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패션 소재 컬러에 대한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751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 색채전공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and tactile texture of fashion materials color

      • 형태사항

        ix, 120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이윤진
        국·영문초록수록
        부록수록
        참고문헌: p. 111-114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5286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 tendencies of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that fashion materials have. Consumers evaluate and purchase fashion material with the accompanied visual information on col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 tendencies of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that fashion materials have. Consumers evaluate and purchase fashion material with the accompanied visual information on colors and tex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of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s in the methods for evaluating the visual texture and for the tactile texture (including visual texture) of fashion materi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colors, and evaluation tendenc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hen different colors were applied to equal materials.
      For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basic colors (White, Black, Beige, Brown, Khaki, Navy) and a variety of textile materials which are basically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were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survey. As experimental samples, a total of forty eight samples classified on the basis of surface characteristics and weight were selected with color measurement and with the naked ey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fashion materials, eight pairs of evaluation vocabularies were chosen. This study had two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second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the seven-point Likert Scale. In the first experiment, material samples were evaluated visually.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tactile texture based on visual and tactile senses was evaluated. Both of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equal study subjects. For better discrimination, samples were shuffled randomly in each one of the experiments.
      The study results drawn from the experimen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was found to influence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s. Regarding the evaluation tendency of equal materials according to visual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methods, equal materials showed a similar evaluation tendency mostly. Some materials showed a different evaluation tendency in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Secondly, the sense evaluation for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was almost consistent. The sense evaluation results were drawn according to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ense evaluation tendency.
      Thirdly, a sense of gloss, a sense of ruggedness, a sense of thickness, a sense of density, and a sense of luxury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Fourthly, in the visual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according to color characteristics, there was relatively similarity. Aside from that, the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 tendency was defined according to basic color characteristics.
      Fifthly, a sense of gloss, a sense of ruggedness, and a sense of thickness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visual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With regard to a sense of gloss, tactile texture tended to be recognized more strongly; regarding a sense of ruggedness and a sense of thickness, visual texture tended to be recognized more strongly.
      Sixthly, when a diversity of color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equal fashion materials,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tended to b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material and color characteristics. A difference in basic colors of fashion materials led to different evaluations of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In this study,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including visual textur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 and color characteristics,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of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s. Evaluation tendencies were diverse according to material and color characteristics. The result wa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 tendencies of materials work in a complicated way and are applicable to fashion material planning. It is expected to predict consumers’ sense and sensibility and plan the harmony of materials’ texture and colors in the fashion product planning ste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패션 소재의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감각 및 감성 평가 경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소비자가 패션 소재를 평가하고 구입할 때 색채와 질감과 같은 시각적 정보...

      본 연구는 패션 소재의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감각 및 감성 평가 경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소비자가 패션 소재를 평가하고 구입할 때 색채와 질감과 같은 시각적 정보가 동반되어 구매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패션 소재의 시각적 질감과 시각을 배제하지 않은 촉각적 질감의 평가 방법에 따른 감각 및 감성 평가 차이를 소재 특성과 컬러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동일한 소재일 때 컬러가 다르게 주어짐에 따라 나타나는 평가 경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이론적 배경 조사를 통해 패션 산업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이직 컬러(White, Black, Beige, Brown, Khaki, Navy)와 다양한 직물 소재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샘플은 표면 특성과 중량감을 기준으로 분류된 총 48개의 샘플로 측색과 육안검사를 통해 선발하였고 패션 소재 선행 연구를 통해 8쌍의 평가 어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1차 실험과 2차 실험으로 진행하였고 7점 리커트척도(Likert Scale)로 평가하였다. 1차 실험은 시각으로만 소재 샘플을 평가한 시각적 질감 평가이며, 2차 실험은 시각과 촉각을 동시에 사용한 촉각적 질감 평가를 의미한다. 1차 실험과 2차 실험에 동일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실험 순서는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각각의 실험마다 샘플을 무작위로 섞어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의 표면적 재질 특성이 감각과 감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 방법에 따라 동일한 소재의 평가 경향은 대부분 유사한 평가 경향을 나타났으며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감각 평가 방법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인 소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에 대한 감성 평가는 거의 일치하였으며 소재 특성과 감각 평가 경향에 따라 나타나는 감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셋째, 광택감, 요철감, 두께감, 밀도감, 편안함, 고급감이 소재 특성에 따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넷째, 컬러 특성에 따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는 상대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더불어 베이직 컬러 특성별 감각과 감성 평가 경향을 정의하였다.
      다섯째, 광택감, 요철감, 두께감은 유채색의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광택감은 촉각적 질감이 더 강하게 인지되며 요철감과 두께감은 시각적 질감이 더 강하게 인지되는 경향을 나타났다.
      여섯째, 동일한 패션 소재에 컬러 특성이 다양하게 주어졌을 때, 소재와 컬러 특성에 따라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평가 경향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패션 소재에서 나타난 베이직 컬러의 차이가 서로 다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평가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각적 질감과 시각을 배제하지 않은 촉각적 질감을 소재 특성과 컬러 특성으로 분류하여 감각과 감성 평가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소재와 컬러 특성에 따라 평가 경향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재에 나타난 감각과 감성 평가 경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패션 소재 기획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패션 상품 기획 단계에서 소비자들의 감각과 감성을 예측하여 소재의 질감과 컬러를 조화롭게 기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i
      • 목차 iii
      • 표목차 vi
      • 그림목차 ix
      • Ⅰ. 서 론 1
      • 초록 i
      • 목차 iii
      • 표목차 vi
      • 그림목차 ix
      • Ⅰ.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Ⅱ. 이론적 배경 6
      • 2.1 패션 컬러 6
      • 2.1.1 패션 컬러의 개념과 중요성 6
      • 2.1.2 패션의 베이직 컬러 8
      • 2.2 패션 소재 10
      • 2.2.1 패션 소재의 분류 10
      • 2.2.2 패션 소재의 질감 12
      • 2.2.3 패션 소재의 질감과 관련된 선행논문 분석 15
      • 2.2.4 온라인와 오프라인에서 패션 소재의 질감 비교 선행논문 분석 17
      • 2.2.5 패션 소재의 감각 18
      • 2.2.6 패션 소재의 감성 19
      • Ⅲ. 실험 20
      • 3.1 실험 설계 및 방법 20
      • 3.1.1 실험 대상 20
      • 3.1.2 실험 방법 21
      • 3.2 실험 샘플 제작 및 평가 어휘 선정 23
      • 3.2.1 실험 샘플 선정 및 분류 23
      • 3.2.2 실험 샘플 제작 29
      • 3.2.3 평가 어휘 선정 30
      • 3.3 분석방법 36
      • Ⅳ. 실험 결과 및 분석 37
      • 4.1 소재 특성에 따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비교 분석 37
      • 4.1.1. 광택감 37
      • 4.1.2. 요철감 40
      • 4.1.3. 두께감 43
      • 4.1.4. 밀도감 46
      • 4.1.5. 온도감 48
      • 4.1.6. 편안함 50
      • 4.1.7. 고급감 52
      • 4.1.8. 모던함 54
      • 4.1.9. 소결 56
      • 4.2 컬러 특성에 따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비교 분석 63
      • 4.2.1. 광택감 63
      • 4.2.2. 요철감 65
      • 4.2.3. 두께감 67
      • 4.2.4. 밀도감 69
      • 4.2.5. 온도감 71
      • 4.2.6. 편안함 73
      • 4.2.7. 고급감 75
      • 4.2.8. 모던함 77
      • 4.2.9. 소결 79
      • 4.3 소재와 컬러에 따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비교 분석 83
      • 4.3.1. 광택감 85
      • 4.3.2. 요철감 87
      • 4.3.3. 두께감 92
      • 4.3.4. 밀도감 96
      • 4.3.5. 편안함 99
      • 4.3.6. 고급감 103
      • 4.3.7. 소결 105
      • Ⅴ. 결론 108
      • 참고문헌 111
      • 부록 115
      • ABSTRACT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