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6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structures between communication types of youths to their parents, self 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rough this, I tries to propose a social welfare practice task to improve the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structures between communication types of youths to their parents, self 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rough this, I tries to propose a social welfare practice task to improve the level of adaptation of youths to their school life we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divided into open-type communication and closed-type communication of self 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reviewed. A survey was performed on 400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China's middles schools.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hierarchical analysis was executed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As results, first, communication to parents was found to make positive effects on self esteem. In particular, when divid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into open-type communication and closed-type communication aspects, closed-type mad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while open-type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parent-child open-type communication made the biggest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their school life, which means when youths have emotionally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y have higher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after parent-child open-type communication was considered in the regression, self esteem of respondents made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However, parent-child closed-type communication made nega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shows that to make youths perceive themselves as being proud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following are the practices to enhance self esteem of youths and increase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We need to guide them to perceive themselves as being worthy persons at school and home. To do this, parents need to give them encouragement and love at home. Because confusion in children's education may occur when parents are not confident in parenting, there should be parenting training program to enforce parents' competencies in parenting. It is not only for parenting, but also how to communication to children. Through this program, they can learn communic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 type. We can except to improve parent-child communication level and children's self esteem together. We need consulting programs to prevent incidents to make the self esteem of children be lower because of the gap between the expectation to their children and the reality. It is needed to support them to set small goals in everyday life and to have sense of achievements repetitively.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programs for emotional support experiences need to be given at youth support centers or healthy family centers. Next, we need to take care to make youths perceive themselves as valuable children, when teaching and guiding youth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s, risk behaviors and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fellow students, to adjust to all school matters. The period of the adolescence is very important time to build self identity based on self esteem. Therefore, policy that supports to develop diverse individual is needed and group consulting programs which are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youths need to be distributed to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 소재 4개 중학교 재학생 200명과 중국 산동성과 하남성 지역에 소재 각 1한 개 중학교 재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 분석에 적당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한국 188부, 중국 199부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년, 성적, 가정경제수준, 부 최종학력, 비행친구 등의 통제변인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변인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살펴보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한국과 중국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을 가치있는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이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하게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얻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년, 성적, 가정경제수준, 부학력, 비행친구 등 통제변인에 따라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과의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국이 중국보다 이들 변수들과 학교적응의 상관 정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적응 하위요인들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도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부모-자녀 간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자녀 간의 폐쇄형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 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폐쇄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중국과 한국 청소년에 대해 회귀분석을 통해 학년, 성적, 가장경제수준, 부학력, 비행친구를 통제한 상태에서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차이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가장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부모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잘 할수록 학교에서의 적응수준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투입한 이후에도 응답자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test결과 자아존중감은 부모외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경우에 자아존중감은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경우에는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만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을 가치있게 여기도록 하는 것이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하게 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개방형 의사소통도 높이면 학교적응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폐쇄형 의사소통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실천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내에서 실시하는 청소년의 상담 프로그램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제고시키고,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문제를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상담 프로그램과 함께 부모와의 상담도 실시하여 청소년이 부모와 어떤 문제가 되던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훈련과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둘째, 부모로써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자녀의 자존감을 키워줄 수 있는 부모 역할의 역량강화를 할 수 있는 부모훈련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자녀의 성격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기술을 익힌다면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함께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부모가 자녀에게 거는 기대로 인한 강박관념과 현실에서의 차이로 자녀의 자존감이 낮아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소소한 목표설정으로 반복된 성취경험을 갖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자녀와 함께 부모-자녀 의사소통기법을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과 정서적 지지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사회사업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학교, 학생, 부모 간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조성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학교사회사업가를 제도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2
      • 제1절. 부모-자녀 의사소통 12
      • Ⅰ.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2
      • 제1절. 부모-자녀 의사소통 12
      • 1) 의사소통의 정의 12
      • 2)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 13
      • (1) 개방형 의사소통 16
      • (2) 폐쇄형 의사소통 16
      • (3)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 17
      • 제2절. 자아존중감 19
      • 1) 자아존중감의 정의 19
      • 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22
      • 3)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관계 24
      • 4)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26
      • 제3절. 학교적응 28
      • 1) 학교적응의 정의 28
      • 2) 학교적응의 구성요소 32
      • (1) 교사관계 32
      • (2) 교우관계 34
      • (3) 학교수업 35
      • (4) 학교규칙 37
      • 3) 그 밖에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8
      • (1) 비행친구여부 38
      • (2) 학년 38
      • (3) 성적 38
      • (4) 경제적 수준 40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41
      • 제1절. 연구대상과 자료수집 방법 41
      • 1) 자료수집 41
      • 2) 연구 절차 및 내용 41
      • 제2절. 변인의 정의 및 측정도구 41
      • 1) 독립변수: 의사소통 유형 42
      • 2) 매개변수: 자아존중감 43
      • 3) 종속변수: 학교적응 43
      • 4) 통제변수: 비행친구여부 44
      • 제3절. 분석방법 45
      • 1) 자료 분석방법 45
      • IV. 연구 결과 47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47
      • 제2절. 청소년이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51
      • 1) 한국 청소년이 지각한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51
      • 2) 중국 청소년이 지각한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52
      • 3) 한국중국 청소년이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비교 53
      • 제3절.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54
      • 제4절.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 관계 59
      • 1)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61
      • 2) 중국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66
      • 3) 한국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하위요인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69
      • 4) 중국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학교적응 하위요인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77
      • 5) 한국과 중국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 및 학교적응 하위요인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비교 84
      • Ⅴ. 논의 및 제언 86
      • 제1절 연구 결론 86
      •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87
      • 2)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89
      • 제2절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91
      • 참고문헌 95
      • 국문초록 98
      • ABSTRACT 102
      • 부록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