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동북아다자간안보협력을 위한 한국의 전략 = Korea's Strategy for Institutional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s a Means to Construct a Peace Regim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aceful unification of two Koreas, one of the primary national objectives in South Korea, should be pursued on the basis of the permanent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ocess of building such a peace regime can proceed at various levels ...

      Peaceful unification of two Koreas, one of the primary national objectives in South Korea, should be pursued on the basis of the permanent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ocess of building such a peace regime can proceed at various levels and in various manner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s one viable alternative. It not only effectively promotes Korea’s security interests but also helps it capitalize on its comparative advantage over other nations in the region. Korea must reflect upon the meaning of cooperative security in Northeast Asia in the context of its security strategy for the 21st century. Then it has to set up a carefully organized course of action by period (ex. mid-term, long-term), level (ex. military, political, cultural), and sector (ex.
      public, private). Finally it should put this into practice in a systematic and coherent way. Options available to it include the joint management by Korea and the U.S. of the strategic flexibility of the U.S.F.K., pursuing a Northeast Asian ‘Nation of the Golden Mean,’ and peace-networking of civil societies in Northeast Asia, to name a fe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평화연구원 조선반도에서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조국통일을 위한 평화적 환경을 마련할 데 대하여 조선반도의 평화를 위한 군축제안" 1989

      2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 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18 (18): 2002

      3 "동아시아지역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상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의 시각에서" 경북대학교 2000

      4 "동북아다자간안보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 동북아안보와 한반도문제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994

      5 "동북아 지역에서의 다자간안보협력 이론과 실제" 6 : 1996

      6 "동북아 다자간안보협력체제의 21세기적 현실성" 36 (36): 1997

      7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의 현실과 전망" 16 (16): 2000

      8 "국제정치이론" 사회평론 2000

      9 "국제정치의 변화와 동북아 다자간안보협력체제" 4 (4): 2001

      10 "United States Security Strategy for the East Asia-Pacific Region" USGPO 1995

      1 "평화연구원 조선반도에서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조국통일을 위한 평화적 환경을 마련할 데 대하여 조선반도의 평화를 위한 군축제안" 1989

      2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 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18 (18): 2002

      3 "동아시아지역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상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의 시각에서" 경북대학교 2000

      4 "동북아다자간안보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 동북아안보와 한반도문제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994

      5 "동북아 지역에서의 다자간안보협력 이론과 실제" 6 : 1996

      6 "동북아 다자간안보협력체제의 21세기적 현실성" 36 (36): 1997

      7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의 현실과 전망" 16 (16): 2000

      8 "국제정치이론" 사회평론 2000

      9 "국제정치의 변화와 동북아 다자간안보협력체제" 4 (4): 2001

      10 "United States Security Strategy for the East Asia-Pacific Region" USGPO 1995

      11 "Turks stun U.S, kill deal on bases Parliament overturns pact that would let GIs invade Iraq from the north" 2003

      12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dvancing toward a Mature Partnership"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00

      13 "Sino-American Relations since September 11 Can the New Stability Last" 101 : 2002

      14 "Prospects of Northeast Asia's Multilateral &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A Japanese Perspective" 한국국방연구원 1999

      15 "China, the U.S.-Japan Alliance, and the Security Dilemma in East Asia" 23 (23): 1999

      16 "China's Search for a Global Role" 1999

      17 "Alliance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18 "A New U.S.-ROK Alliance: A Nine-Point Recommendation for a Reflective and Mature Partnership" Korea Economic Institute 2005

      19 "A Dynamic Theory of Inter-firm Behavior" 1965

      20 "A Conversation with Lee Kwan Yew" 1994

      21 "A Concert of Asia" 41 (41):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