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복서(Boxer) 황을수의 LA올림픽 출전에 대한 연구 = The 10th LA Olympics in letters of boxer Hwang Eul-s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2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민족 ‘최초의 올림피언’인 복서 황을수의 업적을 고증하고, 아울러 그의 행적을 통해 한국 올림픽 경기사의 초기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당시 발행된 신문을 주요 사료(史料)로 채택 하였으며, 특히, 1932년 LA올림픽 개최 당시 황을수가 작성한 기행문을 심층 분석하였다. 황을수는 한민족이 최초로 참가한 근대 올림픽의 복싱경기에 출전하였다. 비록 그 성과가 순위 입상에는 미치지 못하였지만, 일제강점기 ‘압제와 차별’ 이라는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 식민치하 약소 민족의 역량을 세계 만방에 선보였다는 측면에서 그 성과의 길이는 찰라(刹那)이지만 깊이는 심히 장중(莊重)하다. 아울러, 이러한 황을수의 행적은 광복이후 ‘KOREA’ 가 제14회 런던올림픽 참가국으로서의 위용을 갖추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민족 ‘최초의 올림피언’인 복서 황을수의 업적을 고증하고, 아울러 그의 행적을 통해 한국 올림픽 경기사의 초기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당시 발행된 신문...

      이 연구는 한민족 ‘최초의 올림피언’인 복서 황을수의 업적을 고증하고, 아울러 그의 행적을 통해 한국 올림픽 경기사의 초기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당시 발행된 신문을 주요 사료(史料)로 채택 하였으며, 특히, 1932년 LA올림픽 개최 당시 황을수가 작성한 기행문을 심층 분석하였다. 황을수는 한민족이 최초로 참가한 근대 올림픽의 복싱경기에 출전하였다. 비록 그 성과가 순위 입상에는 미치지 못하였지만, 일제강점기 ‘압제와 차별’ 이라는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 식민치하 약소 민족의 역량을 세계 만방에 선보였다는 측면에서 그 성과의 길이는 찰라(刹那)이지만 깊이는 심히 장중(莊重)하다. 아울러, 이러한 황을수의 행적은 광복이후 ‘KOREA’ 가 제14회 런던올림픽 참가국으로서의 위용을 갖추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Boxer Hwang Eul-su, who the first Olympian of the Korea, and identified the early form of history of the Korean Olympics through his record.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adopted the study method of reviewing literatures including newspaper, magazine, theses, and books, and grounded on that excavation above, this study has found following results. Hwang Eul-su competed as a boxer in the modern Olympics that Koreans took part in for the first time. His outcome did not involve any winning of a medal, but the time was harsh as we had the ethnic group but no nation, so the length of that product was just brief but the depth of it was absolutely profoun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Boxer Hwang Eul-su, who the first Olympian of the Korea, and identified the early form of history of the Korean Olympics through his record.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adopted the study method of revie...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Boxer Hwang Eul-su, who the first Olympian of the Korea, and identified the early form of history of the Korean Olympics through his record.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adopted the study method of reviewing literatures including newspaper, magazine, theses, and books, and grounded on that excavation above, this study has found following results. Hwang Eul-su competed as a boxer in the modern Olympics that Koreans took part in for the first time. His outcome did not involve any winning of a medal, but the time was harsh as we had the ethnic group but no nation, so the length of that product was just brief but the depth of it was absolutely profou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학래, "한국유도 발달사" 보경문화사 1990

      2 하남길, "체육사 신론"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1

      3 하남길, "체육과 스포츠의 역사" 경상대학교 출판부 2008

      4 임석원, "일제강점기 황을수의 권투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 11 (11): 1-14, 2017

      5 조문기, "일제강점기 조선연무관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4 (14): 81-92, 2009

      6 임석원, "일제강점기 ‘복싱의 신’ 서정권의 삶" 한국웰니스학회 12 (12): 331-341, 2017

      7 임석원, "이경석(李景錫)의 생애와 유도(柔道)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125-136, 2009

      8 "동아일보"

      9 "동아일보"

      10 "동아일보"

      1 이학래, "한국유도 발달사" 보경문화사 1990

      2 하남길, "체육사 신론"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1

      3 하남길, "체육과 스포츠의 역사" 경상대학교 출판부 2008

      4 임석원, "일제강점기 황을수의 권투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 11 (11): 1-14, 2017

      5 조문기, "일제강점기 조선연무관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4 (14): 81-92, 2009

      6 임석원, "일제강점기 ‘복싱의 신’ 서정권의 삶" 한국웰니스학회 12 (12): 331-341, 2017

      7 임석원, "이경석(李景錫)의 생애와 유도(柔道)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125-136, 2009

      8 "동아일보"

      9 "동아일보"

      10 "동아일보"

      11 "동아일보"

      12 "동아일보"

      13 "동아일보"

      14 "동아일보"

      15 "동아일보"

      16 "동아일보"

      17 "동아일보"

      18 "동아일보"

      19 "동아일보"

      20 "동아일보"

      21 "동아일보"

      22 "동아일보"

      23 "동아일보"

      24 "동아일보"

      25 "동아일보"

      26 "동아일보"

      27 임석원, "광복 전후 경성 경마장의 상황(狀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53 (53): 1-9, 2014

      28 노병엽, "韓國복싱 八十年人物史" 월드타임즈 1997

      29 편집부, "三千里. 8월호 7권 7호"

      30 "https://terms.naver.com"

      31 "http://www.mpva.go.kr"

      32 "http://www.koreantk.com"

      33 "http://www.doopedia.co.k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