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晦峯 河謙鎭의 「和陶詩」와 東坡 蘇軾의 「和陶詩」 比較硏究 = A Comparative Study on Hwa-Do Potery(和陶詩) written by Hoi-bong Ha, Gyeom-jin(晦峯 河謙鎭) and Dong-po Su, Shi(東坡 蘇軾)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2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i-bong and Dong-po had an encounter through a poetic format called “Hwado poetry” over a distance of hundreds of years between them. They felt sympathy for the moral integrity, noble character, and reclusive life of Tao Yenming and wrote “Hwado poetry.” Hoi-bong, in particular, was also devoted to Dong-po considerably, which was one of the driving forces behind his creation of Hwado poetry. Overcoming the wide distance of time and meeting through “Hwado poetry,” they had worries and conflicts with their respective periods and realities and reflected their inner agonies in their poems without addition and deduction. “Hwado poetry” was the product of their spiritual agonies and also a type of mental exit to resolve their worries and conflicts in reality.
      Hoi-bong sympathized with Dong-po through “Hwado poetry,” exhibiting similar or different opinions from him a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His Hwado poetry comparable to that of Dong-po is an important collection of materials to extend the scop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o post-Liberation years and further solidifies the scop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번역하기

      Hoi-bong and Dong-po had an encounter through a poetic format called “Hwado poetry” over a distance of hundreds of years between them. They felt sympathy for the moral integrity, noble character, and reclusive life of Tao Yenming and wrote “Hwad...

      Hoi-bong and Dong-po had an encounter through a poetic format called “Hwado poetry” over a distance of hundreds of years between them. They felt sympathy for the moral integrity, noble character, and reclusive life of Tao Yenming and wrote “Hwado poetry.” Hoi-bong, in particular, was also devoted to Dong-po considerably, which was one of the driving forces behind his creation of Hwado poetry. Overcoming the wide distance of time and meeting through “Hwado poetry,” they had worries and conflicts with their respective periods and realities and reflected their inner agonies in their poems without addition and deduction. “Hwado poetry” was the product of their spiritual agonies and also a type of mental exit to resolve their worries and conflicts in reality.
      Hoi-bong sympathized with Dong-po through “Hwado poetry,” exhibiting similar or different opinions from him a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His Hwado poetry comparable to that of Dong-po is an important collection of materials to extend the scop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o post-Liberation years and further solidifies the scop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회봉과 동파는 몇 백년의 간극을 뛰어넘어 ‘和陶詩’라는 하나의 시형식으로 遭遇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도연명이라는 인물의 도덕적 청렴함과 인품의 고결함, 은자로서의 삶에 같은 공감대를 느끼며 ‘화도시’를 짓게 되었고, 특히 회봉은 소동파에게도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는데 이도 화도시를 짓는 하나의 動因이 되었다. 시대의 간극을 뛰어넘고 ‘화도시’로 만난 이들은 각자 처한 시대와 현실에 고민하고 갈등하며 그 내면적 고뇌들을 시에 加減 없이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화도시’는 그들의 정신적 고뇌의 산물이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민과 갈등을 해소해가는 일종의 정신적 해방구이기도 하였다.
      회봉은 화도시에서 유학자로의 자세를 견지하고 도덕적 선을 추구하는 시를 지었으며, 亡國의 좌절과 아픔을 화도시에 담아 내었다. 유학자로서 이상적인 모습을 시에 나타내려한 회봉의 화도시에는 溫柔敦厚함이 담겨있다. 그리고 동파는 현실을 추구하는 유자로의 모습과 은일의 삶을 추구하는 은자로서 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며 시대의 불우에 대한 좌절을 화도시에 담아내면서도 아주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보였다.
      회봉은 동파와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견해를 보이며 시공을 초월하여 ‘화도시’를 통해 동파와 交感하였다. 동파와 비교가 가능한 회봉의 화도시는 우리 한문학의 범위를 해방후까지 연장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근대한문학의 범주를 공고히 하게 한다.
      번역하기

      회봉과 동파는 몇 백년의 간극을 뛰어넘어 ‘和陶詩’라는 하나의 시형식으로 遭遇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도연명이라는 인물의 도덕적 청렴함과 인품의 고결함, 은자로서의 삶에 같은 공감...

      회봉과 동파는 몇 백년의 간극을 뛰어넘어 ‘和陶詩’라는 하나의 시형식으로 遭遇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도연명이라는 인물의 도덕적 청렴함과 인품의 고결함, 은자로서의 삶에 같은 공감대를 느끼며 ‘화도시’를 짓게 되었고, 특히 회봉은 소동파에게도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는데 이도 화도시를 짓는 하나의 動因이 되었다. 시대의 간극을 뛰어넘고 ‘화도시’로 만난 이들은 각자 처한 시대와 현실에 고민하고 갈등하며 그 내면적 고뇌들을 시에 加減 없이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화도시’는 그들의 정신적 고뇌의 산물이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민과 갈등을 해소해가는 일종의 정신적 해방구이기도 하였다.
      회봉은 화도시에서 유학자로의 자세를 견지하고 도덕적 선을 추구하는 시를 지었으며, 亡國의 좌절과 아픔을 화도시에 담아 내었다. 유학자로서 이상적인 모습을 시에 나타내려한 회봉의 화도시에는 溫柔敦厚함이 담겨있다. 그리고 동파는 현실을 추구하는 유자로의 모습과 은일의 삶을 추구하는 은자로서 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며 시대의 불우에 대한 좌절을 화도시에 담아내면서도 아주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보였다.
      회봉은 동파와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견해를 보이며 시공을 초월하여 ‘화도시’를 통해 동파와 交感하였다. 동파와 비교가 가능한 회봉의 화도시는 우리 한문학의 범위를 해방후까지 연장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근대한문학의 범주를 공고히 하게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숙, "회봉 하겸진의 「화도시」와 「수미음」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2 허종문, "회봉 하겸진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2

      3 曹圭百, "조선조 문인의 蘇東坡 인물 및 산문에 대한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80 : 2012

      4 안희진, "소식의 ‘和陶詩’를 논함" 한국중국문화학회 (13) : 1-21, 2002

      5 안희진, "소동파에게 시를 묻다" 청동거울출판사 2009

      6 류종목, "소동파시집1, 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7 김창환, "도연명의 사상과 문학" 을유문화사 2009

      8 袁行霈, "도연명을 그리다" 태학사 2012

      9 이영숙, "극원 이만수의 화도시 연구" 동양한문학회 35 (35): 155-183, 2012

      10 강지희,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동방한문학회 (44) : 31-62, 2010

      1 이영숙, "회봉 하겸진의 「화도시」와 「수미음」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2 허종문, "회봉 하겸진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2

      3 曹圭百, "조선조 문인의 蘇東坡 인물 및 산문에 대한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80 : 2012

      4 안희진, "소식의 ‘和陶詩’를 논함" 한국중국문화학회 (13) : 1-21, 2002

      5 안희진, "소동파에게 시를 묻다" 청동거울출판사 2009

      6 류종목, "소동파시집1, 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7 김창환, "도연명의 사상과 문학" 을유문화사 2009

      8 袁行霈, "도연명을 그리다" 태학사 2012

      9 이영숙, "극원 이만수의 화도시 연구" 동양한문학회 35 (35): 155-183, 2012

      10 강지희,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동방한문학회 (44) : 31-62, 2010

      11 정숙인, "象村 申欽의 <和陶詩> 중 <飮酒> 20首 연구 - 陶淵明의 <飮酒>, 蘇軾의 <和陶飮酒詩>와의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 우리문학회 35 (35): 91-119, 2012

      12 李鴻鎭, "蘇東坡 <和陶詩> 硏究" 49 :

      13 河謙鎭, "東詩話"

      14 蘇軾, "東坡全集, In 文淵閣 四庫全書" 上海人民出版社

      15 김성기, "朝鮮朝 詩人의 蘇東坡 文學에 대한 認識" 개신어문학회 (35) : 99-135, 2012

      16 河謙鎭, "晦峯先生遺書"

      17 李永淑, "晦峯 河謙鎭의 和陶詩 硏究"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8 : 2010

      18 班固, "前漢書, In 文淵閣 四庫全書" 上海人民出版社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