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상 저작권침해에 대한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80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과 통신망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저작물은 디지털화하여 전 세계에 쉽고도 빠르게 전파되는 장점과는 반대로 저작권의 침해도 쉽게 이루어지고 있어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저작물을 창작함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시대의 발전과 무형물이라는 저작물의 특성상 저작물에 대한 침해는 쉽게 이루어지고 그 손해도 광범위해지고 있다. 특히 음악저작물과 사진저작물, 동영상 등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고 복제 전송 등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온라인상의 복제·전송 등의 저작권침해행위는 비록 적지 않게 일어나지만 침해자가 영리목적으로 또는 상습적으로 복제·전송 등을 하지 않는 한 그 침해행위로 인하여 얻는 이익이나 저작권자의 손해는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저작권법에서는 저작권침해로부터 저작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규정들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들만으로 저작권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저작권법 제125조 2에서는 법정손해배상제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 제도는 저작권자의 권리침해로 인한 손해액의 입증곤란을 구제하고 계속적인 침해행위를 억제하기 위하여 법원이 법정된 상·하한의 범위 내에서 재량으로 정당하다고 생각되는 손해액을 판결할 수 있도록 규정된 제도이다. 이처럼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은 역사가 짧지만, 현재 시점에서 그 동안의 손해배상제도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한 후 과잉구제를 방지하기 위해 저작권법에 따른 검토를 통해 새로운 입법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과 통신망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저작물은 디지털화하여 전 세계에 쉽고도 빠르게 전파되는 장점과는 반대로 저작권의 침해도 쉽게 이루어지고 있어 큰 문...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과 통신망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저작물은 디지털화하여 전 세계에 쉽고도 빠르게 전파되는 장점과는 반대로 저작권의 침해도 쉽게 이루어지고 있어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저작물을 창작함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시대의 발전과 무형물이라는 저작물의 특성상 저작물에 대한 침해는 쉽게 이루어지고 그 손해도 광범위해지고 있다. 특히 음악저작물과 사진저작물, 동영상 등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고 복제 전송 등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온라인상의 복제·전송 등의 저작권침해행위는 비록 적지 않게 일어나지만 침해자가 영리목적으로 또는 상습적으로 복제·전송 등을 하지 않는 한 그 침해행위로 인하여 얻는 이익이나 저작권자의 손해는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저작권법에서는 저작권침해로부터 저작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규정들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들만으로 저작권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저작권법 제125조 2에서는 법정손해배상제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 제도는 저작권자의 권리침해로 인한 손해액의 입증곤란을 구제하고 계속적인 침해행위를 억제하기 위하여 법원이 법정된 상·하한의 범위 내에서 재량으로 정당하다고 생각되는 손해액을 판결할 수 있도록 규정된 제도이다. 이처럼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은 역사가 짧지만, 현재 시점에서 그 동안의 손해배상제도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한 후 과잉구제를 방지하기 위해 저작권법에 따른 검토를 통해 새로운 입법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advancement of computer and internet makes most of works digitalized and transmitted to the world easily and rapidly, but the violation to copyrights happens easily. To create copyrighted works, a huge effort should be delivered in terms of financial burden as well as periodically. However, the intangible assets and works are more vulnerable in infringement of rights and financial loss, even occasionally, surpassing the tangible assets. Especially anyone can come into touch with music works, photography works and video etc. and can reproduce and transmit them. Even though copyright infringement through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on internet happens a lot, as far as the infringer does not do it on the purpose of profit-making or habitually, the profit or the damage of the copyright-owner cannot be so big. Even though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regulate practical policies to protect copyright works, it is insufficient as terms of protection in the Copyright Law cannot be covered in many cases. The Statutory Damages Regime under the Copyright Act is entitled to certain rights in assuring adequate compensation for plaintiff, under the judgment of financial evaluation within the ranges of its minimum and maximum. Although this policy will be beneficial for the copyright holders, we should pay a particular attention to adopt the legal act, considering the various issues such as the determination of amount of actual damages, deterrence of the defendant, and so forth. Thus, it is significant to review and re-analyze the statutory damages under the copyright act, concerning the various factors such as economic conditions, volume and size of copyright frauds, and any related cases at the national level.
      번역하기

      Recently the advancement of computer and internet makes most of works digitalized and transmitted to the world easily and rapidly, but the violation to copyrights happens easily. To create copyrighted works, a huge effort should be delivered in terms ...

      Recently the advancement of computer and internet makes most of works digitalized and transmitted to the world easily and rapidly, but the violation to copyrights happens easily. To create copyrighted works, a huge effort should be delivered in terms of financial burden as well as periodically. However, the intangible assets and works are more vulnerable in infringement of rights and financial loss, even occasionally, surpassing the tangible assets. Especially anyone can come into touch with music works, photography works and video etc. and can reproduce and transmit them. Even though copyright infringement through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on internet happens a lot, as far as the infringer does not do it on the purpose of profit-making or habitually, the profit or the damage of the copyright-owner cannot be so big. Even though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regulate practical policies to protect copyright works, it is insufficient as terms of protection in the Copyright Law cannot be covered in many cases. The Statutory Damages Regime under the Copyright Act is entitled to certain rights in assuring adequate compensation for plaintiff, under the judgment of financial evaluation within the ranges of its minimum and maximum. Although this policy will be beneficial for the copyright holders, we should pay a particular attention to adopt the legal act, considering the various issues such as the determination of amount of actual damages, deterrence of the defendant, and so forth. Thus, it is significant to review and re-analyze the statutory damages under the copyright act, concerning the various factors such as economic conditions, volume and size of copyright frauds, and any related cases at the national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온라인상 저작권침해의 특성과 성립요건
      • Ⅲ. 저작권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Ⅳ.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에 대한 검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온라인상 저작권침해의 특성과 성립요건
      • Ⅲ. 저작권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Ⅳ.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에 대한 검토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상조, "한국저작권논문선집(Ⅱ)" 1995

      2 이종구, "파일공유시스템과 저작권의 간접침해 및 기술의 발전" 30 (30): 2006

      3 박익환, "저작권침해소소에서의 기본 공격방어방법" 4 : 2001

      4 최상필, "저작권법상 손해배상청구 제도에 관한 소고"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18 (18): 195-219, 2015

      5 손정달,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 도입에 대한 검토 - 미국의 법정손해배상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9 (9): 2006

      6 조영선, "저작권 침해로 인한 법정손해배상- 개정 저작권법 제125조의 2에 대한 검토 -" 법조협회 61 (61): 122-167, 2012

      7 정재훈, "저작권 권리구제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가을) : 2004

      8 趙誠鍾, "인터넷상의 저작권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10 (10): 636-674, 2003

      9 이상정, "인터넷상의 저작권" 5 : 1999

      10 황종훈,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침해" 10 : 2002

      1 정상조, "한국저작권논문선집(Ⅱ)" 1995

      2 이종구, "파일공유시스템과 저작권의 간접침해 및 기술의 발전" 30 (30): 2006

      3 박익환, "저작권침해소소에서의 기본 공격방어방법" 4 : 2001

      4 최상필, "저작권법상 손해배상청구 제도에 관한 소고"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18 (18): 195-219, 2015

      5 손정달,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 도입에 대한 검토 - 미국의 법정손해배상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9 (9): 2006

      6 조영선, "저작권 침해로 인한 법정손해배상- 개정 저작권법 제125조의 2에 대한 검토 -" 법조협회 61 (61): 122-167, 2012

      7 정재훈, "저작권 권리구제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가을) : 2004

      8 趙誠鍾, "인터넷상의 저작권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10 (10): 636-674, 2003

      9 이상정, "인터넷상의 저작권" 5 : 1999

      10 황종훈,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침해" 10 : 2002

      11 이대희, "인터넷과 지적재산권법" 박영사 2002

      12 심동섭,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에 관한 연구 : 간접침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3 손용화, "온라인서비스提共者(OSP)의 著作權침해에 대한 責任" 한국상사법학회 21 (21): 23-732, 2002

      14 권상로,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의 저작권침해에 대한 민사책임" 한국상사법학회 21 (21): 22-687, 2002

      15 성준호, "법정손해배상에 관한 일고 -저작권법 제125조의 2의 규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7 (37): 151-168, 2013

      16 "대법원 2012. 5. 10. 선고, 2011도12131 판결"

      17 유상미, "e-저작권침해 원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2 (12): 145-15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0.67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