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폰 신종범죄의 유형 및 경찰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wtypes of Crime Using Smart Phone and the Police Counter Measur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6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3,0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편리성 등으로 사용자의 삶이 많이 윤택해지고 있는 반면 범죄에도 상당부분 노출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최근 스마트폰의 급증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스마트폰 관련 신종범죄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경찰의 대응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스마트폰 신종범죄의 유형에는 먼저 모바일 악성코드에 대한 공격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변경시키기도 하며, 배터리를 급격히 소모시켜 가용성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또한 금전적 피해를 유발시키고, 시스템정보나 개인정보를 유출해 간다. 둘째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범죄의 유형이 있는데, 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유출시키고, 나아가 감청과 위치추적까지 불법으로 자행하며, 타인이 계정을 불법도용하고, 악용하여 계정 당사자에게 많은 유무형의 피해를 일으키게 한다. 셋째는 금융사기로써 스미싱(SMishing)과 모바일메신저인 카카오톡 피싱을 들 수 있다. 이는 보이스피싱을 스마트폰에서 문자를 통하여 일으키는 범죄로써, 이미 상당부분 피해 사례가 접수되고 있는 유형이다. 넷째로 스마트폰 상에서 벌어지는 저작권 위반 범죄를 들 수 있다. 스마트폰의 여러 기능을 펼치는 과정에서 저작권 위반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중·고등학교에서의 와이파이셔틀이나 테더링셔틀의 문제, 스마트폰 보험 사기 등과 같은 유형의 형태가 있다. 한편 이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경찰차원에서는 스마트폰 범죄대응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며, 경찰이 습득한 여러 스마트폰 범죄의 수법이나 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예방법을 만들고, 이러한 것들을 홍보하고, 필요한 경우 교육을 통하여 국민에게 알려야 하고, 현재 산발적으로 펼쳐져 있는 스마트폰 관련 범죄에 대한 법률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관련 업계와의 협력을 통한 대응방안으로써 유관 업계와 사례분석 결과를 공유하여 관련 보안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스마트폰 보안윤리 확립을 위한 공동 캠페인을 펼치는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국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3,0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편리성 등으로 사용자의 삶이 많이 윤택해지고 있는 반면 범죄에도 상당부분 노출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

      최근 국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3,0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편리성 등으로 사용자의 삶이 많이 윤택해지고 있는 반면 범죄에도 상당부분 노출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최근 스마트폰의 급증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스마트폰 관련 신종범죄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경찰의 대응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스마트폰 신종범죄의 유형에는 먼저 모바일 악성코드에 대한 공격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변경시키기도 하며, 배터리를 급격히 소모시켜 가용성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또한 금전적 피해를 유발시키고, 시스템정보나 개인정보를 유출해 간다. 둘째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범죄의 유형이 있는데, 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유출시키고, 나아가 감청과 위치추적까지 불법으로 자행하며, 타인이 계정을 불법도용하고, 악용하여 계정 당사자에게 많은 유무형의 피해를 일으키게 한다. 셋째는 금융사기로써 스미싱(SMishing)과 모바일메신저인 카카오톡 피싱을 들 수 있다. 이는 보이스피싱을 스마트폰에서 문자를 통하여 일으키는 범죄로써, 이미 상당부분 피해 사례가 접수되고 있는 유형이다. 넷째로 스마트폰 상에서 벌어지는 저작권 위반 범죄를 들 수 있다. 스마트폰의 여러 기능을 펼치는 과정에서 저작권 위반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중·고등학교에서의 와이파이셔틀이나 테더링셔틀의 문제, 스마트폰 보험 사기 등과 같은 유형의 형태가 있다. 한편 이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경찰차원에서는 스마트폰 범죄대응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며, 경찰이 습득한 여러 스마트폰 범죄의 수법이나 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예방법을 만들고, 이러한 것들을 홍보하고, 필요한 경우 교육을 통하여 국민에게 알려야 하고, 현재 산발적으로 펼쳐져 있는 스마트폰 관련 범죄에 대한 법률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관련 업계와의 협력을 통한 대응방안으로써 유관 업계와 사례분석 결과를 공유하여 관련 보안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스마트폰 보안윤리 확립을 위한 공동 캠페인을 펼치는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및 관련 선행연구 검토
      • Ⅲ. 스마트폰 범죄의 유형
      • Ⅳ. 스마트폰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의 대응방안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및 관련 선행연구 검토
      • Ⅲ. 스마트폰 범죄의 유형
      • Ⅳ. 스마트폰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의 대응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훈, "휴대폰과 스마트폰의 모바일 포렌식 추출방법 연구"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6 (6): 79-89, 2010

      2 신성원, "휴대폰 범죄의 실태 및 효율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6 (6): 75-84, 2006

      3 이병종,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사이버범죄의 진화와 범죄현상의 조명 및 대응"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171-201, 2010

      4 백준상, "컨버전스 휴대폰의 UI 특성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과 카메라폰 UI의 차별화를 중심으로" 1449-1453, 2004

      5 김광재, "인터넷과 휴대폰 이용자의 인간관계망에 대한 비교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0 (10): 115-130, 2009

      6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 & 시큐리티 이슈"

      7 유용봉, "스마트폰뱅킹 서비스의 무권한 부정사용" 한국치안행정학회 8 (8): 261-280, 2012

      8 제갈병적, "스마트폰 시장과 모바일 OS 동향" 한국반도체산업협회 2010

      9 강윤정, "소셜 미디어 사회화에서의 인터넷 관련범죄와 인터넷 윤리" 법학연구소 28 (28): 249-275, 2012

      10 김홍진,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기독교사회 윤리적 과제" 3 : 169-196, 2000

      1 이정훈, "휴대폰과 스마트폰의 모바일 포렌식 추출방법 연구"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6 (6): 79-89, 2010

      2 신성원, "휴대폰 범죄의 실태 및 효율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6 (6): 75-84, 2006

      3 이병종,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사이버범죄의 진화와 범죄현상의 조명 및 대응"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171-201, 2010

      4 백준상, "컨버전스 휴대폰의 UI 특성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과 카메라폰 UI의 차별화를 중심으로" 1449-1453, 2004

      5 김광재, "인터넷과 휴대폰 이용자의 인간관계망에 대한 비교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0 (10): 115-130, 2009

      6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 & 시큐리티 이슈"

      7 유용봉, "스마트폰뱅킹 서비스의 무권한 부정사용" 한국치안행정학회 8 (8): 261-280, 2012

      8 제갈병적, "스마트폰 시장과 모바일 OS 동향" 한국반도체산업협회 2010

      9 강윤정, "소셜 미디어 사회화에서의 인터넷 관련범죄와 인터넷 윤리" 법학연구소 28 (28): 249-275, 2012

      10 김홍진,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기독교사회 윤리적 과제" 3 : 169-196, 2000

      11 정완, "사이버범죄의 실태와 동향 및 대응책" 법학연구소 10 (10): 195-224, 2009

      12 심재홍, "모바일 인터넷 정보보호를 위한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 분석" 19 (19): 43-44, 2009

      13 정재민, "모바일 미디어의 문화와 시장" 커뮤니케이션북스 137-, 2007

      14 이정훈, "디지털 증거 수집과 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포렌식 적용 연구" 21 (21): 57-65, 2011

      15 경찰청, "경찰백서" 126-127, 2012

      16 Sterling, J. A. L., "World Copyright Law" Sweet & Maxwell 228-229, 2003

      17 Home Office, "Home Office Annual Report 20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