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시대,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ritical media literacy in the multicultur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5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서 미디어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Critical media literacy: CML)와 소수자에 대한 국내외 연구 분석을 통해 CML교육을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CML은 무엇이며 학교문해 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둘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비판적 CML교육이 가진 잠재력은 어떠한가?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미디어의 분석, 생산, 기술에 각각 중점을 둔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교육 접근법을 소개하고, 학교 안과 밖을 연결하는 미디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CML의 특성과 교수방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미디어를 통한 소수자 재현방식의 문제점, 미디어 교육의 비활성화, 미디어 관련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의 문제 등을 짚어 보았다. 끝으로, 창조와 변혁의 주체로서 소수자를 재정의하고 CML의 경계 해체적 특징에 주목하며, CML 기반 다문화 교육은 기존 주류 미디어에 재현된 소수자에 대한 담론을 해체할 뿐 아니라 선주민과 이주민 모두의 다문화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향후 CML기반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제언과 다양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제안하며 논문을 끝맺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서 미디어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Critical media literacy: CML)와 소수자에 대한 국내외 연구 분석을 통해 CML교육을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

      본 연구는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서 미디어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Critical media literacy: CML)와 소수자에 대한 국내외 연구 분석을 통해 CML교육을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CML은 무엇이며 학교문해 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둘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비판적 CML교육이 가진 잠재력은 어떠한가?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미디어의 분석, 생산, 기술에 각각 중점을 둔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교육 접근법을 소개하고, 학교 안과 밖을 연결하는 미디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CML의 특성과 교수방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미디어를 통한 소수자 재현방식의 문제점, 미디어 교육의 비활성화, 미디어 관련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의 문제 등을 짚어 보았다. 끝으로, 창조와 변혁의 주체로서 소수자를 재정의하고 CML의 경계 해체적 특징에 주목하며, CML 기반 다문화 교육은 기존 주류 미디어에 재현된 소수자에 대한 담론을 해체할 뿐 아니라 선주민과 이주민 모두의 다문화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향후 CML기반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제언과 다양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제안하며 논문을 끝맺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students living in the 21st century, media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ans for learn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s of critical media literacy (CM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first introduces and compares different approaches to media education (i.e., protectionist approach, media arts education, media education movement, and CML), and then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ML and school literacy focusing on the participatory culture and criticality of media literacy. Next, it examines the representational modes of minorities in Korean media to show that media often contributes to reproduction of stereotypes and assimilative discourses on minorities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Finally, the paper closely discusses the possibilities of CML as a transformative power highlighting that minorities are becoming new selves, as well as changing others in this post-modern era. In sum, CML-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lieved to create a space wherein static discourses and stereotyped images of minorities represented in the mainstream media are critically analyzed and deconstructed, and multicultural competencies for both immigrants and local residents are cultivated and further enhanced.
      번역하기

      For students living in the 21st century, media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ans for learn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s of critical media literacy (CM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

      For students living in the 21st century, media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ans for learn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s of critical media literacy (CM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first introduces and compares different approaches to media education (i.e., protectionist approach, media arts education, media education movement, and CML), and then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ML and school literacy focusing on the participatory culture and criticality of media literacy. Next, it examines the representational modes of minorities in Korean media to show that media often contributes to reproduction of stereotypes and assimilative discourses on minorities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Finally, the paper closely discusses the possibilities of CML as a transformative power highlighting that minorities are becoming new selves, as well as changing others in this post-modern era. In sum, CML-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lieved to create a space wherein static discourses and stereotyped images of minorities represented in the mainstream media are critically analyzed and deconstructed, and multicultural competencies for both immigrants and local residents are cultivated and further enhanc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느티나무책방 : 그물코 2016

      2 전규찬, "한국사회 미디어와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3-44, 2011

      3 한국방송학회,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4 김수미,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144-185, 2011

      5 이희은,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45-79, 2011

      6 이현주, "한국 텔레비전의 결혼이주여성 재현에 관한 연구 : <러브 인 아시아>·<인간극장>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명현,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에 재현된 결혼이주여성: <사돈 처음 뵙겠습니다>를 중심으로" 1 : 57-79, 2009

      8 이은비, "차이와 소수성을 위한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 MWTV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441-468, 2013

      9 김영서, "인종 차별과 비판적 사고를 위한 영어 미디어 교수 자료" 영상영어교육학회 6 (6): 51-71, 2005

      10 김지영, "영어 광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느티나무책방 : 그물코 2016

      2 전규찬, "한국사회 미디어와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3-44, 2011

      3 한국방송학회,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4 김수미,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144-185, 2011

      5 이희은,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45-79, 2011

      6 이현주, "한국 텔레비전의 결혼이주여성 재현에 관한 연구 : <러브 인 아시아>·<인간극장>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명현,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에 재현된 결혼이주여성: <사돈 처음 뵙겠습니다>를 중심으로" 1 : 57-79, 2009

      8 이은비, "차이와 소수성을 위한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 MWTV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441-468, 2013

      9 김영서, "인종 차별과 비판적 사고를 위한 영어 미디어 교수 자료" 영상영어교육학회 6 (6): 51-71, 2005

      10 김지영, "영어 광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1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이주노동자, 화교, 혼혈인" 후마니타스 2008

      12 권성호, "소셜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Jenkins의 ‘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1 (1): 65-81, 2011

      13 홍은옥, "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인 다문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세계지리 교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권금상, "미디어 속 이주아동과 인권의 사회교육적 함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5 정은주,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다문화교육 교수-학습의 구성과 실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정현선, "미디어 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 미디어 분석과 자아 표현, 기능 훈련의 사례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7 권성호, "디지털 ‘생비자(Prosumer)’의 수행영역 확대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내용 설계 전략"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219-242, 2005

      18 권금상, "대중매체가 생산하는 ‘이주여성’ 재현의 사회적 의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 TV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문화통합연구센터 6 (6): 39-81, 2013

      19 배무진, "다문화사회의 결혼이주여성 미디어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0 전경옥,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 아담 북스 60-99, 2013

      21 정의철, "다문화사회 소통과 미디어정책 정책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7 (27): 244-284, 2013

      22 구정화,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10

      23 정의철,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4 정은경, "다문화 미디어교육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1

      25 김민숙, "다문화 미디어 교사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논의"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9

      26 유세경,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7 Waterhouse, M., "‘We don’t believe media anymore’: Mapping critical literacies in an adult immigrant language classroom" 33 (33): 129-146, 2012

      28 Kellner, D., "Toward critical media literacy : Core concepts, debates, organizations, and policy" 26 (26): 369-386, 2005

      29 Pane, D., "Third space theory: Reconceptualizing content literacy learning"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78-83, 2007

      30 Toffler, A., "The third wave: The classic study of tomorrow" Bantam 1980

      31 Cortés, C. E., "The societal curriculum and the school curriculum : Allies or antagonists?" 36 (36): 475-479, 1979

      32 De Certeau, M.,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33 Hobbs, R.,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1 : 1-11, 2009

      34 Carragee, K. M., "The neglect of power in recent framing research" 54 : 214-233, 2004

      35 Bhabha, H. 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4

      36 Monroe, C. R., "The influence of cultural synchronization on a teacher’s perceptions of disruption" 55 (55): 256-268, 2004

      37 Masterman, L., "Teaching the Media" Routledge 1985

      38 Hammer, R., "Teaching critical media literacies : Theory, praxis and empowerment" 2 (2): 2006

      39 Chamberlin-Quinlisk, C., "TESOL and media education : Navigating our screen-saturated worlds" 46 (46): 152-164, 2012

      40 윤도현, "Students'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Critical Media Literacy in English Class in a University" 대한영어영문학회 35 (35): 331-346, 2009

      41 Ferguson, M., "Practical work and pedagogy" 38 : 41-55, 1981

      42 Kern, R., "Perspectives on technology in learning and teaching languages" 40 (40): 183-210, 2006

      43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Seabury Press 1970

      44 Kress, G., "Multimodality : Challenges to thinking about language" 34 (34): 337-340, 2000

      45 Courts, P. L., "Multicultural literacies: Dialect, discourses, and diversity" Peter Lang 1998

      46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John Whiley & Sons 2010

      47 Husband, C., "Minority ethnic media as communities of practice :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politics in interaction" 31 (31): 461-479, 2005

      48 Kellner, D., "Media literacy: A reader" Peter Lang Publishing 3-23, 2007

      49 "Media Literacy Project"

      50 McLaren, P., "Life in schools: An introduction to critical pedagogy in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Taylor & Francis 2015

      51 Cortés, C. E.,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Jossey-Bass 211-227, 2004

      52 Ivory, A. H., "Gendered relationships on television : Portrayals of same-sex and heterosexual couples" 12 : 170-192, 2009

      53 Entman, R. M., "Framing : Towards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43 : 51-58, 1993

      54 Luke, C., "Feminist pedagogy and critical media literacy" 18 (18): 30-47, 1994

      55 Appadurai, A., "Fear of small numbers: An essay on the geography of anger [소수에 대한 두려움: 분노의 지리학]" EcoLibre 2006

      56 Dredger, K., "Engage me : Using new literacies to create third space classrooms that engage student writers" 2 (2): 85-101, 2010

      57 이종희, "EFL Instructional Procedures for Critical Media Literacy" 한국현대언어학회 28 (28): 305-328, 2012

      58 Hobbs, R., "Discovering media literacy: Teaching digital media and popular culture in elementary school" CORWIN 2013

      59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A new way to look at our kids" 9 (9): 1-6, 2001

      60 Hobbs, R.,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The Aspen Institute 2010

      61 Gutiérrez, K., "Developing a sociocritical literacy in the third space" 43 (43): 148-164, 2008

      62 Haddix, M., "Cultivating digital and popular literacies as empowering and emancipator acts among urban youth" 56 (56): 189-192, 2012

      63 Morrell, E., "Critical media pedagogy: Teaching for achievement in city schools" Teachers College Press 2013

      64 Gainer, J. S., "Critical media literacy in middle school : Exploring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53 (53): 364-373, 2010

      65 Choudhury, M., "Critical media literacy : A pedagogy for new literacies and urban youth" 19 (19): 39-44, 2012

      66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Core prin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67 Jenkins, H.,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The MIT Press 2009

      68 Broderick, D., "Collaborative design : Participatory culture meets multiliteracies in a high school literacy arts community" 58 (58): 198-208, 2014

      69 Buckingham, D., "Children talking television : The making of television literacy" Falmer 1994

      70 Giroux, H., "Between borders. Pedagogy and the politics of cultural studies" Routledge 1994

      71 Deleuze, G., "A thousand platea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천개의 고원]" New Wave 1987

      72 New London Group., "A pedagogy of multiliteracies : Designing social futures" 66 (66): 60-92, 1996

      73 주간조선, "<포커스> 젊은 ‘反다문화주의자’의 탄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