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문헌기록을 통해 본 《효자도병풍》의 제작양상과 용도
- Ⅲ. 《효자도병풍》의 작품현황과 유형
- Ⅳ.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효자도10폭병풍》의 작품분석과 표현특징
- Ⅳ. 맺음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91586
2022
Korean
38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6-55(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채용신(蔡龍臣)의 화조화(花鳥畵) 고찰을 통한, 근대기 화조화 수요(需要)의 성향에 대한 제언 -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채용신 필 《화조도8폭병》을 중심으로
장수와 복락, 多子의 고상한 염원 : 19세기 전북지역 묵포도도 전문화가의 활약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대곡사명 감로도〉연구 - 민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