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복지시설 돌봄 종사자의 일-생활 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on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Care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43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tisfaction with life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happiness, and the UN General Assembly has also emphasized the value of improving it. Maintaining a work-life balance is an important challenge in modern society, and a good balance improves individual health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creased connectivity lead to stress and decreased life satisfaction.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approaches such as work-life balance,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are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life satisfaction and explored whether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play a mediating role in this proces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c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analyzing data using SPSS 24.0 and AMOS 26.0, it wa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balance between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positively mediate this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s work-life balance were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Second, as a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indfulness. Third,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s work-life balance were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growth mindset. Fourth, mindfulness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the growth mindset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at work-life balance is important for individual happiness and development in work-life balance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monstrated empirically that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due to the nature of work that has a large emotional and physical burden on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act as important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and policy intervention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Fourth, the need for various support measures was confirmed so that care worke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can maintain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increase satisfaction in the workplace. Fifth, the necessity of a convergent approach to the interaction of work-life balance,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was emphasized. This study will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not only for caring workers but also for general office worker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al health support programs such as mindfulnes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self-care and emotional well-being of care workers. Second, the growth mindse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helping caregivers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jobs and accept challenging situations as growth opportunities. Third, flexible working hour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work-life balance and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Fourth,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an approach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work-life balance,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Fifth, it was emphasiz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licy intervention were needed to promote the life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f social welfare facility caregivers on life satisfaction, mindfulness, and the mediating role of growth mindset. Academically, the theoretical ba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was expanded, and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various disciplines was suggested. In practic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licy intervention that can promote the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raining programs and flexible work systems were emphasized. This study will be useful basic data not only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but also for various occupations.
      번역하기

      Satisfaction with life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happiness, and the UN General Assembly has also emphasized the value of improving it. Maintaining a work-life balance is an important challenge in modern society, and a good ba...

      Satisfaction with life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happiness, and the UN General Assembly has also emphasized the value of improving it. Maintaining a work-life balance is an important challenge in modern society, and a good balance improves individual health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creased connectivity lead to stress and decreased life satisfaction.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approaches such as work-life balance,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are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life satisfaction and explored whether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play a mediating role in this proces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c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analyzing data using SPSS 24.0 and AMOS 26.0, it wa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balance between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positively mediate this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s work-life balance were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Second, as a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indfulness. Third,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s work-life balance were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growth mindset. Fourth, mindfulness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the growth mindset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at work-life balance is important for individual happiness and development in work-life balance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monstrated empirically that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due to the nature of work that has a large emotional and physical burden on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act as important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and policy intervention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Fourth, the need for various support measures was confirmed so that care worke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can maintain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increase satisfaction in the workplace. Fifth, the necessity of a convergent approach to the interaction of work-life balance,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was emphasized. This study will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not only for caring workers but also for general office worker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al health support programs such as mindfulnes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self-care and emotional well-being of care workers. Second, the growth mindse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helping caregivers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jobs and accept challenging situations as growth opportunities. Third, flexible working hour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work-life balance and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Fourth,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an approach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work-life balance, mindfulness, and growth mindset. Fifth, it was emphasiz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licy intervention were needed to promote the life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f social welfare facility caregivers on life satisfaction, mindfulness, and the mediating role of growth mindset. Academically, the theoretical ba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was expanded, and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various disciplines was suggested. In practic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licy intervention that can promote the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raining programs and flexible work systems were emphasized. This study will be useful basic data not only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but also for various occup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삶의 만족은 오랫동안 행복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졌으며, UN 총회도 이를 개선하려는 가치를 강조해 왔다. 현대 사회에서 일-생활 균형을 유 지하는 것은 중요한 도전 과제로, 균형이 잘 유지되면 개인의 건강과 조 직 성과가 향상되지만, 기술 발전과 연결성 증가는 스트레스와 삶의 만 족도 저하를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려면 일-생활 균형,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생활 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 과정에서 마음챙김과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탐구했다. 사 회복지시설의 돌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4.0 과 AMOS 26.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일-생활 균형(일-가 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 간의 균형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 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또한, 마음챙김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러한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함을 밝혀냈다. 본 연구결과, 첫째, 일-생활 균형으로서 일-가족 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은 삶의 만족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일-생활 균형으로서 일-가족 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은 마음챙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생활 균형으로서 일-가족 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은 성장 마인드셋에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마음챙김은 삶의 만족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성장 마인드셋은 삶의 만족에 삶의 만족에 대한 긍정적 효과 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일-생활 균형에 있어서 일과 생활의 균형이 개인의 행복과 발전에 중요함을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정서적·신체적 부담이 큰 업무 특성상, 직장과 개인 생활 간의 균형이 이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선행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둘째, 마음챙김과 성장 마인드셋이 일-생활 균형과 삶의 만족 간의 관 계에서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조직적·정책적 개입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넷째, 사회복지 분야의 돌봄 종사자가 개인의 삶의 질을 유지하고 일 터에서의 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일-생활 균형,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의 상호작용에 대한 융 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돌봄 종사자 뿐만 아니라 일반 직장인들에게도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근로 조건 을 개선하고 삶의 만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과 같은 정신적 건강 지원 프로그램이 돌봄 종사자의 자기 돌봄 및 정서적 웰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이 돌봄 종사자가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도전적인 상황을 성장 기회로 받아들이도록 돕는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유연한 근무 시간은 돌봄 종사자들의 일-생활 균형을 개선하고 삶의 만족도를 증진하는 데 효과적이다. 넷째, 본 연구는 일-생활 균형,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돌봄 종사자의 삶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해 조직적 지원과 정 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돌봄 종사자의 일-생활 균형이 삶 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 역할을 실증 적으로 규명하였다. 학문적으로는 일-생활 균형과 삶의 만족 간 상호작 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 토대를 확장하고, 다양한 학문 간 융 합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실무적으로는 돌봄 종사자의 삶의 만족 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적 지원과 정책적 개입의 중요성, 훈련 프로그램 및 유연근무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 뿐 아니라 다양한 직종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삶의 만족은 오랫동안 행복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졌으며, UN 총회도 이를 개선하려는 가치를 강조해 왔다. 현대 사회에서 일-생활 균형을 유 지하는 것은 중요한 도전 과제로, 균형이 잘 유지...

      삶의 만족은 오랫동안 행복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졌으며, UN 총회도 이를 개선하려는 가치를 강조해 왔다. 현대 사회에서 일-생활 균형을 유 지하는 것은 중요한 도전 과제로, 균형이 잘 유지되면 개인의 건강과 조 직 성과가 향상되지만, 기술 발전과 연결성 증가는 스트레스와 삶의 만 족도 저하를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려면 일-생활 균형,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생활 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 과정에서 마음챙김과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탐구했다. 사 회복지시설의 돌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4.0 과 AMOS 26.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일-생활 균형(일-가 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 간의 균형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 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또한, 마음챙김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러한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함을 밝혀냈다. 본 연구결과, 첫째, 일-생활 균형으로서 일-가족 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은 삶의 만족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일-생활 균형으로서 일-가족 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은 마음챙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생활 균형으로서 일-가족 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은 성장 마인드셋에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마음챙김은 삶의 만족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성장 마인드셋은 삶의 만족에 삶의 만족에 대한 긍정적 효과 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일-생활 균형에 있어서 일과 생활의 균형이 개인의 행복과 발전에 중요함을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정서적·신체적 부담이 큰 업무 특성상, 직장과 개인 생활 간의 균형이 이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선행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둘째, 마음챙김과 성장 마인드셋이 일-생활 균형과 삶의 만족 간의 관 계에서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조직적·정책적 개입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넷째, 사회복지 분야의 돌봄 종사자가 개인의 삶의 질을 유지하고 일 터에서의 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일-생활 균형,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의 상호작용에 대한 융 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돌봄 종사자 뿐만 아니라 일반 직장인들에게도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근로 조건 을 개선하고 삶의 만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과 같은 정신적 건강 지원 프로그램이 돌봄 종사자의 자기 돌봄 및 정서적 웰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이 돌봄 종사자가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도전적인 상황을 성장 기회로 받아들이도록 돕는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유연한 근무 시간은 돌봄 종사자들의 일-생활 균형을 개선하고 삶의 만족도를 증진하는 데 효과적이다. 넷째, 본 연구는 일-생활 균형,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돌봄 종사자의 삶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해 조직적 지원과 정 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돌봄 종사자의 일-생활 균형이 삶 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마음챙김,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 역할을 실증 적으로 규명하였다. 학문적으로는 일-생활 균형과 삶의 만족 간 상호작 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 토대를 확장하고, 다양한 학문 간 융 합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실무적으로는 돌봄 종사자의 삶의 만족 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적 지원과 정책적 개입의 중요성, 훈련 프로그램 및 유연근무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 뿐 아니라 다양한 직종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1
      • 1.2 연구의 목적 10
      • 1.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1
      • 1.3.1 연구의 방법 11
      • 제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1
      • 1.2 연구의 목적 10
      • 1.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1
      • 1.3.1 연구의 방법 11
      • 1.3.2 연구의 구성 12
      • 제2 장 이론적 배경 15
      • 2.1 일-생활 균형 15
      • 2.1.1 일-생활 균형의 정의 15
      • 2.1.2 일-생활 균형의 구성 요소 20
      • 2.1.2.1 일-가족 균형 21
      • 2.1.2.2 일-여가 균형 22
      • 2.1.2.3 일-성장 균형 23
      • 2.1.3 일-생활 균형에 관한 선행연구 25
      • 2.1.4 일-생활 균형에 이론적 논의 30
      • 2.1.4.1 전이모델(spillover model) 31
      • 2.1.4.2 보상모델(compensation model) 31
      • 2.1.4.3 분리모델(segmentation model) 32
      • 2.1.4.4 갈등모델(conflict madel) 32
      • 2.1.4.5 경계이론(border theory) 32
      • 2.2 마음챙김 33
      • 2.2.1 마음챙김의 정의 33
      • 2.2.2 마음챙김의 구성 요소 41
      • 2.2.3 마음챙김에 관한 선행연구 44
      • 2.3 성장 마인드셋 47
      • 2.3.1 성장 마인드셋의 정의 47
      • 2.3.2 성장 마인드셋의 구성 요소 50
      • 2.3.3 성장 마인드셋에 관한 선행연구 51
      • 2.4 삶의 만족 52
      • 2.4.1 삶의 만족의 정의 54
      • 2.4.2 삶의 만족의 구성 요소 59
      • 2.4.3 삶의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61
      • 제3 장 연구설계 64
      • 3.1 연구모형 64
      • 3.2 연구가설의 설정 65
      • 3.2.1 일-생활 균형과 삶의만족 간의 관계 65
      • 3.2.2 일-생활 균형과 마음챙김 간의 관계 68
      • 3.2.3 일-생활 균형과 성장 마인드셋 간의 관계 73
      • 3.2.4 마음챙김과 삶의만족 간의 관계 76
      • 3.2.5 성장 마인드셋과 삶의만족 간의 관계 77
      •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79
      • 3.3.1 일-생활 균형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0
      • 3.3.2 마음챙김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1
      • 3.3.3 성장 마인드셋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2
      • 3.3.4 삶의만족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2
      • 3.4 연구 분석 방법 85
      • 제4 장 실증분석 86
      • 4.1 표본 선정 및 자료 수집 86
      • 4.1.1 표본의 선정 86
      • 4.1.2 자료의 수집 86
      • 4.2 표본의 일반적 특성 87
      • 4.2.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7
      • 4.2.2 표본의 기술통계 90
      • 4.2.3 탐색적 요인분석 92
      • 4.2.4 상관관계 분석 94
      • 4.3 측정모형의 검증 95
      • 4.3.1 측정모형의 적합성 검증 95
      • 4.3.2 집중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98
      • 4.3.3 판별타당성 검증 100
      • 4.4 구조모형의 적합성 검증 101
      • 4.5 연구가설 검증 103
      • 4.5.1 가설검증(전체표본) 103
      • 4.5.2 매개효과분석 107
      • 4.5.3 추가분석(연령,자녀유무,경력) 110
      • 제5 장 결론 122
      • 5.1 연구 결과의 요약 122
      • 5.2 연구의 시사점 128
      • 5.2.1 학문적 시사점 128
      • 5.2.2 실무적 시사점 130
      •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133
      • 참고문헌 135
      • 부 록 1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