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ACUM 기법에 의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 개발 = Development of Job Description of Clinical Dietitians in Hospitals by the DACUM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23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통해 국내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를 조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를 평가함으로써 병원 임상영양사를 위한 직무기술...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통해 국내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를 조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를 평가함으로써 병원 임상영양사를 위한 직무기술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 7월초에 DACUM 워크숍을 통해 1차적으로 직무기술서를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회의와 Delphi 조사 방법을 적용한 표적집단 면접을 통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쳐 직무기 술서를 도출하였다. DACUM 위원회의 패널로는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임상영양사 9인과 임상영양학을 전공하는 교수 4인, 직무분석을 담당하는 교수 1인 등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전문가 자문단을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의사 1인, 간호사 1인, 임상영양분야 실무자 및 교수 5인이 포함된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였다. 도출된 직무기술서는 2011년 7∼8월까지 전국 500병상 이상의 종합 병원 90개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46개 병원에서 각각 임상영양 실무책임자 1인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현장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처음 도출된 직무는 총 8개의 직무, 33개의 과업, 114개의 과업요소였으나 수정 보완작업을 거쳐 총 7개의 직무, 27개의 과업과 93개의 과업요소로 재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는 영양판정(A), 영양진단(B), 영양중재(C), 영양모니터링ㆍ평가(D), 자문ㆍ협력(E), 영양연구(F), 자기계발(G)로 도출되었다. 2. 각 직무영역별로 세부내용을 보면, (A) 영양판정은 A1. 영양 초기평가하기, A2. 식품영양관련 자료 수집·평가하기, A3.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A4. 신체계측 자료 수집·평가하기, A5.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A6. 개인력 및 과거력 점검하기, A7. 영양 요구량 결정하기, A8. 영양판정 기록하기의 8개의 과업으로 구분하였다. (B) 영양진단은 B1. 영양진단 도출하기, B2. 우선순위 정하기, B3. 영양진단 기록하기로 나뉘었고, (C) 영양 중재는 C1. 영양중재 계획하기, C2. 영양처방 관리하기, C3. 영양상담하기, C4. 영양교육하기, C5. 영양집중지원하기, C6. 영양중재 기록하기로 구분 하였다. (D) 영양모니터링·평가는 4개의 과업으로 D1.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D2. 영양중재과정 모니터하기, D3. 영양중재 결과 평가하기, D4. 영양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로 구분하였다. (E) 자문·협력은 E1. 영양자문하기, E2.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로 (F) 영양연구는 F1. 질 향상 활동하기, F2. 연구 활동하기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G) 자기계발은 G1. 전문성 향상, G2. 자기관리가 포함되었다. 3. 도출된 임상영양 직무기술서에 대한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 병원의 유형은 상급종합 병원이 65.2%를 차지하였으며, 종합병원은 34.8%였다. 병원의 재원일수는 8.0±1.5일이었으며 병원 조직에서 영양부서는 6곳을 제외한 39개의 병원에서 진료부서 또는 진료지원부서에 속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영양부서가 단독으로 편제되어 있는 경우가 9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병원 임상 영양사의 성별은 여자가 100%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포는 40∼4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인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최종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과업요소의 인지된 중요도를 비교하면 6개의 과업요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업요소들이 4.0점 이상이었고 총 7개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는 ‘영양중재’가 4.6±0.6점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진단’과 ‘영양모니터링·평가’의 직무가 4.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 되었다. 전체 과업요소 중 수행도가 4.5점 이상으로 매우 자주 수행되는 과업요소가 13개, 4.0점 이상의 자주 수행되는 과업도 29개의 과업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 중 ‘영양중재’가 4.2±1.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영양연구’ 업무가 4.1±0.9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영양진단’과 ‘자문·협력’은 각각 3.8±1.0점, 3.7±0.9점으로 비교적 어렵게 인식되는 직무로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과업요소 전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의 평균은 각각 4.5±0.8점, 3.7±1.3점, 3.5±1.0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임상영양사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격자도 분석에서 영양 초기평가하기, 영양요구량 결정하기, 영양판정 기록하기, 영양진단 도출하기, 영양중재 계획하기, 영양처방 관리하기, 영양교육하기, 영양집중지원하기, 영양중재 기록하기,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영양중재 과정 모니터하기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doing great)에, 식품영양관련 자료수집·평가하기,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신체계측 자료수집·평가하기,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개인력 및 과거력 자료 점검하기, 영양진단의 우선순위 정하기, 영양진단 기록하기, 영양상담하기, 영양 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는 수행도는 높으나 중요도가 낮은 영역(overdone)에 속하였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영역(focus here)에는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질 향상 활동하기가 속하였고,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영역(low priority)은 영양중재 평가하기, 영양 자문 활동하기, 연구 활동하기, 전문성 향상하기, 자기관리하기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개발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는 현장에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인지된 중요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지만 그에 비해 수행도가 미흡한 과업들에 대하여는 임상영양사에 대한 교육 실시, 업무 분담, 적정인원 배치 등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하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질병별 맞춤형 임상영양 업무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환자 영양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and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job analysis, information on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was determined. To verify the job descriptions derived from DACUM analysis, a total of 46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included 7 duties, 27 tasks, and 93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nutrition monitoring·evaluation, consultation·cooperation, nutrition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n the clinical dietitian`s task elements (out of a maximum score of 5.0) were 4.5, 3.7, and 3.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P<0.001).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grid of clinical dietitian`s tasks showed tha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llaboration” (E2) and “activity of quality improvement” (F1)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for performance despite their high importance scores; thus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job descriptions of clinical dietitian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수자,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3 (33): 179-188, 2003

      2 이해영, "임상영양서비스의 효과성 평가: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을 통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9 (9): 81-89, 2004

      3 최기보,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인식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8 (18): 59-71, 2012

      4 한민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및 요구도" 대한영양사협회 18 (18): 266-275, 2012

      5 박은주,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부산ㆍ경남지역 의료진과 영양사의 인식 차이" 대한영양사협회 19 (19): 69-81, 2013

      6 강창렬, "의료기관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 한국병원경영학회 12 (12): 1-30, 2007

      7 문현경, "영양사 직무기술서(2000년)의 영양사 직무영역별 특성 분석2; 병원" 대한영양사협회 8 (8): 132-142, 2002

      8 김혜진, "서울지역 의료기관의 임상영양서비스 현황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7 (17): 176-189, 2011

      9 박말숙, "부산·경남지역 요양병원 영양사의 업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602-612, 2011

      10 차진아, "보건소 영양사를 위한 직무 기술서 개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890-902, 2008

      1 변수자, "장기이식 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3 (33): 179-188, 2003

      2 이해영, "임상영양서비스의 효과성 평가: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을 통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9 (9): 81-89, 2004

      3 최기보,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인식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8 (18): 59-71, 2012

      4 한민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및 요구도" 대한영양사협회 18 (18): 266-275, 2012

      5 박은주,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부산ㆍ경남지역 의료진과 영양사의 인식 차이" 대한영양사협회 19 (19): 69-81, 2013

      6 강창렬, "의료기관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 한국병원경영학회 12 (12): 1-30, 2007

      7 문현경, "영양사 직무기술서(2000년)의 영양사 직무영역별 특성 분석2; 병원" 대한영양사협회 8 (8): 132-142, 2002

      8 김혜진, "서울지역 의료기관의 임상영양서비스 현황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7 (17): 176-189, 2011

      9 박말숙, "부산·경남지역 요양병원 영양사의 업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602-612, 2011

      10 차진아, "보건소 영양사를 위한 직무 기술서 개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890-902, 2008

      11 윤혜진, "병원 영양사의 직무만족도 및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100-113, 2009

      12 이주은, "병원 영양부서의 급식 및 영양관리 평가 지표개발 및 검증" 대한영양사협회 15 (15): 364-382, 2009

      13 박은철, "미국 임상영양치료(MNT)의 법제화 과정 및 수가체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13-862, 2002

      14 김현아, "메타분석을 이용한 임상영양서비스의 비용-효과성 평가" 한국영양학회 36 (36): 515-527, 2003

      15 조경숙,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이용한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분석" 기본간호학회 15 (15): 566-577, 2008

      16 홍신양, "노인의료복지시설 영양사의 직무 수행 빈도와 교육필요도" 대한영양사협회 16 (16): 160-177, 2010

      17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descriptions: Models for careers in dietetics. 2nd ed"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3-67, 2008

      18 Green CG, "Using customer survey data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in college/university foodservices" 1 (1): 39-51, 1993

      19 United States Employment and Training Admimistration, "The revised handbook for analyzing jobs"

      20 Kim HJ, "The assessment of management practices on foodservice. clinical nutrition service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6 (6): 136-147, 2000

      21 Bonett DG,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testing and estimating coefficient alpha" 27 (27): 335-340, 2002

      22 Hakel-Smith N, "Orientation to nutrition care process standards improves nutrition care documentation by nutrition practitioners" 105 (105): 1582-1589, 2005

      23 Lee GJ, "Nutrition care process and diabetes: focus on nutrition diagnosis" 13 (13): 48-51, 2012

      24 Yang IS, "Identifying current hospital practices in clinical dietetics" 28 (28): 460-470, 1995

      25 Kim SY, "Evidence based medicine"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utrition 39-, 2012

      26 Inman Felton A, "Ensuring staff competence: A guide for meeting JCAHO competence standards in all settings"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47-116, 1998

      27 Lee SJ,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and tool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hospital food and nutrition services" Yonsei University 2000

      28 김금순, "DACUM 기법을 이용한 노인 전문 간호사의 직무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8 (38): 853-865, 2008

      29 조정민, "DACUM 기법에 의한 노인 요양보호사 직무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15 (15): 66-75, 2008

      30 Moon HK, "Analysis and framing of dietitian’ job description" 7 (7): 87-104, 2001

      31 Kieselhorst KJ,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standards of practice in nutrition care and updated standard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105 (105): 641-645, 2005

      32 Park HJ, "A survey on application of nutrition care process( NCP) in Korean hospitals"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utrition 17-20, 2012

      33 Cho MR, "A study for dietetic practitioner’ job analysis: Labor time spent and staffing need indices" 7 (7): 38-49, 2001

      34 Hakel-Smith N, "A standardized nutrition care process and language are essential components of a conceptual model to guide and document nutrition care and patient outcomes" 104 (104): 1878-188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4-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대한영양사협회 -> 대한영양사협회 KCI등재후보
      2005-04-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58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