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唐代 중국 소재 한국 여성 묘지명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한국 여성 묘지명 중 실체와 계통을 정확히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49882
서울 : 고려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2017
2017
한국어
374.9374.9 판사항(6)
907.1907.1 판사항(23)
서울
iii, 63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朴賢淑
참고문헌: 장 58-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唐代 중국 소재 한국 여성 묘지명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한국 여성 묘지명 중 실체와 계통을 정확히 ...
본고는 唐代 중국 소재 한국 여성 묘지명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한국 여성 묘지명 중 실체와 계통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高氏夫人과 高提昔, 扶餘太妃, 淸河縣君 金氏夫人, 京兆 金氏夫人과 발해의 貞惠公主, 貞孝公主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머리말에서는 여성 묘지명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기존 연구에서의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각 인물들의 묘지명의 발견 경위와 형태, 묘지명의 간략한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묘주들의 가계와 선조, 생애를 알아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묘지명의 외형과 내용 비교를 통해 여성 묘지명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외형 비교를 위해 먼저 출토 지역을 분석한 결과 高氏夫人과 高提昔, 扶餘太妃, 淸河縣君 金氏夫人과 京兆 金氏夫人의 묘지명은 하남성과 섬서성에서 발견되었으며, 貞惠公主, 貞孝公主의 묘지명이 길림성에서 출토되어 발견 장소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묘지명의 형태를 재질, 모양, 크기별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高氏夫人과 高提昔, 扶餘太妃 묘지명이 청석으로 제작되었으며 京兆 金氏夫人 묘지명은 현무암으로 貞惠公主, 貞孝公主 묘지명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묘지명의 모양에서는 발해 공주들의 경우 묘지명이 직립한 비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 다른 인물들과 차이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묘지명의 크기는 ‘扶餘太妃’ 와 貞惠公主, 貞孝公主의 묘지명이 다른 인물들의 묘지명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身分高下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로 묘지명의 내용 비교를 위해 인물별, 국가별, 성별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인물별 비교를 통해 여성 묘지명은 구성, 首題의 형식, 諱와 字가 대부분 작성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국가별 비교를 통해서는 연호의 사용과 출자 기록의 서술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동 시대의 고구려, 백제 남성 유민 묘지명과의 비교를 통해 여성 묘지명에서는 여성의 품성과 행실이 유교적으로 이상적인 덕목에 부합한 것으로 서술한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발견된 여성 묘지명의 수가 적어 본 연구는 데이터가 한정적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고대 여성사뿐만 아니라 역사학 연구에서도 연구 방향과 주제의 확장에 일면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