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년대 한국 현대시의 계보와 유형 연구를 위한 시론 = The Poetics for studying the Patterns and Genealogy of the Poetry in the 197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2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시인들로부터 ‘획득한 전통’을 토대로 1970년대 현대시의 계보와 유형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대략 세 가지 점에서 현대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첫째, 1970년대 시 전체를 체계적이고 총체적으로 연구함으로써 1970년대 시 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1970년대 시를 대상으로 우리 시사의 주류를 형성해 온 ‘리얼리즘시’, ‘모더니즘시’, ‘전통서정시’의 시적 전통과 계보 그리고 유형을 밝힘으로써 1970년대 시의 시사적 연속성은 물론 이후 시들과의 시사적 연속성을 밝혀낼 수 있다. 셋째, 1960년대부터 서서히 현대시사의 주류에서 밀려나기 시작한 ‘전통서정시’를 반근대 혹은 근대 초월 의지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조망함으로써 ‘전통서정시’가 복고주의나 현실도피가 아니라는 점을 해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1990년대 이후 우리 문학의 오랜 강박으로 작용했던 진영론적 사고는 서서히 힘을 잃어가고 있다. 필자 역시 이러한 흐름을 좇아 ‘리얼리즘시’, ‘모더니즘시’, ‘전통서정시’라는 범주가 가치 평가의 준거가 아니라, 개별시들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느냐 하는, 다시 말해 시적 우수성이 가치 평가의 준거가 되어야 한다는 평범한 사실을 이후 진행될 후속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시인들로부터 ‘획득한 전통’을 토대로 1970년대 현대시의 계보와 유형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대략 세 가지 점에서 현대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시인들로부터 ‘획득한 전통’을 토대로 1970년대 현대시의 계보와 유형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대략 세 가지 점에서 현대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첫째, 1970년대 시 전체를 체계적이고 총체적으로 연구함으로써 1970년대 시 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1970년대 시를 대상으로 우리 시사의 주류를 형성해 온 ‘리얼리즘시’, ‘모더니즘시’, ‘전통서정시’의 시적 전통과 계보 그리고 유형을 밝힘으로써 1970년대 시의 시사적 연속성은 물론 이후 시들과의 시사적 연속성을 밝혀낼 수 있다. 셋째, 1960년대부터 서서히 현대시사의 주류에서 밀려나기 시작한 ‘전통서정시’를 반근대 혹은 근대 초월 의지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조망함으로써 ‘전통서정시’가 복고주의나 현실도피가 아니라는 점을 해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1990년대 이후 우리 문학의 오랜 강박으로 작용했던 진영론적 사고는 서서히 힘을 잃어가고 있다. 필자 역시 이러한 흐름을 좇아 ‘리얼리즘시’, ‘모더니즘시’, ‘전통서정시’라는 범주가 가치 평가의 준거가 아니라, 개별시들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느냐 하는, 다시 말해 시적 우수성이 가치 평가의 준거가 되어야 한다는 평범한 사실을 이후 진행될 후속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atterns and genealogy of the poetry in the 1970's based on 'acquired tradition' from poetry and poetics of poets before 1970's.
      Along with this paper, a series of studies of the comtemporary poetr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of poetry in three ways. First, It provides a momentum for activating studies of the poetry in 1970's in terms of discussing the poetry in 1970's totally and systematically. Second, I look into the poetic tradition, genealogy and patterns of the realistic and modernistic, and lyric poetry, which playa main role in the history of poetry, through examining the poetry in 1970's and, then, show the continuity of the history of poetry both in the poetry in 1970's and after 1970's. Third, in the light of the anti-modernity and modernistic transcendental will, I illuminate the lyric poetry having being slowly deviated from the mainstream of the history of the modem poetry since 1960's and explain the lyric poetry has not been written from the simple reactionism and escapism.
      After the 1990's, 'the campical thought' that literary men view our literature only from a perspective of the Communism or Democratism has been declined gradually. Following such a trend, I show the simple truth that the categories such as the realistic and modernistic, and lyric poetry are not the criterion in value evaluation, but poetic superiority, which is decided according to how well an individual poem is shaped, has to be the criter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atterns and genealogy of the poetry in the 1970's based on 'acquired tradition' from poetry and poetics of poets before 1970's. Along with this paper, a series of studies of the comtemporary poetry will c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atterns and genealogy of the poetry in the 1970's based on 'acquired tradition' from poetry and poetics of poets before 1970's.
      Along with this paper, a series of studies of the comtemporary poetr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of poetry in three ways. First, It provides a momentum for activating studies of the poetry in 1970's in terms of discussing the poetry in 1970's totally and systematically. Second, I look into the poetic tradition, genealogy and patterns of the realistic and modernistic, and lyric poetry, which playa main role in the history of poetry, through examining the poetry in 1970's and, then, show the continuity of the history of poetry both in the poetry in 1970's and after 1970's. Third, in the light of the anti-modernity and modernistic transcendental will, I illuminate the lyric poetry having being slowly deviated from the mainstream of the history of the modem poetry since 1960's and explain the lyric poetry has not been written from the simple reactionism and escapism.
      After the 1990's, 'the campical thought' that literary men view our literature only from a perspective of the Communism or Democratism has been declined gradually. Following such a trend, I show the simple truth that the categories such as the realistic and modernistic, and lyric poetry are not the criterion in value evaluation, but poetic superiority, which is decided according to how well an individual poem is shaped, has to be the criter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두 개의 통계와 두 개의 관점
      • Ⅲ. 1970년대 시의 계보와 유형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두 개의 통계와 두 개의 관점
      • Ⅲ. 1970년대 시의 계보와 유형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동규, "황동규 시 전집 1,2" 문학과 지성사 1998

      2 이승훈, "환상의 다리" 일지사 1976

      3 최승호, "한국적 서정의 본질 탐구" 다운샘 1998

      4 이승훈, "한국 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2000

      5 임홍재, "청보리의 노래(임홍재 시전집)" 문학세계사 1980

      6 천상병, "천상병 전집 2.산문" 평민사 1996

      7 천상병, "천상병 전집 1 시" 평민사 1996

      8 정현종, "정현종 시 전집 1,2" 문학과 지성사 1999

      9 오규원, "오규원 시 전집 1,2" 문학과 지성사 2002

      10 해럴드 블룸, "시적 영향에 대한 불안" 고려원 1983

      1 황동규, "황동규 시 전집 1,2" 문학과 지성사 1998

      2 이승훈, "환상의 다리" 일지사 1976

      3 최승호, "한국적 서정의 본질 탐구" 다운샘 1998

      4 이승훈, "한국 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2000

      5 임홍재, "청보리의 노래(임홍재 시전집)" 문학세계사 1980

      6 천상병, "천상병 전집 2.산문" 평민사 1996

      7 천상병, "천상병 전집 1 시" 평민사 1996

      8 정현종, "정현종 시 전집 1,2" 문학과 지성사 1999

      9 오규원, "오규원 시 전집 1,2" 문학과 지성사 2002

      10 해럴드 블룸, "시적 영향에 대한 불안" 고려원 1983

      11 권혁웅, "시인,평론가 100인이 뽑은 ‘10명의 시인’ 선정 경위" 시인세계 2002

      12 서정주, "서정주 시 전집 1,2,3" 민음사 1994

      13 최승호,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2

      14 구모룡, "서정시의 본질과 근대성 비판" 다운샘 1999

      15 신경림, "새재" 창작과 비평사 1979

      16 이승훈, "사물 A" 삼애사 1969

      17 유종호, "변두리 형식의 주류화(유종호 문학전집3 사회역사적 상상력)" 민음사 1995

      18 이성부, "백제행" 창작과 비평사

      19 박정만, "박정만 시 전집" 외길사 1990

      20 박정만, "박정만 산문집 1,2" 외길사 1990

      21 서정주, "미당 자서전 1,2" 민음사 1994

      22 서정주, "미당 산문" 민음사 1994

      23 박용래, "먼 바다(박용래 시 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4

      24 오성호, "리얼리즘시의 적실성과 가능성" 시와 사상 1999

      25 이승훈, "당신의 초상" 문학사상사 1981

      26 신경림, "농무" 창작과 비평사 1973

      27 고 은, "나 고은 1,2,3" 민음사 1994

      28 김춘수, "김춘수 전집 3 수필" 문장사 1984

      29 감춘수, "김춘수 전집 2 시론" 문장사 1984

      30 김춘수, "김춘수 전집 1 시" 문장사 1984

      31 김지하, "김지하 전집 3 미학사상" 실천문학사 2002

      32 김지하, "김지하 전집 2 사회사상" 실천문학사 2002

      33 김지하, "김지하 전집 1 철학사상" 실천문학사 2002

      34 김지하, "김지하 시 전집 1,2,3" 솔 1993

      35 김수영, "김수영 전집 2 산문" 민음사 2003

      36 김수영, "김수영 전집 1 시" 민음사 2003

      37 류찬열, "김수영 문학 연구" 중앙대학교 2006

      38 금동철, "구원의 시학" 새미 2000

      39 남진우, "공허한 너무도 공허한" 문학동네 1995

      40 고 은, "고은 시 전집 1, 2" 민음사 1983

      41 김지하, "『흰 그늘의 길(회고록) 1,2,3』, 2003"

      42 이성부, "『저 바위도 입을 열어』, 나남출판사, 1998. (이 책에는 제1시집 『이성부 시집』과 제2시집 『우리들의 양식』 그리고 시인의 산문이 실려 있음)"

      43 류찬열, "7,80년대 비평사 연구" 중앙어문학회 33 : 1998

      44 염무웅, "5,60년대 남한문학의 민족문학적 위치" 창작과 비평 1992

      45 최승호, "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 새미 2000

      46 최승호, "21세기 문학의 동양시학적 모색" 새미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