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 샤레프의 『파크레트 가』는 이주문학이 지닌 특수성과 동시에 보편성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은 공간의 분리를 통해 이주자의 정착지인 프랑스 빈민촌과 떠나온 고향 마그레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7669
권수경 (충남대학교)
2025
Korean
Mehdi Charef ; Rue des Pâquerettes ; littérature migrante ; la spécificité ; l’universalité ; 메디 샤레프 ; 파크레트 가 ; 이주문학 ; 특수성 ; 보편성
KCI등재
학술저널
49-81(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메디 샤레프의 『파크레트 가』는 이주문학이 지닌 특수성과 동시에 보편성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은 공간의 분리를 통해 이주자의 정착지인 프랑스 빈민촌과 떠나온 고향 마그레브 ...
메디 샤레프의 『파크레트 가』는 이주문학이 지닌 특수성과 동시에 보편성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은 공간의 분리를 통해 이주자의 정착지인 프랑스 빈민촌과 떠나온 고향 마그레브 사이의 물리적·심리적 거리를 보여준다. 낯선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정체성과 소외감을 각인시키는 중요한 무대로 작용한다. 또한 언어의 분리는 가족 내에서 사용하는 아랍어, 학교에서 강제되는 프랑스어는 깊은 균열을 드러낸다. 이처럼 언어는 소통의 수단인 동시에 소외의 매개가 되며, 식민성과 문화적 분열을 상징한다. 아울러, 기억의 문지방에 서 있는 화자는 고향에 대한 향수와 현재의 삶 사이에서 유동적인 정체성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 작품은 이러한 특수성을 넘어서, 성장소설의 구조를 따르며 보편성을 획득한다. 화자는 주변 세계를 탐색하고 타자화되는 경험 속에서 점차 자아를 발견한다. 또한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와 부정할 수 없는 사랑은 언어적 단절을 초월해 독자에게 깊은 감동을 준다. 소외감, 수치심, 애정, 저항 등은 특정 문화권을 넘어선 보편적 정서로 제시된다. 궁극적으로 화자는 언어를 익히고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희망을 모색한다. 소외된 타자의 목소리를 호출하고, 잊힌 기억에 정의를 부여하려는 문학적 시도는 이 작품이 단지 이주자의 서사를 넘어서, 인간 보편의 조건에 대한 사유를 요청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e des Pâquerettes de Mehdi Charef est une œuvre qui incarne à la fois la spécificité et l’universalité de la littérature migrante. À travers une séparation spatiale, le récit met en lumière la distance physique et psychologique entre le...
Rue des Pâquerettes de Mehdi Charef est une œuvre qui incarne à la fois la spécificité et l’universalité de la littérature migrante. À travers une séparation spatiale, le récit met en lumière la distance physique et psychologique entre le bidonville français, lieu d’installation des migrants, et le Maghreb natal quitté. L’espace étranger ne constitue pas un simple décor, mais agit comme une scène essentielle où se dévoilent une identité fracturée et un sentiment d’exclusion. La séparation linguistique, entre l’arabe parlé au sein de la famille et le français imposé à l’école, révèle également une fracture profonde. La langue devient ici, non seulement un outil de communication, mais aussi un vecteur d’aliénation, symbole de la colonialité et des clivages culturels. Par ailleurs, le narrateur, placé sur le seuil de la mémoire, construit une identité fluide, tiraillée entre la nostalgie de la terre natale et la réalité du présent.
Cependant, l’œuvre dépasse cette spécificité pour atteindre une portée universelle via la structure du roman d’apprentissage. Le narrateur explore son environnement et, à travers les expériences de marginalisation, découvre progressivement son propre moi. Les liens affectifs familiaux et l’amour irréductible transcendent les barrières linguistiques et touchent profondément le lecteur. L’exclusion, la honte, l’affection ou encore la résistance sont présentées comme des émotions universelles, indépendantes du contexte culturel. Finalement, le narrateur cherche à maîtriser la langue et se réapproprie son récit dans une quête d’avenir et de reconnaissance. L’effort littéraire visant à faire entendre la voix du sujet marginalisé et à rendre justice à une mémoire longtemps oubliée montre que cette œuvre dépasse le simple cadre du récit migratoire : elle invite à une réflexion sur la condition humaine universelle.
콜레트의 『학교에서의 클로딘』 속 이성애중심적 가부장제에의 순응 논리
인용 삽입절을 포함한 직접 인용문 연구 - 프랑스어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슈바르츠바르트 사건을 통해 본 문학작품의 창작과 수용 문제 - 소수문학론을 중심으로
프랑스어 이중모음의 통시 변화에 따른 중성 참 구성요소의 위계구조 정립 - 지배음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