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유능성과 억제형대처양식의 조절된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on Suicidal Ideation: The Moderated Moder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uppressive Coping Sty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7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 연구 주제: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 연구 배경: 대학생의 자살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예측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대인관계 유능성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 연구방법: SPSS 23.0과 Mplus 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단절 및 거절도식이 증가하면 자살생각이 증가하는데, 대인관계 유능성이 증가하면 증가폭이 완화되는 2원 상호효과가 발생한다. 억제형대처양식이 증가하면 2원 상호효과가 감소되는 조절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억제형 대처양식의 크기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대인관계 유능성의 2원 상호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낮은 수준의 억제형대처양식이 필요하다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 연구 주제: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 연구 배경: 대학생의 자살문제를 예방할 �...

      · 연구 주제: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 연구 배경: 대학생의 자살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예측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대인관계 유능성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 연구방법: SPSS 23.0과 Mplus 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단절 및 거절도식이 증가하면 자살생각이 증가하는데, 대인관계 유능성이 증가하면 증가폭이 완화되는 2원 상호효과가 발생한다. 억제형대처양식이 증가하면 2원 상호효과가 감소되는 조절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억제형 대처양식의 크기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대인관계 유능성의 2원 상호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낮은 수준의 억제형대처양식이 필요하다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Research topics: In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hibitory coping styles were tested.
      ·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variables that could prevent the suicide problem of college student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nalyze how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on suicidal ideation depend on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uppressive coping style values.
      · Research method: SPSS 23.0 and Mplus 8.0 · Research results: increas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resulted in increased suicidal ideation, which resulted in a two-way mutual effect of mitigating this increase as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d. the adjusted adjustment effect, in which the two-way interaction decreases as the suppressive coping style increases, was identified.relatively high level of size of the suppressive coping style, the two-way interaction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interpersonal competence' positive effects.
      번역하기

      · Research topics: In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hibitory coping styles were tested. ·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

      · Research topics: In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hibitory coping styles were tested.
      ·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variables that could prevent the suicide problem of college student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nalyze how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on suicidal ideation depend on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uppressive coping style values.
      · Research method: SPSS 23.0 and Mplus 8.0 · Research results: increas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resulted in increased suicidal ideation, which resulted in a two-way mutual effect of mitigating this increase as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d. the adjusted adjustment effect, in which the two-way interaction decreases as the suppressive coping style increases, was identified.relatively high level of size of the suppressive coping style, the two-way interaction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interpersonal competence' positive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수결, "호텔기업의 직무요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7

      2 정용,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우울과 스트레스취약성의조절된 매개효과"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9

      3 김향수 ; 채규만,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6, 2014

      4 김향수, "취업스트레스 척도개발과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5 심지아, "초기부적응도식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 김지연, "초기부적응도식, 외로움, 우울증상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7 양선미, "초기 성인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8 김순화,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75-788, 2002

      10 문동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 유발 및 억제변인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1 최수결, "호텔기업의 직무요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7

      2 정용,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우울과 스트레스취약성의조절된 매개효과"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9

      3 김향수 ; 채규만,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6, 2014

      4 김향수, "취업스트레스 척도개발과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5 심지아, "초기부적응도식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 김지연, "초기부적응도식, 외로움, 우울증상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7 양선미, "초기 성인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8 김순화,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75-788, 2002

      10 문동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 유발 및 억제변인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형수, "청소년의 자살 위기 경로 및 위험요인의 영향" 한국상담학회 20 (20): 273-288, 2019

      12 이미열,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13 김보영,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14 하연희, "중학생의 자살생각 실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15 조윤정 ; 육성필 ; 김은주, "자살의 대인관계 이론에서 회복력 요인의 조절효과 검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23-232, 2018

      16 한국 보건복지부, "자살예방백서" 생각쉼터 & 휴먼컬처아리랑 2017

      17 진창오, "인지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살생각 감소에 미치는 효과" 20 : 137-153, 1998

      18 권중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6

      19 최하영,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20 이수지, "여자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간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1 하정희, "여대생의 거절민감성과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의 매개 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4 (24): 47-66, 2019

      22 김경희, "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조현정,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초기 성인기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4 김은정, "아동기 외상과 초기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25 Young, J. E., "심리도식치료" 학지사 2005

      26 김희연 ; 채규만, "심리도식, 가족응집성-적응성, 스트레스 취약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0 (10): 39-55, 2010

      27 김희연, "심리도식, 가족 응집성-적응성, 스트레스 취약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8 김병수, "스트레스 척도 핸드북" 학지사 2013

      29 김병수, "스트레스 척도 핸드북" 학지사 2013

      30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31 김정호 ; 유제민 ; 강태영, "스트레스 강인성 척도 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75-191, 2009

      32 김윤정 ; 강현정, "성인기 자살생각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45-61, 2011

      33 우채영 ; 박아청 ; 정현희,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9-38, 2010

      34 우주영,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가족건강성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다집단 분석 및 억제형과 반동형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305-322, 2015

      35 박경,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581-593, 2003

      36 최혜정,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9 (9): 27-45, 2020

      37 유은영,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안" 한국콘텐츠학회 9 (9): 225-236, 2009

      38 이명화 ; 김나리, "병사들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육군 병사 중심" 한국인격교육학회 14 (14): 75-90, 2020

      39 김은영, "대학생의 짐 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 무망감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습득된 자살실행 잠재력, 자기자비, 성별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40 이선미, "대학생의 자아분화수준, 가족건강성이 스트레스 인지 수준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239-260, 2014

      41 한정아 ; 심흥섭,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965-981, 2005

      42 장은경 ; 이재림, "대학생의 자아분화 및 애착인물별 성인애착과 사려형, 억제형, 반동형 대처양식의 관련성" 한국가족관계학회 20 (20): 27-53, 2015

      43 김정진,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자살시도경험, 정신건강, 심리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2) : 413-437, 2009

      44 최보람, "대학생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45 강이영, "대학생의 자살 사례 연구" 10 : 2-11, 2008

      46 정은정,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자살사고의 관계" 경성대학교 임상약학보건대학원 2019

      47 이수희, "대학생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아존중감이 이성 파트너와의 갈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4

      48 정문자 ; 이수희, "대학생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아존중감이 이성 파트너와의 갈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33-45, 2005

      49 장숙경,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 및 기질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50 김정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51 김광진,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52 김광진 ; 정남운,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4 (24): 249-271, 2019

      53 성경주, "대학생의 대상관계, 우울, 자살생각 간의 관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5

      54 이현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자살생각의 관계" 전북대학교일반대학원 2019

      55 안세영 ; 최보영 ; 김종학, "대학생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85-405, 2015

      56 최우경 ; 김진숙,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1-25, 2014

      57 최연택,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요인에 관한 연구" 11 (11): 29-44, 2014

      58 이동귀 ; 박현주, "대처양식 집단에 따른 꾸물거림 및 정신건강의 차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43-57, 2009

      59 윤민아, "대인관계 문제와 자살사고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60 차혜진, "단절 및 거절도식이 성인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0

      61 우주영, "단절 및 거절도식과 성격특성간의 관계에서 억제형 대처양식,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치료학회 7 (7): 447-465, 2015

      62 이정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군에 대한 메타분석"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7

      63 박미연 ; 김경희, "노인 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15 (15): 185-194, 2008

      64 신민섭,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직 관계에 대한 분석" 9 (9): 1-19, 1990

      65 Lazarus, R. S., "감정과 이성" 문예출판사 1997

      66 이지영,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한스트레스학회 18 (18): 219-227, 2010

      67 유아진,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정서적 단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68 이지선,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69 Welburn, K., "The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factor analysis and relationship between schemas and symptoms" 26 (26): 519-530, 2002

      70 Dale, R., "The role of parental bonding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the risk of suicidal behavior repetition" 14 : 311-328, 2010

      71 Baumeister, R. F., "The need to belong :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117 (117): 497-529, 1995

      72 Jobes, D. A., "The kurt cobain suicide crisis : perspectives from research, public health, and the news media" 26 (26): 260-271, 1996

      73 Baumeister, R. F., "Suicide as escape from self" 97 : 90-113, 1990

      74 House, J. S., "Structures and processes of social support" 14 : 293-318, 1988

      75 Lehman, D. R., "Social support for the bereaved : Recipients' and providers' perspectives on what is helpful" 54 (54): 438-446, 1986

      76 Heppner, P. P., "Progress in resolving problems : A problem-focused style of coping" 42 (42): 279-293, 1995

      77 김옥희 ; 안현의, "NEO아동성격검사에 따른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16 (16): 69-78, 2008

      78 이형권, "MPlus를 이용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신영사 2018

      79 Pollock, S. E., "Human responses to chronic illness : Physiologic and psychosocial adaptation" 35 (35): 90-95, 1986

      80 Beck, A. T.,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23 (23): 139-145, 1993

      81 Beck, A. T.,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82 Rush,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and suicide" 32 (32): 201-219, 1978

      83 Rush, A. J.,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and suicide" 32 (32): 201-220, 1978

      84 Beck, A. T.,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Guilford Press 1979

      85 Young, J. E.,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Professional Resource Press 1990

      86 Young, J. E.,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clinical handbook of psychological disorders: A step-by-step treatment manual" The Guilford Press 2001

      87 Clark, D. A., "Cognitive specificity and positive-negative affectivity: Complementary or contradictory views on anxiety and depression?" 99 (99): 148-155, 1990

      88 Borges, G., "A risk index for 12-month suicide attempt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NCS-R)" 36 (36): 1747-1758, 2006

      89 Ahmadian, M., "A comparison of suicidal and non-suicidal depressed patients with non-clinical sample" 10 (10): 49-59, 2009

      90 Darvishi, F., "A comparison of relationship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s with depression severity in suicidal group and non-clinical sample" 84 : 1072-1077, 2013

      91 통계청, "2018년 사망원인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myung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 Semyung University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