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은 2020년 기준으로 약 2,182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7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 세계 2위의 환적 컨테이너 처리항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상해, 청도, 심천 등 중국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748113
인천 :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물류경영학과 , 2023. 2
2023
한국어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 부산항 ; 컨테이너 터미널 ; 포지셔닝 분석
인천
66 ; 26 cm
지도교수: 여기태
I804:23006-2000006681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부산항은 2020년 기준으로 약 2,182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7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 세계 2위의 환적 컨테이너 처리항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상해, 청도, 심천 등 중국 ...
부산항은 2020년 기준으로 약 2,182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7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 세계 2위의 환적 컨테이너 처리항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상해, 청도, 심천 등 중국 항만의 급격한 성장, SCM 발달, 중국 상해항을 중심으로 한 Cabotage 허용, COVID-19에 따른 리쇼어링 등 부산항의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나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크고 작은 변화들이 발생하고 있다.
다양한 부산항 관련 연구에도 불구하고, 부산항 물동량 변화를 기반으로 부산항 북항 및 신항의 개별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한 포지셔닝 분석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부산항 각 터미널의 경쟁력이 부산항 전체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허핀달-허쉬만 지수(HHI 지수) 그리고 BCG Matrix를 통해 부산항 내 개별 터미널이 시장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2012년부터 2020년간의 연도별 데이터를 활용한 HHI 지수를 통해 부산항 북항권역의 자성대, 신선대, 감만, 신감만 부두와 신항권역의 신항 1부두, 신항 2부두, 신항 3부두, 신항 4부두, 신항 5부두 등 9개 컨테이너 터미널의 집중도를 분석하고자 하며, 추가로 해당 터미널의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연평균성장률을 도출하여 BCG Matrix를 통한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쟁입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항 9개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 간 운영에 있어서 경쟁의 정도를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연도별로 HHI 지수를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13년에 0.127로 가장 낮고, 2019년이 0.13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분석 기간 매년 0.13 정도의 비교적 낮은 집중도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9개 전용 터미널이 부산항 내 선석을 나눠 가지면서 독과점 현상 없이 치우치지 않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CG Matrix 분석 결과, 수입이 높고 안정적이며 성장세에 있다고 해석되는 Stars 범주에 위치한 터미널은 도출되지 않았다. Question Marks 범주에 5개 터미널, Dogs 범주에 3개 터미널 및 Cash Cows 범주에 1개 터미널이 위치했다. 따라서 터미널들은 Stars 범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CG Matrix 동적 분석 결과, 전반적인 부산항의 물동량은 지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터미널별 처리물량은 서비스의 안정성, 효율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른 기항하는 선대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증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터미널의 운영정책이 경쟁력 확보의 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san Port handled approximately 21.82 million TEU as of 2020, positioning itself as the world's 7th largest container handling port and the world's 2nd largest transshipment container handling port. However, in recent years, large and small changes ...
Busan Port handled approximately 21.82 million TEU as of 2020, positioning itself as the world's 7th largest container handling port and the world's 2nd largest transshipment container handling port.
However, in recent years, large and small changes that can affect the continuous maintenance or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have occurred, such as the rapid growth of Chinese ports such as Shanghai, Qingdao, and Shenzhen, cabotage permission centered on Shanghai ports in China, reshoring in response to COVID-19, etc. In spite of various studies related to Busan Port, positioning analysis studies targeting individual container terminals of the North Port and New Port of Busan Port based on changes in the freight volume of Busan Port are quite limited.
Given that the competitiveness of each terminal in Busan Port can be the basis for securing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sitions of individual
terminals in Busan Port in the market through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and BCG Matrix.
Using yearly data from 2012 to 2020, the concentration levels of major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will be analyzed through the HHI with Jaseongdae, Sinseondae, Gamman, Shingamman, New Port
Pier 1, New Port Pier 2, New Port Pier 3, New Port Pier 4, New Port Pier 5, among major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In addition, the relative market shares and average annual growth rates of the relevant
terminals will be derived to analyze the competitive positions of the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through the BCG Matrix.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al competitiveness of nine dedicated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was analyzed by year from 2012 to 2020 through the HHI.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HHI was the lowest at 0.127 in 2013 and the highest at 0.139 in 2019, bu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levels of about 0.13 were derived every year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nine dedicated terminals share berths in Busan Port, are not biased without monopoly, and compete fiercely.
Second, the BCG Matrix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no terminals located in the Star range, which are interpreted as having high income and being stable and in a growth trend, were not derived. Five
terminals were located in the Question Marks category, three terminals in the Dogs category, and one terminal in the Cash Cow categor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terminals need efforts to advance to the star category.
Third, as a result of the dynamic analysis of the BCG Matrix, the overall cargo volume of Busan Port was shown to continuously to increase, but the handling volumes by terminal were shown to fluctuate frequentl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alling fleet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service stability and efficiency. Through the foregoing, the terminals’ operating policies were derived as a major factor in securing competitiven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