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유품새 채점규정에 근거한 심판판정 및 발전방안 = A Study on the Judgment and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Regulations for Free Style Pooms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2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need and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on objective basis for the grading of freestyle poomsae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existing standards of freestyle poomsae grading and the recognition of the methods for improvement of freestyle poomsae judg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freestyle poomsae referee's perception of freestyle poomsae game was analyzed for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disadvantages, visibility, acrobatic awareness, the need to secure safety and maintain identity. Second, the perception of freestyle poomsae grading by freestyle poomsae judges was analyzed in terms of directing, orthodoxy, proficiency, accuracy, expressiveness, writing evaluation, acrobatic addition, and acrobatics standard.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freestyle poomsae game's development plan in freestyle poomsae's mind needed to find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development possibility, improve regulations, separate scoring, oppose scoring separation, strengthen professionalism of judges, strengthen identity, and standard of scoring.
      번역하기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need and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on objective basis for the grading of freestyle poomsae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existing standards of freestyle poomsae grading and the recognition of the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need and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on objective basis for the grading of freestyle poomsae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existing standards of freestyle poomsae grading and the recognition of the methods for improvement of freestyle poomsae judg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freestyle poomsae referee's perception of freestyle poomsae game was analyzed for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disadvantages, visibility, acrobatic awareness, the need to secure safety and maintain identity. Second, the perception of freestyle poomsae grading by freestyle poomsae judges was analyzed in terms of directing, orthodoxy, proficiency, accuracy, expressiveness, writing evaluation, acrobatic addition, and acrobatics standard.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freestyle poomsae game's development plan in freestyle poomsae's mind needed to find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development possibility, improve regulations, separate scoring, oppose scoring separation, strengthen professionalism of judges, strengthen identity, and standard of scor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세계태권도연맹, "홈페이지"

      2 조은형,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한 태권도 품새 경기 경험 탐색" 한국체육학회 53 (53): 551-564, 2014

      3 대한태권도협회, "품새 경기규칙"

      4 남승우, "태권도 품새의 수련 가치에 대한 고찰" 1 (1): 121-138, 2007

      5 강희창, "태권도 품새경기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탐색"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류지선, "태권도 품새 우수ㆍ비 우수선수 간 학다리서기의 균형성 비교" 한국운동역학회 22 (22): 55-63, 2012

      7 임신자, "태권도 품새 대회의 심판판정에 대한 인식이 태권도 선수들의 심리상태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403-413, 2008

      8 국기원, "태권도 품새"

      9 이승진, "태권도 자유품새 도입에 따른 선수와 지도자의 품새대회 인식 및 발전방향 탐색" 국기원 8 (8): 357-377, 2017

      10 김대영, "태권도 자유품새 경기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 세계태권도연맹, "홈페이지"

      2 조은형,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한 태권도 품새 경기 경험 탐색" 한국체육학회 53 (53): 551-564, 2014

      3 대한태권도협회, "품새 경기규칙"

      4 남승우, "태권도 품새의 수련 가치에 대한 고찰" 1 (1): 121-138, 2007

      5 강희창, "태권도 품새경기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탐색"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류지선, "태권도 품새 우수ㆍ비 우수선수 간 학다리서기의 균형성 비교" 한국운동역학회 22 (22): 55-63, 2012

      7 임신자, "태권도 품새 대회의 심판판정에 대한 인식이 태권도 선수들의 심리상태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403-413, 2008

      8 국기원, "태권도 품새"

      9 이승진, "태권도 자유품새 도입에 따른 선수와 지도자의 품새대회 인식 및 발전방향 탐색" 국기원 8 (8): 357-377, 2017

      10 김대영, "태권도 자유품새 경기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1 전민우, "태권도 자유 품새 평가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국기원 8 (8): 379-400, 2017

      12 안진영, "태권도 자유 품새 창작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 13 (13): 163-179, 2019

      13 안근아, "태권도 자유 품새 음악에 대한 의미 고찰" 한국스포츠학회 16 (16): 1139-1147, 2018

      14 정현도, "태권도 자유 품새 경기의 활성화 방안" 11 : 55-67, 2015

      15 안진영, "태권도 자유 품새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 방안 탐색" 한국무예학회 13 (13): 241-258, 2019

      16 방인주, "태권도 자유 품새 경기규칙에 관한 개선방안" 한국무예학회 13 (13): 145-161, 2019

      17 강익필, "태권도 공인품새 해설Ⅱ" 상아기획 2015

      18 권혁정, "태권도 경기에서 자유품새의 철학적 의미 고찰" 한국스포츠학회 17 (17): 1021-1031, 2019

      19 박인준, "태권도 경기 품새의 사회현상 규명을 위한 질적연구" 한국무예학회 13 (13): 53-81, 2019

      20 이동희,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해석한 태권도 동작의 유형분류에 따른 자유품새 구성방안" 한국체육철학회 24 (24): 205-220, 2016

      21 서명원, "경기용 품새와 자유 품새의 운동 강도, 신체활동량 및 품새 경기 중 혈중 젖산 농도 분석" 국기원 10 (10): 101-11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