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세기 독일 종교개혁의 역설 : ‘영적 자유’와 민중규율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종교개혁의 으뜸원리인 이신칭의론은 기존교회가 공들여 정립하고 민중들에게는 성역이나 다름없었던 종교적 규범들의 의미를 거부하거나 축소시켰다. 구원은 규범준수라는 선행/성...

      독일 종교개혁의 으뜸원리인 이신칭의론은 기존교회가 공들여 정립하고 민중들에게는 성역이나 다름없었던 종교적 규범들의 의미를 거부하거나 축소시켰다. 구원은 규범준수라는 선행/성화(聖化)가 아니라 개인의 내면적 믿음의 소산이라는 이 출범원리는 중세 말 민중들의 종교적 일상을 지배했던 강압적 기제로부터의 해방, 즉 ‘영적 자유’를 지향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혁운동은 15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중대한 고비를 맞게 된다. 새로운 교리에 대한 이해부족과 종교적 나태의 만연이 개혁의 일선현장에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개혁의 주체들은 강력한 규율화 작업에 착수하였다. 일종의 교회법으로 구속력을 갖고 있는 교회운영규정의 제정, 엄격하게 시행된 교리문답교육, 교구민들의 종교적·도덕적 행위를 정기적으로 검열하는 교구시찰 등으로 구성된 민중규율화는 그 자체로 종교개혁의 근본정신인 ‘영적 자유’에 역행하는 위험한 작업이었다. 개혁가들은 이러한 자기모순을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적 자유’의 취지가 개혁의 최전선에서 오·남용되어 ‘영적 방종’으로 현실을 좌시할 수 없었고 결국 자신들이 규탄했던 강압적 종교규범을 재도입하게 되었다. 종교개혁은 이념적 차원에서는 분명 근대의 출발이었다. 외부의 객관적·외형적 규범에서 자유로운 인간상을 제시하였고, 개인의 주관적·내면적 확신에 방점을 찍었다. 이는 독자적 주체로서의 개인을 상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6세기 독일종교개혁의 전개과정 속에서 민중은 여전히 외부 규범에 예속된 타율적 존재로 남을 수밖에 없었고, 이 점에서 종교개혁의 근대적 성격은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lvation by faith alone,’ the first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opposed the late medieval religious paradigm in which good works and external observances of official rituals dominated popular religious culture. In ideological terms, it meant ...

      ‘Salvation by faith alone,’ the first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opposed the late medieval religious paradigm in which good works and external observances of official rituals dominated popular religious culture. In ideological terms, it meant ‘spiritual freedom.’ In the 1520s, however, the reform movement faced a serious problem which urged the Lutheran reformers to change its direction. Finding widespread ignorance, unbridled religious misbehavior, and moral deviation in their rural parishes, they began take steps to discipline the mass with compulsory rules. Although the reformers clearly recognize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individual’s Christian freedom and the godly community’s need for discipline, they had no alternative. The church order, catechism education, and the annual visitation were the main tools with which the reformers sought to inculcate new doctrines in the mind of the folklore and improve their religious and moral standard in daily life. The program to discipline the mass itself was a fundamental violation of the central idea of the Reformation which denied, or was at least indifferent to, the coercion and enforcement of religious rules. The doctrine of ‘salvation by faith alone’ surely opened the door to the coming of early modern European society by advocat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internal religious feeling. Nonetheless, the reality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Lutheran reform movement hardly subscribed to the supreme ideology. In the mechanism the reformers establish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ir hope, men and women still faced many obligatory rules and unable to find ‘spiritual freedo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이신칭의론과 ‘영적 자유’
      • Ⅲ. ‘영적 자유’의 딜레마
      • Ⅳ. 민중규율화: 훼손된 ‘영적 자유’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이신칭의론과 ‘영적 자유’
      • Ⅲ. ‘영적 자유’의 딜레마
      • Ⅳ. 민중규율화: 훼손된 ‘영적 자유’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준철, "종교개혁의 수용과 거부 - 16세기 독일 민중의 종교문화 -" 한국서양사학회 (92) : 41-64, 2007

      2 박준철, "서양의 가족과 성" 당대 73-94, 2003

      3 박준철, "서양문화사 깊이 읽기" 푸른역사 106-131, 2008

      4 Rittgers, Ronald, "The Reformation of the Keys: Confession, Conscience, and Authority in Sixteenth-Century Germany" Harvard Univ. Press 2004

      5 Karant-Nunn, Susan, "The Reformation of Ritual: An Interpretation of Early Modern Germany" 1997

      6 Ozment, Steven E., "The Reformation in the Cities" 1975

      7 Moeller, Bernd, "The Reformation in Medieval Perspective" 50-75, 1971

      8 Dixon, C. Scott, "The Reformation and Rural Society: The Parishes of Brandenburg-Ansbach–Kulmbach" 1528-1603, 1996

      9 Tappert, Theodore G., "The Book of Concord: The Confessions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1959

      10 Ozment, Steven E., "The Age of Reform, 1250-1550: An Intellectual and Religious History of Late Medieval and Reformation Europe" Yale Univ. Press 1980

      1 박준철, "종교개혁의 수용과 거부 - 16세기 독일 민중의 종교문화 -" 한국서양사학회 (92) : 41-64, 2007

      2 박준철, "서양의 가족과 성" 당대 73-94, 2003

      3 박준철, "서양문화사 깊이 읽기" 푸른역사 106-131, 2008

      4 Rittgers, Ronald, "The Reformation of the Keys: Confession, Conscience, and Authority in Sixteenth-Century Germany" Harvard Univ. Press 2004

      5 Karant-Nunn, Susan, "The Reformation of Ritual: An Interpretation of Early Modern Germany" 1997

      6 Ozment, Steven E., "The Reformation in the Cities" 1975

      7 Moeller, Bernd, "The Reformation in Medieval Perspective" 50-75, 1971

      8 Dixon, C. Scott, "The Reformation and Rural Society: The Parishes of Brandenburg-Ansbach–Kulmbach" 1528-1603, 1996

      9 Tappert, Theodore G., "The Book of Concord: The Confessions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1959

      10 Ozment, Steven E., "The Age of Reform, 1250-1550: An Intellectual and Religious History of Late Medieval and Reformation Europe" Yale Univ. Press 1980

      11 Kittelson, James M., "Successes and Failures in the German Reformation: The Report from Strasbourg" 73 : 30-63, 1982

      12 Kolb, Robert, "Sources and Contexts of the Book of Concord" Fortress Press 2001

      13 Tentler, Thomas, "Sin and Confession on the Eve of the Reformation" 1977

      14 Edwards, Kathryn A., "Reformation and Early Modern Europe: A Guide to Research" Truman State Univ. Press 331-354, 2008

      15 Edwards, Mark U. Jr., "Reformation Europe: A Guide to Research II" Center for Reformation Research 5-20, 1992

      16 Oakley, Francis, "Reformation Europe: A Guide to Research" Center for Reformation Research 5-32, 1982

      17 Ozment, Steven E., "Protestants: The Birth of a Revolution" 1992

      18 Brady, Thomas A., "Protestant Politics: Jacob Sturm (1489-1553) and the German Reformation" Humanities Press 1995

      19 Bretschneider, Carlos G., "Philippi Melanchthonis Opera. 1" Halle 1860

      20 Engelland, Hans, "Melanchthons Bedeutung für Schule und Universität" 31 : 24-40, 1960

      21 Luther, Martin, "Luther’s Works" Fortress Press 1986

      22 Strauss, Gerald, "Luther’s House of Learning: Indoctrination of the Young in the German Reformation" 1978

      23 Oberman, Heiko A., "Luther and Dawn of the Modern Era: Papers for the Fourth International Congress for Luther Research" Leiden 1974

      24 Schilling, Heinz, "Konfessionkonflikt und Staatbildung: Eine Fallstudie über das Verhältnis von religiösem und sozialem Wandel in der Frühneuzeit am Beispiel der Grafschaft Lippe" Gütersloh 1981

      25 Aland, Charles P., "History and Theology of the Book of Concord" Fortress Press 2012

      26 Reinhard, Wolfgang, "Die katholische Konfessionalisierung: Wissenschaftliches Symposion der Gesellschaft zur Herausgabe des Corpus Catholicourm und des Vereins für Reformationsgeschichte" Gütersloh 419-452, 1995

      27 Sehling, Emil, "Die evangelischen Kirchenordnungen des XVI Jahrhunderts" Leipzig 1902

      28 Schorn-Schütte, Luise, "Die Reformation" Vorgeschichte-Verlauf-Wirkung 1996

      29 Cressy, David, "Birth, Marriage, and Death: Ritual, Religion, and the Life-Cycle in Tudor and Stuart England" 1999

      30 박준철, "16세기 중후반 독일 루터파의 교리적 정체성 확립" 한국독일사학회 (33) : 5-37, 2016

      31 황대현, "16~17세기 유럽의 ‘교파화 과정’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 ‘사회적 규율화’의 첫 단계로서의 교파화 과정 패러다임에 대한 독일 사학계의 논의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0) : 293-32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1 0.80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