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민요는 제주도민의 생활과 정서는 물론 제주도 방언이 그대로 살아 있어 보존 가치가 높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교통의 발달로 인해 타 지역과의 교류가 빈번하게 되고 인터넷 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92075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학과 초등음악교육전공 , 2013. 2
2013
한국어
372.87 판사항(22)
충청북도
vi, 113 p.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변미혜, 성기련
심사위원 : 민경훈, 성기련, 변미혜
참고문헌 : p.102-10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 민요는 제주도민의 생활과 정서는 물론 제주도 방언이 그대로 살아 있어 보존 가치가 높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교통의 발달로 인해 타 지역과의 교류가 빈번하게 되고 인터넷 등...
제주도 민요는 제주도민의 생활과 정서는 물론 제주도 방언이 그대로 살아 있어 보존 가치가 높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교통의 발달로 인해 타 지역과의 교류가 빈번하게 되고 인터넷 등의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거리에 상관없이 전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어 제주도가 지니고 있던 그 특수성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또한 제주도 민요가 불려지던 농업이나 어업의 연행상황이 사라짐으로 인해 민요도 더불어 사라져 생활에서 제주도 민요를 듣고 부르는 일은 흔하지 않은 일이 되고 있다. 이에 학교와 지역 사회에서의 교육을 통해 제주도 민요를 많이 접할 수 있게 할 필요성이 생겼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으로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를 우리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올바른 태도를 기르는 데 두고 있어 학교 현장에서 어린이들이 제주도 민요를 쉽게 접하고 배울 수 있도록 음악과와 사회과,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제주도의 자연환경의 특징과 농업, 어업, 민속문화 관련 내용의 지도를 위해 ‘자연을 극복한 제주인’, ‘바다와 함께 하는 삶’, ‘제주섬 속에 꽃피운 민속문화’의 세 가지 주제를 ‘주제탐구’, ‘민요 익히기’, ‘체험활동’ 3단계의 ‘제주 알기 프로젝트’로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1단계 과정에서는 제주도의 자연환경 및 농업과 어업, 민속문화의 지도내용을 사회과와 관련하여 탐구하고 2단계 과정에서는 음악과와 관련하여 제주도 민요를 익힌 후에 3단계 과정에서 1, 2단계 과정의 학습을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각 주제와 연계된 체험활동을 통해 내면화한다.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농업의 탐구를 통해 ‘자연을 극복한 제주인’의 삶에 대해 학습하고, 주제탐구 활동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을을 탐방하여 제주의 자연환경의 특징을 알고, 토질에 따른 밭농사의 과정을 살펴본다. 《흑벙에부수는소리》와 《막바지사데》를 제재곡으로 하여 노래를 익히고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연행상황의 재연을 통해 제주의 자연환경과 조상들의 삶을 돌아보았다.
‘바다와 함께 하는 삶’에서는 제주의 어업활동과 해녀들의 삶을 탐구하고 《멜후리는소리》,《해녀노젓는소리》를 익히며 해녀들이 사용하던 도구인 테왁을 제작하여 연행하는 과정을 통해 함께 고난을 극복한 제주인들의 삶의 자세를 느낄 수 있다.
‘제주섬 속에 꽃피운 민속문화’에서는 신화의 섬 제주의 민속문화를 탐구하고 무가에서 시작되었지만 노동현장에서도 흥을 돋우는《서우젯소리》를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노래를 익히고 소망 빌기 활동을 통해 제주민들의 민속문화를 체험하였다.
본 연구는 급속히 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사라져가는 제주도 민요의 지도를 위해 사회과와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다섯 곡의 제주도 민요의 연행배경을 탐구하고 제재곡을 익혀 부르며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제주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느끼고 보존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제주도 민요를 다루지 못한 아쉬움이 있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곡을 접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