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집단소송제도와 그 시사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80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사회 전체적으로는 중요한 권리이나 개개인에게 흩어져 있어 효율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는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집단소송제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 글에서는 현재 국회에 제출된 집단소송 관련 법안들의 내용을 살펴본 후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집단소송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후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집단소송제도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비교법적 관점에서 함께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사회 전체적으로는 중요한 권리이나 개개인에게 흩어져 있어 효율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는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집단소송제도에 대한 관심이 크...

      최근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사회 전체적으로는 중요한 권리이나 개개인에게 흩어져 있어 효율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는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집단소송제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 글에서는 현재 국회에 제출된 집단소송 관련 법안들의 내용을 살펴본 후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집단소송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후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집단소송제도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비교법적 관점에서 함께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recent years in class action.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bill of class action in Korea and class action in Scandinavian countries. After a examination, this article conducts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to examine implications of Scandinavian class action. This article also suggests ways to improve our system of class action in a more effective way.
      번역하기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recent years in class action.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bill of class action in Korea and class action in Scandinavian countries. After a examination, this article conducts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t...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recent years in class action.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bill of class action in Korea and class action in Scandinavian countries. After a examination, this article conducts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to examine implications of Scandinavian class action. This article also suggests ways to improve our system of class action in a more effective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20대 국회에 제출된 집단소송법안 및 그 내용
      • Ⅲ.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집단소송
      • Ⅳ. 비교 및 시사점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20대 국회에 제출된 집단소송법안 및 그 내용
      • Ⅲ.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집단소송
      • Ⅳ. 비교 및 시사점
      • Ⅴ.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정아, "집단소송 요건 완화 및 확대 방안 –제19대 국회논의를 중심으로-" 2016

      2 최정식, "증권집단소송법의 이해" 2006

      3 이태종, "증권관련집단소송법 시안에 대한 토론(Ⅳ)" 2001

      4 최진이, "증권관련 집단소송법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한국기업법학회 23 (23): 299-332, 2009

      5 서희석, "의원발의 집단소송법안 비교: 제19대 국회 제출법안의 특징 및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8 (8): 209-238, 2016

      6 박희주, "소비자피해구제 활성화를 위한 소송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2007

      7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홈페이지"

      8 김학기, "공익소송의 입법론적 고찰" 법학연구소 29 (29): 27-50, 2013

      9 Kiurnen, Peter, "World Class Actions –A Guide to Group and Representative Actions around the Globe–"

      10 Kiurnen, Peter, "World Class Actions –A Guide to Group and Representative Actions around the Globe–"

      1 홍정아, "집단소송 요건 완화 및 확대 방안 –제19대 국회논의를 중심으로-" 2016

      2 최정식, "증권집단소송법의 이해" 2006

      3 이태종, "증권관련집단소송법 시안에 대한 토론(Ⅳ)" 2001

      4 최진이, "증권관련 집단소송법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한국기업법학회 23 (23): 299-332, 2009

      5 서희석, "의원발의 집단소송법안 비교: 제19대 국회 제출법안의 특징 및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8 (8): 209-238, 2016

      6 박희주, "소비자피해구제 활성화를 위한 소송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2007

      7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홈페이지"

      8 김학기, "공익소송의 입법론적 고찰" 법학연구소 29 (29): 27-50, 2013

      9 Kiurnen, Peter, "World Class Actions –A Guide to Group and Representative Actions around the Globe–"

      10 Kiurnen, Peter, "World Class Actions –A Guide to Group and Representative Actions around the Globe–"

      11 "University of Oslo homepage"

      12 Lorange Backer, Inge, "The Norwegian Reform of Civil Procedure" 51 : 41-, 2007

      13 Azelius, Krister,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Legal Guide to Class & Group Actions 2014"

      14 Nordby, Andreas, "The Class Actions Law Review"

      15 Director for Financial and Enterprise Affairs Competition Committee, "Roundtable Discussion on Private Remedies: Class Actions/Collective Action; Interface between Private and Public Enforcement" 2006

      16 "Ot. prp. nr. 51"

      17 Lindblom, Per Henrik, "National Report: Group Ligigation in Sweden" 2007

      18 Lindblom, Per Henrik, "National Report: Group LItigation in Sweden, update paper section 2.5and 3" 2008

      19 Nordh, Roberth, "Group Actions in Sweden: Refelctions on The Purpose of Civil Litigation, The Need for Reforms and A Forthcoming Proposal" 11 : 381-, 2001

      20 Layton, Alexander, "European Civil Practice" 2004

      21 Lett, Georg, "Class Action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22 Werlauff, Erik, "Class Action in Denmark –from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0.67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