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좌부불교의 염불수행 연구 = A Study on the Buddha-Recollection of Theravāda Budd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7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ollection of the Buddha in Theravāda Buddhism has been known by the term of the buddhānussati. The buddhānussati is the repeated recollec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The objects of the buddhānussati are the nine virtues of the Budd...

      The Recollection of the Buddha in Theravāda Buddhism has been known by the term of the buddhānussati. The buddhānussati is the repeated recollec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The objects of the buddhānussati are the nine virtues of the Buddha. While they are similar to the Ten Appellations of the Tathāgata as the objects of the Mahāyāna Buddha-recollec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uddhānussati does not reach the state of absorption(appanasamadhi) despite the fact that it belongs to the Samatha practice. Owing to the profundity of the Buddha’s special attributes, or else owing to being occupied in recollecting special Buddha’s virtues of many sorts, the jhana remains only access(upacāra). Even if the appana-samadhi cannot be obtained, the practitioner attains the fullness of faith, mindfulness, insight, knowledge, and so forth.
      This paper includes the case examples of the gapi(加被, inspirational experience) due to the buddhānussati that appear in the Pāli scripture.
      In this research about the overall buddhānussati,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Name Chanting of the Mahāyāna, the two are the same with regard to recollecting of the Buddha. But, the following differences are revealed.
      Firstly, buddhānussati focuses on the recollec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But Name chanting lays its emphasis on the continuous chanting of the Buddha’s name. And the objects of the Name-chanting include not only the Buddha but also other bodhisattvas. Secondly,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appear as nine kinds in the buddhānussati, while the Mahāyāna has been standardized with the ten names of the Tathāgata. Thirdly, as we know from the ten names of the Tathāgata, the most important virtue or title becomes the Tathāgata, while, in the buddhānussati, the Bhagavā is the most representative title, with no mention of the title of ‘the Tathāgata.’ Fourthly, through the Name chanting, the meditator can attain pratyupanna samādhi(般⾈三昧, Samādhi of the direct encounter with the Buddhas of the present) or one-practice samādhi(⼀⾏三昧), while buddhānussati meditator can reach only the state of access jha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부처님과 같은 절대적 존재에 대한 염송은 부처님 이전부터 널리 행해진 수행의 기본적 형태이다. 불교수행에서도 염불은 널리 행해진다. 불교를 대표하는 양대 승가 전통인 상좌부(上座部,...

      부처님과 같은 절대적 존재에 대한 염송은 부처님 이전부터 널리 행해진 수행의 기본적 형태이다. 불교수행에서도 염불은 널리 행해진다. 불교를 대표하는 양대 승가 전통인 상좌부(上座部, Theravāda)와 대승불교(⼤乘, Mahāyāna) 모두염불수행을 중요하게 여긴다. 불교 염불 수행의 바른 이해를 위해 지금껏 연구가부족하였던 상좌부 염불수행 전반을 살펴보았다. 상좌부 염불수행은 불수념(佛 隨念, buddhānussati)으로 알려져 있다. 불수념은 부처님에 대해 거듭 마음에 떠올리는 것이다.
      불수념의 대상은 부처님의 덕성 아홉 가지이다. 대승 염불의 대상인 여래십호(如來⼗號)와는 비슷하지만, 차이점도 보인다. 불수념은 사마타 수행에 속하는것이나 본삼매를 증득하지는 못한다. 불수념에서 새겨야 하는 부처님의 덕은 심오하고 또한 계속해서 그 공덕을 마음에 새겨야 하므로 수행자는 본삼매에 이를수 없다. 본삼매를 얻지 못하더라도 불수념 수행은 수행자에게 신심을 깊어지게하고 통찰지와 공덕이 깊어지는 등 많은 이익을 가져다준다. 불수념과 관련한 많은 가피 사례들이 빠알리(Pāli)경에서 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빠알리 성전에나타나는 불수념 수행으로 인한 이적과 가피 사례들을 다룬다.
      불수념 전반을 연구하면서 대승의 염불수행과 비교해보면 둘은 다 같이 부처님에 대한 염송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도 보인다. 첫째불수념은 부처님 덕성을 새기는 것에 치중하고, 대승의 염불수행은 칭명(稱名)에좀 더 역점을 두고 불·보살님 한 분의 명호를 정하여 반복적 염송을 많이 행한다.
      칭명의 대상도 부처님에 한정되지 않고 보살의 명호 역시 널리 염송 된다. 둘째불수념에서 부처님 공덕은 아홉 가지로 나타나고 대승은 여래십호로 정형화되어있다. 셋째 대승의 여래십호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중요한 공덕 혹은 명호가 ‘여래’가 되고 불수념에서는 ‘세존’을 가장 대표적 명호로 하고 ‘여래’라는 명호는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대승의 염불수행으로 성취되는 삼매는 일행삼매 또는 반주삼매 등이고 불수념은 근접삼매에만 이른다고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준영, "念佛禪에서의 깨달음의 문제" 한국정토학회 12 : 198-218, 2009

      2 김종명, "한국 일상예불의 역사적 변용" 불교학연구회 18 : 149-181, 2007

      3 박화문, "칭명염불에 대한 연구" 한국정토학회 (5) : 2002

      4 전재성, "청정도론-비쑷디막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8

      5 대림스님, "청정도론" 초기불전연구원 2004

      6 전재성, "쭐라박가-율장소품"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4

      7 마하시 사야도, "위빳사나 수행방법론" 이솔출판 2013

      8 황상준, "염불신앙을 통한 현대재가불자의 가피사례 연구‒ 관음신앙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86) : 63-90, 2018

      9 조준호, "염불선과 선정계위 - 청화스님의 염불선 위차 사상과 관련한 비판적 검토 -" 한국정토학회 27 : 165-197, 2017

      10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초기불전연구원 2007

      1 안준영, "念佛禪에서의 깨달음의 문제" 한국정토학회 12 : 198-218, 2009

      2 김종명, "한국 일상예불의 역사적 변용" 불교학연구회 18 : 149-181, 2007

      3 박화문, "칭명염불에 대한 연구" 한국정토학회 (5) : 2002

      4 전재성, "청정도론-비쑷디막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8

      5 대림스님, "청정도론" 초기불전연구원 2004

      6 전재성, "쭐라박가-율장소품"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4

      7 마하시 사야도, "위빳사나 수행방법론" 이솔출판 2013

      8 황상준, "염불신앙을 통한 현대재가불자의 가피사례 연구‒ 관음신앙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86) : 63-90, 2018

      9 조준호, "염불선과 선정계위 - 청화스님의 염불선 위차 사상과 관련한 비판적 검토 -" 한국정토학회 27 : 165-197, 2017

      10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초기불전연구원 2007

      11 대림, "아비담마 길라잡이" 초기불전연구원 2018

      12 전재성, "숫타니파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4

      13 태원스님, "수행법 연구" 조계종 출판사 2005

      14 각묵스님, "상윳따니까야" 초기불전연구원 2009

      15 김준호, "사띠 논쟁의 공과(功過)" 불교문화연구소 4 : 2008

      16 황순일, "붓다의 열 가지 호칭의 기원과 전개" 인도철학회 (23) : 97-115, 2007

      17 이혜숙, "불자 신행교육의 평가를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1) : 237-276, 2016

      18 "불설십호경 T17"

      19 강종미, "불교입문" 도서출판 도다가 마을 2014

      20 안양규, "불교의 생사관과 죽음교육"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5

      21 전재성, "법구경-담마파다"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8

      22 무념, "법구경 이야기" 옛길 2008

      23 한재희, "반주삼매(般舟三昧)와 대승불교의 기원" 인도철학회 (42) : 435-471, 2014

      24 각묵스님, "담마상가니" 초기불전연구원 2016

      25 윤소희, "남방불교 예불문에 관한 연구 - 미얀마의 빤디따라마 사원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1) : 188-216, 2012

      26 김은영, "교육과정 텍스트로서의 정토삼부경 재조명‒ 학습자 중심 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 한국불교학회 (86) : 91-111, 2018

      27 일창스님, "가르침을 배우다" 도서출판 불방일 2017

      28 심상현, "誦呪에 關한 硏究 - 한국불교 수행의식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75) : 287-322, 2015

      29 강기선, "如來十號에 대한 고찰-한역불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5) : 151-180, 2018

      30 Ven. Buddhaghosācariya, "Visuddhimagg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9

      31 Department for the Promotion and Propagation of the Sāsanā, "The Teachings of the Buddha, Higher Level Vol Ⅰ" Myanmar 2003

      32 Sayagyi U. Kyaw Htut, "The Nine attributes of the Buddha" Department for te Promotion and Propagation of the Sāsanā 1996

      33 A. P. Buddhadatta, "The New Pali Course Part Ⅲ" Buddhist Cultural Centre 2014

      34 Mingun Sayadaw, "The Great Chronicle of Buddhas" TI=NI Publishing Center 1996

      35 Mehm Tin Mon, "The Essence of Visuddi Magga Volume 1" Yadanar Min Literature 2008

      36 Angela Sumegi, "Recollecting and Envisioning: Buddha in Theravada and Mahayana Practice" 2 : 2006

      37 Ven. U Sīlānanda, "Paritta Pali and Protective Verses" The International Theravada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2000

      38 Ven. K. Sri Dhammananda, "Paritta Chanting" Buddhist Missionary Society 1991

      39 "Pali-English Dictionary" PTS 1923

      40 "Majjhima Nikāya" PTS 1979

      41 Klemens Karlsson, "Face to Face with the Absent Buddha" Uppasala University 2000

      42 U Ko Lay, "Essence of Tipiṭaka" Vipassana Research Institute 1998

      43 "Digha Nikāya" PTS 1966

      44 "Dictionary of Pāli Proper Names" PTS 1974

      45 Buddhavaṁsapāli, "Chaṭṭha Saṅgāyana(VRI)"

      46 Sarah Shaw, "Buddhist Meditation" Taylor and Francis e-Library 2006

      47 "Apadāna. (Khuddakanikāya ≫ Apadānapāli-1)"

      48 Nārada Thera, "A Manual of Buddhist Chanting and Devotional Tex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74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