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자 공부론(工夫論) 사계점(四階漸)의 의의 고찰; 방적(防賊)을 결심하고, 살피고(推察), 지키고(守), 항거하는(拒) 비유를 통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8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자(朱子, 곧 朱熹)의 성학공부론(聖學工夫論)은 성인(聖人)이 되기 위한 과정과 관련된 것이다. 성인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성인만이 진정한 인륜적(人倫的) 사회를 건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배우는 자가 생지(生知)가 아닌 이상,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 입지(立志), 치지(致知), 주경(主敬), 극기(克己) 등 - 사계점(四階漸) 공부를 통과해야 한다. 사계점이란, 성인이 되기 위하여 차례로 밟아 올라가야하는 ‘네 계단의 공부’ 라는 뜻이다. 일찍이 북송의 주렴계(周濂溪)는 학자의 등급으로 사(士), 현인(賢), 성(聖)으로 두고 “성은 천을 바라고, 현은 성을 바라고, 사는 현을 바란다.(聖希天, 賢希聖, 士希賢:『通書』, 10 志學)”고 하였다. 주자는 학지(學知) 이하의 사람도 사계점을 기본으로 하는 공부를 통하여 “성인까지도 배워서 될 수 있다.(=聖人,可學而至).”고 한다. 사계점 공부법은 정명도(程明道)가 먼저 ‘주경’을, 정이천(程伊川)이 ‘치지’를, 호오봉(胡五峯)이 ‘입지(立知)’를, 그리고 주자가 ‘극기(克己)’를 첨가해서 성립된 것이다. 주자는 네 계점의 용도를 도적(盜賊)을 물리치기 위한 절차에 비유해서 설명하였다. 가령 ‘입지’는 도적과 맞설 결심을 하는 일에, ‘치지’는 도적을 막을 방도를 강구하기 위해 집 안팎을 살피는 일에, ‘지경’은 대문을 걸어 잠그고 집을 지키는 일에, ‘극기’는 문밖으로 나가 도적에게 항거하는 일에 비유한 것이 그것이다. 우리는 주자의 이 비유가 두 가지 경우의 뜻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이 비유를 순수하게 유가의 성학공부와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경우이다. 즉 먼저 성학을 배우기로 결심하고, 경사자집(經史子集)을 학습하여 성인의 덕과 사업을 충분히 이해한 다음 마음의 사욕(私欲)을 막거나 쳐 없앰으로써 ‘성인의 마음(=致中和)’을 가지고 ‘성인의 나라(=天地位焉, 萬物育焉)’를 건설하자는 취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는 경우이다. 둘째는 당시 금(金)나라와 대치해 있던 남송(南宋)의 국내외적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자의 방책과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경우이다. 즉 당시 금의 침략으로 영토의 절반을 빼앗기고 북송의 마지막 황제인 휘종(徽宗)과 흠종(欽宗)이 볼모로 잡혀 있는데다가 조공(朝貢), 칭신(稱臣), 영토할양(領土割讓) 등의 압박을 받고 있는 남송의 현실에서, 주자가 ‘조야(朝野)에 복수(復讐)의 의지를 고취해서, 충분히 힘을 기를 때까지 소강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대가 방심하는 때를 기다려 금을 쳐서 설욕한다.’는 주전(主戰)의 의지를 담았을 가능성이다. 즉 주자가 방대한 철학체계를 구축했던 근본목적이 남송이 처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자신의 주전론적 주장을 관철하는 데 있었고, 사계점 공부론은 이러한 주자의 주전론적 의지를 절차적으로 반영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주자의 철학이 그의 표현대로 성한 곳이 한 곳도 없는 병자 같아서 급박하기가 속의(俗醫)의 상약(常藥)으로 처방이 불가능하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온 것이란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번역하기

      주자(朱子, 곧 朱熹)의 성학공부론(聖學工夫論)은 성인(聖人)이 되기 위한 과정과 관련된 것이다. 성인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성인만이 진정한 인륜적(人倫的) 사회를 건설할 수 있기 때문이...

      주자(朱子, 곧 朱熹)의 성학공부론(聖學工夫論)은 성인(聖人)이 되기 위한 과정과 관련된 것이다. 성인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성인만이 진정한 인륜적(人倫的) 사회를 건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배우는 자가 생지(生知)가 아닌 이상,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 입지(立志), 치지(致知), 주경(主敬), 극기(克己) 등 - 사계점(四階漸) 공부를 통과해야 한다. 사계점이란, 성인이 되기 위하여 차례로 밟아 올라가야하는 ‘네 계단의 공부’ 라는 뜻이다. 일찍이 북송의 주렴계(周濂溪)는 학자의 등급으로 사(士), 현인(賢), 성(聖)으로 두고 “성은 천을 바라고, 현은 성을 바라고, 사는 현을 바란다.(聖希天, 賢希聖, 士希賢:『通書』, 10 志學)”고 하였다. 주자는 학지(學知) 이하의 사람도 사계점을 기본으로 하는 공부를 통하여 “성인까지도 배워서 될 수 있다.(=聖人,可學而至).”고 한다. 사계점 공부법은 정명도(程明道)가 먼저 ‘주경’을, 정이천(程伊川)이 ‘치지’를, 호오봉(胡五峯)이 ‘입지(立知)’를, 그리고 주자가 ‘극기(克己)’를 첨가해서 성립된 것이다. 주자는 네 계점의 용도를 도적(盜賊)을 물리치기 위한 절차에 비유해서 설명하였다. 가령 ‘입지’는 도적과 맞설 결심을 하는 일에, ‘치지’는 도적을 막을 방도를 강구하기 위해 집 안팎을 살피는 일에, ‘지경’은 대문을 걸어 잠그고 집을 지키는 일에, ‘극기’는 문밖으로 나가 도적에게 항거하는 일에 비유한 것이 그것이다. 우리는 주자의 이 비유가 두 가지 경우의 뜻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이 비유를 순수하게 유가의 성학공부와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경우이다. 즉 먼저 성학을 배우기로 결심하고, 경사자집(經史子集)을 학습하여 성인의 덕과 사업을 충분히 이해한 다음 마음의 사욕(私欲)을 막거나 쳐 없앰으로써 ‘성인의 마음(=致中和)’을 가지고 ‘성인의 나라(=天地位焉, 萬物育焉)’를 건설하자는 취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는 경우이다. 둘째는 당시 금(金)나라와 대치해 있던 남송(南宋)의 국내외적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자의 방책과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경우이다. 즉 당시 금의 침략으로 영토의 절반을 빼앗기고 북송의 마지막 황제인 휘종(徽宗)과 흠종(欽宗)이 볼모로 잡혀 있는데다가 조공(朝貢), 칭신(稱臣), 영토할양(領土割讓) 등의 압박을 받고 있는 남송의 현실에서, 주자가 ‘조야(朝野)에 복수(復讐)의 의지를 고취해서, 충분히 힘을 기를 때까지 소강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대가 방심하는 때를 기다려 금을 쳐서 설욕한다.’는 주전(主戰)의 의지를 담았을 가능성이다. 즉 주자가 방대한 철학체계를 구축했던 근본목적이 남송이 처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자신의 주전론적 주장을 관철하는 데 있었고, 사계점 공부론은 이러한 주자의 주전론적 의지를 절차적으로 반영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주자의 철학이 그의 표현대로 성한 곳이 한 곳도 없는 병자 같아서 급박하기가 속의(俗醫)의 상약(常藥)으로 처방이 불가능하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온 것이란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u-Hsi's learning theory for sage is related with the process that become a sage(聖人). The reason of become a sage is a belief of sage which is the only way to build the ethical society. Chu-hsi (朱熹) suggests a Four-Step Learning Theory can become a sage. The four-steps are Lip-Ji (立志), Chi-Ji (致知), Chu-Keoung (主敬), and Kuk-Gui (克己). He compares a four-step theory as keep thieves (盜賊) away. Lip-Ji (立志) is willing to against the thieves. Chi-Ji (致知) is equipped with perfect knowledge to repel thieves. Chu-Keoung (主敬) is on the watch for thieves. Kuk-Gui (克己) is mop up the thieves that master goes out of passage and sweeps thief. We suggests that the analogies of Chu-shi contains two meanings. First, the case that this analogy argues about confucian's mind-controll. Second, the case that this analogy conatins Nam-Song(南宋) have willing to war for Kum(金) at that time. ‘Thief(盜賊)’ is desires of soul or army of Kum beyond the border. Chu-shi's Four-Step Theory is the first way of systemic learning to become a sage in Confucian.
      번역하기

      Chu-Hsi's learning theory for sage is related with the process that become a sage(聖人). The reason of become a sage is a belief of sage which is the only way to build the ethical society. Chu-hsi (朱熹) suggests a Four-Step Learning Theory can be...

      Chu-Hsi's learning theory for sage is related with the process that become a sage(聖人). The reason of become a sage is a belief of sage which is the only way to build the ethical society. Chu-hsi (朱熹) suggests a Four-Step Learning Theory can become a sage. The four-steps are Lip-Ji (立志), Chi-Ji (致知), Chu-Keoung (主敬), and Kuk-Gui (克己). He compares a four-step theory as keep thieves (盜賊) away. Lip-Ji (立志) is willing to against the thieves. Chi-Ji (致知) is equipped with perfect knowledge to repel thieves. Chu-Keoung (主敬) is on the watch for thieves. Kuk-Gui (克己) is mop up the thieves that master goes out of passage and sweeps thief. We suggests that the analogies of Chu-shi contains two meanings. First, the case that this analogy argues about confucian's mind-controll. Second, the case that this analogy conatins Nam-Song(南宋) have willing to war for Kum(金) at that time. ‘Thief(盜賊)’ is desires of soul or army of Kum beyond the border. Chu-shi's Four-Step Theory is the first way of systemic learning to become a sage in Confuci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문밖의 도적을 어떻게 할 것인가?
      • Ⅱ. 유가공부론의 계점적 의의
      • 1. 논어 공부론의 계점적 의의
      • 2. 중용․대학 공부론의 계점적 의의
      • 국문초록
      • Ⅰ. 서론 : 문밖의 도적을 어떻게 할 것인가?
      • Ⅱ. 유가공부론의 계점적 의의
      • 1. 논어 공부론의 계점적 의의
      • 2. 중용․대학 공부론의 계점적 의의
      • Ⅲ. 주자공부론의 사계점(四階漸)
      • 1. 입지(立志): 맞설 결심을 하다.
      • 2. 치지(致知): 집 안팎을 살피다.
      • 3. 주경(主敬): 집을 지키다.
      • 4. 극기(克己): 도적에 항거하다.
      • Ⅳ. 결론 : 도적은 물리쳐야 한다.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용혹문"

      2 부낙성, "중국통사』(상, 하)" 지영사 1999

      3 김수청, "주희의 중화신설형성과정" 새한철학회 11 : 1995

      4 전목, "주자학의 세계" 이문출판사 1997

      5 유인희, "주자철학과 중국철학" 범학사 1980

      6 여정덕, "주자어류" 이학총서, 중화서국 1983

      7 전목, "주자신학안" 삼민서국 1971

      8 "주자대전" 보경문화사 1984

      9 왕무횡, "주자년보"

      10 김재구, "왕양명철학의 修養說연구" 새한철학회 16 : 1999

      1 "중용혹문"

      2 부낙성, "중국통사』(상, 하)" 지영사 1999

      3 김수청, "주희의 중화신설형성과정" 새한철학회 11 : 1995

      4 전목, "주자학의 세계" 이문출판사 1997

      5 유인희, "주자철학과 중국철학" 범학사 1980

      6 여정덕, "주자어류" 이학총서, 중화서국 1983

      7 전목, "주자신학안" 삼민서국 1971

      8 "주자대전" 보경문화사 1984

      9 왕무횡, "주자년보"

      10 김재구, "왕양명철학의 修養說연구" 새한철학회 16 : 1999

      11 황공위, "송명청이학체계론사" 유사문화사업공사 1971

      12 유명종, "송명철학" 형설출판사 1987

      13 손영식, "송대 철학에서 철학적 쟁점의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93

      14 백도근, "선진유학과 주자철학" 이문출판사 1994

      15 "『태극도설』,『통서』, 『서명』,문연각사고전서(6,9,7책)" 상무인서관

      16 노사광, "『중국철학사』(송명편)" 탐구당 1989

      17 양세문, "『장식전집』, (上, 下)" 장춘출판사 1999

      18 왕효어, "『이정집』, (一, 二)" 중화서국 1981

      19 왕효어, "『이정집』, (一, 二)" 중화서국 1981

      20 황종희, "『송원학안』,(1-6책)" 화세출판사 1987

      21 양승무, "“주자의 중화론에 관한 연구”(一)" 동양철학회 5 :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