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장애 자녀 자립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신념과 역할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박희성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 본 연구는 성인기 중증 장애 자녀를 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51678
서울 :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 , 2024. 8
2024
한국어
장애 자녀의 부모 ; 중증 장애인의 자립 ; 부모의 신념과 역할 ; 질적 연구 ; 근거이론
서울
226 ; 26 cm
지도교수: 정성진
I804:11027-20000080097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증 장애 자녀 자립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신념과 역할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박희성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 본 연구는 성인기 중증 장애 자녀를 둔...
중증 장애 자녀 자립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신념과 역할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박희성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 본 연구는 성인기 중증 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이 자녀 자립 과정에서 어떠한 신념 과 장애인식을 가지고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그 과 정에 나타난 부모들의 신념과 역할 변화에 주목하여 장애인 자녀 자립 과정에서 나 타난 부모의 자립 신념과 역할에 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하여 근거이론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의 다양한 장애 유형을 가진 만 20세 이상 중증 의 자립한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 15명이었다. 자녀 자립의 기준은 1년 이상 경제적 자립과 물리적 자립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자료는 2023년 8월부터 2024년 2월까지 대 면과 비대면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 거이론 연구의 절차와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총 146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범주들을 배열하였다. 인과적 조건은 ‘중증 장애 자녀와의 동행’, ‘자녀의 성인기 도래’, ‘부모 사후 돌봄 문제’로 구성하 였고, 맥락적 조건은 ‘자립의 계기’, ‘부모의 자립 신념’, ‘자녀의 자립 의지’, ‘합심하여 이룬 분가(分家)’로 구성하였다. 중심현상은 ‘습관화된 부모 역할과 혼 재된 정서’로 구성하였다. 중재적 조건은‘자녀의 자립생활 적응’, ‘가족에 대한 인식변화’, ‘자립 이후 부모의 성찰’로 구성하였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복 지 인프라 활용’, ‘역할 변화 전략’, ‘자립 신념 굳히기’로 구성하였다. 결과는 ‘자립 유지의 확정’, ‘자녀 자립 후 부모의 과업’으로 구성하였다. 축코딩의 두 번째 단계인 과정 분석에서는 물리적 자립 지원 단계, 자립 적응 관여 단계, 부모 역 할 축소 단계, 자립 신념 보강 단계, 정서적 자립 지지 단계의 5단계로 참여자 경험 과정이 구성되었다. 선택 코딩에서는 먼저 핵심 범주를 구성하고 이야기 윤곽을 기술한 후, 유형 분석 과 상황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체이론인 핵심 범주는 ‘각자도생의 신념으 로 자녀의 자기결정을 지지함으로써 부모의 성장과 가족의 화합 및 자녀의 행복을 찾아가는 여정’으로 도출되었다. 유형 분석에서 도출된 참여자들의 실제 유형은 주 도적 추진형, 합의적 진행형, 존중적 보조형과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났다. 상황 모형에 서는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개인 수준, 가족 수준, 사회 수준, 국가 수준으로 나누어 각 상황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개인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혼재된 정서, 습관화된 부모 역할, 부모의 성찰, 자립 신념 굳히기, 부모 역할의 축소와 변화로 나 타났다. 가족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장애 자녀의 적응과 변화, 형제 돌봄에 선을 그음, 명확한 가족 경계, 가족 화해로 나타났다. 사회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사회 적 인식개선 효과, 장애인 가족 자조 모임, 장애인 당사자 지지 모임으로 나타났다. 국가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자립 지원정책의 효과, 자립 유지 정책의 필요성, 복 지 인프라 활용, 활동지원사와 연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녀 자립의 의미와 본질, 부모 자녀 간의 자립 합의, 장애 정도와 유형에 따른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거쳐서, 정책적 및 실천적 제언 을 하였다. 주요어: 장애 자녀의 부모, 중증 장애인의 자립, 부모의 신념과 역할, 질적 연구, 근 거이론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