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범불안 증상 완화를 위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the Applied Relaxation Treatment Program for Relieving General Anxiety Sympt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85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pplied Relaxation Treatment Program(AR), which proved effective as Evidence-based treatment, on adults with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For this purpose, 40 adults with high levels of general anxiety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N=20) and the waiting control group(N=20). The treatment program was performed non-face-to-face through face-to-face and online video conferencing(ZOOM),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sessions(twice a week, 50 minute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item(GAD-7),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PSWQ),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I), Worry Anxiety Questionnaire(WAQ), Cent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10 days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and ANCOVA, the level of intolerance for GAD-7, PSWQ, STAI-I, WAQ CES-D and I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waiting control group at the time of termination. At 10 days after the end,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WAQ, STAI-I, WAQ and IUS compared to the waiting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GAD-7 and CES-D. This study suggests that AR can improve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in adults with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application relaxation treatment program, generalized anxiety, worry,
      state anxie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pplied Relaxation Treatment Program(AR), which proved effective as Evidence-based treatment, on adults with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For this purpose, 40 adults with high levels of ge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pplied Relaxation Treatment Program(AR), which proved effective as Evidence-based treatment, on adults with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For this purpose, 40 adults with high levels of general anxiety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N=20) and the waiting control group(N=20). The treatment program was performed non-face-to-face through face-to-face and online video conferencing(ZOOM),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sessions(twice a week, 50 minute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item(GAD-7),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PSWQ),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I), Worry Anxiety Questionnaire(WAQ), Cent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10 days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and ANCOVA, the level of intolerance for GAD-7, PSWQ, STAI-I, WAQ CES-D and I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waiting control group at the time of termination. At 10 days after the end,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WAQ, STAI-I, WAQ and IUS compared to the waiting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GAD-7 and CES-D. This study suggests that AR can improve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in adults with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application relaxation treatment program, generalized anxiety, worry,
      state anx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근거기반치료로서 효과성이 입증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Applied Relaxation, AR)을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불안 수준이 높은 성인 40명을 선별하여 치료집단과 대기 통제집단에 20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치료프로그램은 대면과 온라인 화상회의(ZOOM)를 통해 비대면으로 병행실시하였으며, 총 9회기(주 2회, 약 50분) 동안 진행되었다. 범불안 척도,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상태불안 척도, 걱정 불안 척도, 우울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를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프로그램 종결 10일 뒤 시점에 측정하였다. 대응표본 t 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종결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 우울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종결 10일 뒤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범불안, 우울 수준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AR이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걱정과 불안을 비롯한 범불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근거기반치료로서 효과성이 입증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Applied Relaxation, AR)을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불...

      본 연구는 근거기반치료로서 효과성이 입증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Applied Relaxation, AR)을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불안 수준이 높은 성인 40명을 선별하여 치료집단과 대기 통제집단에 20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치료프로그램은 대면과 온라인 화상회의(ZOOM)를 통해 비대면으로 병행실시하였으며, 총 9회기(주 2회, 약 50분) 동안 진행되었다. 범불안 척도,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상태불안 척도, 걱정 불안 척도, 우울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를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프로그램 종결 10일 뒤 시점에 측정하였다. 대응표본 t 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종결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 우울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종결 10일 뒤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범불안, 우울 수준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AR이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걱정과 불안을 비롯한 범불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2. 범불안장애 5
      • 1) 범불안의 정의와 유병률 5
      • 2) 범불안의 특징 6
      • Ⅰ. 서 론 1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2. 범불안장애 5
      • 1) 범불안의 정의와 유병률 5
      • 2) 범불안의 특징 6
      • 3) 범불안의 치료 9
      • 3. 응용이완 치료 11
      • 1) 응용이완 치료의 구성 11
      • 2) 응용이완 치료의 효과 15
      • 3) 범불안 증상 완화를 위한 응용이완 치료 적용 17
      • 4. 연구문제 및 가설 20
      •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21
      • 1. 연구설계 21
      • 2. 연구대상 22
      • 3. 측정도구 23
      • 1) GAD-7 23
      • 2)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23
      • 3) 상태불안 척도 23
      • 4) 걱정 불안 질문지 24
      • 5)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24
      • 6)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24
      • 4. 연구절차 25
      • 5. 자료분석 27
      • Ⅲ. 결과 28
      •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28
      • 2.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29
      • 1) 측정치들의 평균, 조정된 평균, 대응표본 t 검증 결과 29
      • 2) 측정치들의 사후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 결과 31
      • 3) 측정치들의 추후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 결과 33
      • 3. 프로그램 만족도 37
      • Ⅳ. 논의 38
      • 참고문헌 42
      • 영문초록 52
      • 부 록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