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한 절충식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47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eclectic teaching method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형태사항

        vi, 137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찬규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28596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에게 말하기란 즉각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매우 중요한 분야인 동시에 정교하고 세심한 가르침이 필요한 영역이기도 하다. 1980년대 이후 한국어교육 분야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왔고, 학습자의 학습 효율성을 높여줄 만한 여러 교수법에 관한 연구가 있었지만, 아직도 현장에서는 의사소통 교수법과 문법번역 교수법이 혼재되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여, 이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수업에서 실행하기 쉬우면서도 학습의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절충식 방안(eclectic method)은 기존의 고루한 교수법을 타파하고 혁신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교수자들 사이에서 새롭게 등장한 방안으로, 학습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특정한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자유자재로 다른 방안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수업을 뜻한다. 즉, 기존에 제시되었던 교수법 중 장점으로 여겨지는 요소들을 모아 가장 효율적인 모형을 만드는 것이다.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한 절충식 교수·학습 방안을 통해 인간의 두뇌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해 각 단계별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정보-처리 이론은 크게 주의집중, 시연, 약호화 또 인출로 총 4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각각 멀티미디어, 인지주의적 언어 교수법, 섀도잉 기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습 시험 기법을 사용하여 학습 모형에 직접 넣어 보았다.
      멀티미디어 학습법은 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주의와 흥미를 끈다는 점에서 현재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방안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수업 내용을 파워포인트로 제시해 주었으며, 모형 실행 이후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피고 수정을 해 갔다.
      교수·학습 모형 설계 후 학습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실제 대학교에서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8주에 걸쳐 실험을 하였다. 학습 효율성은 8주 이후 실험 반 학습자들과 같은 기간 동안 학습한 동일한 레벨의 다른 반 학습자들에게 듣기와 말하기 시험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학습 전과 후의 심리상태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반과 통제반 사이에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였다. 이 실험은 한국에서 학습하는 소수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학습 환경과 상관없이 최대한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모형으로 고려된다. 하지만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환경에 있는 더 많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있다면 더욱 효율적인 학습모형이 될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에게 말하기란 즉각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매우 중요한 분야인 동시에 정교하고 세심한 가르침이 필요한 영역이기도 하다. 1980년대 이후 한국어교육 ...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에게 말하기란 즉각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매우 중요한 분야인 동시에 정교하고 세심한 가르침이 필요한 영역이기도 하다. 1980년대 이후 한국어교육 분야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왔고, 학습자의 학습 효율성을 높여줄 만한 여러 교수법에 관한 연구가 있었지만, 아직도 현장에서는 의사소통 교수법과 문법번역 교수법이 혼재되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여, 이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수업에서 실행하기 쉬우면서도 학습의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절충식 방안(eclectic method)은 기존의 고루한 교수법을 타파하고 혁신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교수자들 사이에서 새롭게 등장한 방안으로, 학습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특정한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자유자재로 다른 방안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수업을 뜻한다. 즉, 기존에 제시되었던 교수법 중 장점으로 여겨지는 요소들을 모아 가장 효율적인 모형을 만드는 것이다.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한 절충식 교수·학습 방안을 통해 인간의 두뇌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해 각 단계별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정보-처리 이론은 크게 주의집중, 시연, 약호화 또 인출로 총 4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각각 멀티미디어, 인지주의적 언어 교수법, 섀도잉 기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습 시험 기법을 사용하여 학습 모형에 직접 넣어 보았다.
      멀티미디어 학습법은 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주의와 흥미를 끈다는 점에서 현재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방안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수업 내용을 파워포인트로 제시해 주었으며, 모형 실행 이후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피고 수정을 해 갔다.
      교수·학습 모형 설계 후 학습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실제 대학교에서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8주에 걸쳐 실험을 하였다. 학습 효율성은 8주 이후 실험 반 학습자들과 같은 기간 동안 학습한 동일한 레벨의 다른 반 학습자들에게 듣기와 말하기 시험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학습 전과 후의 심리상태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반과 통제반 사이에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였다. 이 실험은 한국에서 학습하는 소수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학습 환경과 상관없이 최대한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모형으로 고려된다. 하지만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환경에 있는 더 많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있다면 더욱 효율적인 학습모형이 될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tudents the Korean language by applying eclectic method, which stems from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ere has been numerous attempts by other scholars to discove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ethod which enhances the learners’ learning efficacy. However, the teachers working in this field are still stuck with the traditional methods of teaching.
      Eclectic method, also known as "post method", is the combination of merits that were extracted from various traditional ways of teaching. This paper proposes that this method can be used with an appropriate guidelin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hich was first theorized by Atkinson and Shiffrin(1968), states that the ways in which the human brain processes environmental events resembles to those of a computer. This theory has been applied to various teaching methods including language teaching and has proven to be effective.
      This study has created an eclectic learning model which has its basis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applies other learning techniques in each processing step. Multimedia, Cognitivism, Shadowing technique and practicing of testing skills, were the methods which were adopted in this study to support the theory and model.
      After establishing the learning model, the study aimed to prove the learning efficacy of level 1 students by applying this model in university classrooms for 8 weeks. At the end of week 8, a couple of level 1 students from the class were given the same listening test that they had received the first class, so that their progress could be measured. Also, in week 9, 30 students from the class who were following this model took a listening test along with 30 other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Since the study also wanted to examine the efficacy in learners’ fluency in speaking, a speaking test was subsequently provided to the same two groups of students, so that a comparison of the eclectic method and the traditional method could be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taught with the eclectic model held a comparative advantage in both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peaking skills. This provides evidence to the efficacy of the eclectic method.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considering that it has been held for such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at the leaners’ levels were not exactly unified. However, since the model was created for multi-level purposes, the difference in level does not seem to be a significant issue.
      Although further testing would be needed for detailed results, this model shows potential for meaningful changes in how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can excel in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tudents the Korean language by applying eclectic method, which stems from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ere has been numerous attempts by other scholars to discover the mo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tudents the Korean language by applying eclectic method, which stems from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ere has been numerous attempts by other scholars to discove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ethod which enhances the learners’ learning efficacy. However, the teachers working in this field are still stuck with the traditional methods of teaching.
      Eclectic method, also known as "post method", is the combination of merits that were extracted from various traditional ways of teaching. This paper proposes that this method can be used with an appropriate guidelin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hich was first theorized by Atkinson and Shiffrin(1968), states that the ways in which the human brain processes environmental events resembles to those of a computer. This theory has been applied to various teaching methods including language teaching and has proven to be effective.
      This study has created an eclectic learning model which has its basis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applies other learning techniques in each processing step. Multimedia, Cognitivism, Shadowing technique and practicing of testing skills, were the methods which were adopted in this study to support the theory and model.
      After establishing the learning model, the study aimed to prove the learning efficacy of level 1 students by applying this model in university classrooms for 8 weeks. At the end of week 8, a couple of level 1 students from the class were given the same listening test that they had received the first class, so that their progress could be measured. Also, in week 9, 30 students from the class who were following this model took a listening test along with 30 other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Since the study also wanted to examine the efficacy in learners’ fluency in speaking, a speaking test was subsequently provided to the same two groups of students, so that a comparison of the eclectic method and the traditional method could be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taught with the eclectic model held a comparative advantage in both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peaking skills. This provides evidence to the efficacy of the eclectic method.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considering that it has been held for such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at the leaners’ levels were not exactly unified. However, since the model was created for multi-level purposes, the difference in level does not seem to be a significant issue.
      Although further testing would be needed for detailed results, this model shows potential for meaningful changes in how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can excel in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3
      • 1.3 문제 제기 7
      • 1.4 연구방법 11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3
      • 1.3 문제 제기 7
      • 1.4 연구방법 11
      • 2. 이론적 배경 16
      • 2.1 정보처리 이론 16
      • 2.1.1 멀티미디어의 활용 21
      • 2.1.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정보처리 과정 24
      • 2.2 인지주의적 언어 교수법 27
      • 2.3 섀도잉 기법의 활용 30
      • 2.4 연습 시험(practice testing) 기법의 활용 34
      • 3. 절충식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36
      • 3.1 절충식 교수학습 이론 36
      • 3.2 절충식 교수학습의 구성 요인 41
      • 3.2.1 주의집중 단계 41
      • 3.2.2 시연 단계 42
      • 3.2.3 약호화 단계 42
      • 3.2.4 인출 단계 43
      • 3.3 절충식 교수학습 개발의 원리 47
      • 4. 절충식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55
      • 4.1 연구 대상 55
      • 4.2 수업의 구성 59
      • 4.3 수업 자료 63
      • 4.4 실험 결과 분석 65
      • 4.4.1 듣기 시험 결과 분석 65
      • 4.4.2 말하기 시험 결과 분석 66
      • 4.4.3 학습자 사후 만족도 조사 79
      • 4.4.4 실험 집단 학습자 특성과 인터뷰 내용 86
      • 5. 절충식 한국어 말하기 수업 모형 개발의 실제 93
      • 5.1 절충식 한국어 말하기 수업 모형의 확정 93
      • 5.2 절충식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실제 95
      • 5.2.1 도입 95
      • 5.2.2 제시 96
      • 5.2.3 단어 퀴즈 실행 99
      • 5.2.4 문장별 의미 파악 99
      • 5.2.5 구절과 문장의 섀도잉 100
      • 5.2.6 전체 내용 확인과 듣기 101
      • 5.2.7 전체 섀도잉 102
      • 5.2.8 쓰기 활동 102
      • 5.2.9 과제부여 103
      • 6. 결론 104
      • 참고문헌 108
      • 부 록 119
      • 국문초록 133
      • ABSTRACT 13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변영계, "수업설계",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3

      2 조영남,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제 17 권 2호, pp. 307~329, 2001

      3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1999

      4 한재영,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 2013", 신구문화사, 신구문화사, 2013

      5 Tyler, 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uction", 이해명, 1949

      6 이미혜, 이해영, "Task를 기초로 한 한국어 듣기 교육", 교육한글 10, 1996

      7 김경령,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세계한국어문학회, 세계한국어문학회, 제 4집, pp. 131-150, 2010

      8 李燦揆(Lee, Chan-kyu), 南芝鉉(Nam, Ji-hyun), "한국어 교육의 流暢性 槪念과 構成 要因",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회, 2015

      9 정혜승, "국어과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경인교육대학교 초 등교육 연구원 교육논총, pp.201-223, 2006

      10 송금숙, "“성취 기준 기반의 한국어 교수 설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1 변영계, "수업설계",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3

      2 조영남,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제 17 권 2호, pp. 307~329, 2001

      3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1999

      4 한재영,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 2013", 신구문화사, 신구문화사, 2013

      5 Tyler, 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uction", 이해명, 1949

      6 이미혜, 이해영, "Task를 기초로 한 한국어 듣기 교육", 교육한글 10, 1996

      7 김경령,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세계한국어문학회, 세계한국어문학회, 제 4집, pp. 131-150, 2010

      8 李燦揆(Lee, Chan-kyu), 南芝鉉(Nam, Ji-hyun), "한국어 교육의 流暢性 槪念과 構成 要因",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회, 2015

      9 정혜승, "국어과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경인교육대학교 초 등교육 연구원 교육논총, pp.201-223, 2006

      10 송금숙, "“성취 기준 기반의 한국어 교수 설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11 황진숙, "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 중국어 교수-학습 방안", 대구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 남지현 ( Nam Ji Hyun ), "섀도잉(shadowing)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29권 2호, pp. 49-72, 2018

      13 김영선, "영어과 PBL을 위한 구성요소 기준과 학습모형 개발", 가톨릭관동 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14 허 경, "비원어민 한국어교원 양성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5 이민경, "한국어 말하기교육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어문화교육학회, 한국어문화 교육학회, pp. 87-105, 2010

      16 김려연,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대우법 교육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7 김재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방법-TPR접근법을 중심으로", 청주교 대 논문집23집, 1986

      18 석주연, 양명희, "한국어 문장 구조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선정과 등급화", 중앙어문학회, 중앙어문학회, 2012

      19 이정희, "인식 조사를 통한 한국어 구어 유창성의 개념 및 요인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 21권 4호. pp. 183-204, 2010

      20 우형식,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 방법 적용의 실태 분석 , 우리말학회", 통권 43호, pp. 139-173, 2015

      21 이선진, "한국어 교육에서의 말하기 연구 동향 분석 및 연구 방안 모색", 한 국어국어교육학회, pp. 71-122, 2017

      22 이성흠, 이준,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예비교사의 중요 도 인식",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소, pp 41-59, 2011

      23 홍경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관한 일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24 전은경,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지도가 EFL 학습자들의 영어 듣기에 미치는 영향", 현대영어교육학회, 현대영어교육학회, 12권 4호. pp. 377-396, 2011

      25 이성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총체적 언어접근법 , 이중언어 학 15", 이중언어학회, 1998

      26 문웅열, "인지적 정보처리이론을 응용한 고전소설 기본 학습 요소 교수 학 습 방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0

      27 김수천, 노채환, "운율 경계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분석-연 음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vol. 32, pp. 165-188, 2018

      28 함지선,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 및 교수설계 방 안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9 정재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의 방법과 실제", 방송대출판부. pp. 417-441, 1999

      30 한송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실제-대학 입학 전 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 225-248, 2010

      31 백봉자,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과제 , 외국어로 서의 한국어교육 25 26",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pp. 91-105, 2001

      32 김정숙, "한국어 교수요목의 설계와 교재 구성. 박영순 편. 21세기 한국어 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pp. 31-59, 2002

      33 손경애, "한국어 연결어미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연결어미 ‘-아도’와 ‘-(으)ㄴ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5

      34 박영주, 손선아, "음성학/음운론: 한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Shadowing 학습방법의 효과 연구", 현국현대언어학회, pp. 86-96, 2014

      35 박석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및 내실화 방안 연 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3권 , pp. 31-57",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2015

      36 김수욱, 유병민, 오재연, 남민우, "멀티미디어 교육자료가 학습효과에 미친 영 향에 관한 연구: 농업기초기술 교과의 에듀넷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중심 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Vol. 17, 2010

      37 김정숙, 원진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반성과 새로운 연구 방법의 모색: 의사소통능력 계발을 위한 통합교육론을 중심으로 , 어문논집 31", 고 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92

      38 한성희, "섀도잉(shadowing)이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듣기 불안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문 목적 중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연구 68권", 동악어문학회. pp. 195-222,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