선행논문 고찰 7
      • Ⅱ. 이론적 배경 12
      • 1.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13
      • 1) 성격 13
      • 2) 목표 14
      •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5
      • 4) 교수 · 학습 방향 18
      • 5) 평가 20
      • 2. 5 · 6학년 음악 교과서 분석 22
      • 1) 국악 기악 교육 현황 22
      • 2) 출판사별 단소 학습 내용 분석 25
      • 3) 단소 지도내용 분석 33
      • 4) 국악 제재곡 분석 72
      • Ⅲ. 단소 지도내용의 개선방안 78
      • 1. 정간보 79
      • 1) 정간보의 유래 79
      • 2) 정간보 독보 80
      • 3) 12율명과 청성 83
      • 2. 악기 탐색 86
      • 1) 대금, 소금, 단소 비교 86
      • 2) 단소의 구조와 명칭 88
      • 3. 연주 자세 및 소리내기 89
      • 1) 바른 연주 자세와 취법 89
      • 2) 단소 관리법 97
      • 3) 연습 계획 세우기 98
      • 4. 운지법 및 연주하기 99
      • 1) 無-潢-汰 99
      • 2) 淋-㳞 101
      • 3) 林-淋, 仲-㳞 103
      • 4) 潕 104
      • 5) 혀 치기 105
      • 6) 합주 105
      • 5. 심화 학습 107
      • 1) 교차운지 107
      • 2) 장식음의 부호 109
      • Ⅳ. 결론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