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산회상도상의 기원과 전파 = A Study on the Iconographic Origin of "Mt.Grdhrakuta Assembl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시대 대웅전 주불 후불탱화의 주제로서 정착된 靈山會上圖像이 간다라 불교도상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것이 어떤 경로를 거쳐 우리나라로 전파되었는지를 추...

      이 논문은 조선시대 대웅전 주불 후불탱화의 주제로서 정착된 靈山會上圖像이 간다라 불교도상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것이 어떤 경로를 거쳐 우리나라로 전파되었는지를 추적하기 위해 중앙아시아와 중국의 유사한 도상들을 찾아 그 연결고리를 구성해보고자 한 것이다. 우선 영산회상도의 도상은 삼존불 구성을 중심에 두고, 그 좌우로 관념적인 공간에 설법을 듣는보살들을 정연하게 배치하였으며, 하단에는 사천왕을, 상단에는 다양한 佛身觀을 보여주는 타방불 혹은 화신불을 배치한다는 비교적 일관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도상구조는 간다라 미술중에서 특히 모하메드 나리(Mohammed Nari) 출토의 대형 불설법 부조와 같은 일련의 설법장면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 작품은 法華經·阿彌陀經·華嚴經과 같은 포괄적인 대승불교 경전에 근거한 설법도상으로 해석되고 있어서, 이를 통칭하여 ‘大乘說法圖像’이라고 잠정적으로 규정하여 보았다. 이 도상이 점차 동아시아로 전래되면서 ‘법화경설법’, 즉, ‘영산회상도’로 그 의미가 규정되어갔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제이다. 우선 北京시기의 敦煌 莫高窟 제 262 굴 정면의 감실 및 감실 좌우의 도상구성은 앞서 제시한 삼존불 설법, 좌우 청문보살의 배치방법, 하단의 공양단, 천정의 천개 등에서 간다라의 설법부조와 구조적 유사성이 보이며, 특히 간다라 설법부조의 帝釋窟說法·龕室交脚像 등의 모티프는 제 262굴 좌우 석굴인 268 굴과 275 굴에 분산 배치되어 결국 세 석굴의 하나의 사원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북량시기 돈황 막고굴의 불교도상은 아마도 사문 曇曜와 같은 북량출신의 승려가 北魏 太和 연간에 국가적인 불사를 주도하면서 中原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太和元年銘 金銅佛立像의 光背 뒷면에 부조된 설법도상은 양식적·도상적으로 막고굴 262 굴과 같은 북량석굴의 설법도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여기에는 文殊·維摩의 대담장면과 二佛竝坐像의 장면이 추가되어 있어서 점차 유마경변·법화경변의 성격이 부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본구성은 北齊시기 佛碑像에도 계승되었으며, 이는 다시 큰 변화없이 莫高窟 419굴·420 굴과 같은 隋代의 석굴 정면 佛龕을 구성하는 기본도상으로 계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들 수대 석굴의 천정에는 法華經變相圖가 중심 주제로 그려지고 있어서 불감 설법장면이 점차 ‘법화경설법’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던 것으로 해석해 보았다. 또한 그 배경에는 天台智義(538~597)와 같은 天台宗 승려들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唐代에 들어서게 되면 이러한 설법도상의 중요 모티프였던 유마경변 장면이 별도의 벽면에 독립되어 표현되기 시작하는데, 이는 천태종에서 법화경과 함께 유마경을 중시함에 따라 일어난 현상으로 보이며, 대신 그 자리에는 불전장면인 夜半出城·乘象入胎가 각각 자리하게 됨을 확인할수 있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영산회상도의 시원적 형태는 南宋대의 妙法蓮華經變相圖에 등장하는 설법도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이 도상은 앞서 고찰한 初唐期의 막고굴 정면 불감의 도상구성과 매우 흡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묘법연화경변상도의 騎獅文殊·騎象普賢 도상이 이전의 야반출성·승상입태 모티프로부터 유래되었다는 기존의 연구성과 역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Buddha`s Mt.Grdhrakuta Assembly(靈山佛會)" iconography which are most pervasive in Buddhist art history of Korea. This iconography can be defined as the scene of ``Saddharmap...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Buddha`s Mt.Grdhrakuta Assembly(靈山佛會)" iconography which are most pervasive in Buddhist art history of Korea. This iconography can be defined as the scene of ``Saddharmapundarika`` speeching of Sakyamuni Buddha on the Mt.Grdhrakuta. This "Mt.Grdhrakuta Assembly" scene seemed to be originated in Gandharan Buddhist iconography as Buddha preaching scene stele excavated from Mohammad nari(now in the Lahore Museum, Pakistan). But until that time, it had no means of ``Saddharmapundarika`` speeching, but seemed to concern with some Mahayana texts. The propagates of this preaching scene to Central Asia happened at the period of Five Barbarian Dynasties and Sixteen States of Northern China. This essay concentrates on the Dunhuang Mogaoku(莫高窟) in Kansu(甘肅) especially cave no.272. The structural aspect of Mogaoku no.272 stems from Gandharan iconography of Buddha preaching scene stele. In addition, this cave is interpreted by the concept of meditation training in Vijnapti-matrata tradition introduced by early Yogacara monks as Dharmaksema(曇無讖). In the bronze relief on the backside of halo of the Buddha image with inscription "the first year of Taihe(太和元年, 477)", and two Buddhist Steles of Northern Qi are based on the tradition of "Mt.Grdhrakuta Assembly" iconography. Particularly, these examples shows how the Chinese evolution transformed the various Indian metaphysical conception of Buddhakaya into physical story of Buddha`s life as the "Birth of Buddha", "First Sermon", "Prabhutaratna Stupa" motif derived from the Saddharmapundarika and the Vimila-kirtinirdesa-sutra tableaux. At the similar point of view, Mogao caves excavated during the period of Sui(隋) and Tang (唐) Dynasty can be discussed in these two genealogy. The main niche of Mogao caves in these periods enshrines the statues of Buddha, Bodhisattvas, Arahats with couple of armored guardia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Mt.Grdhrakuta Assembly". And while the Vimila-kirtinirdesa-sutra tableaux was depicted at the both side of main niche as the former examples as steles of The Northern Dynasties, it is noted that the Saddharmapundarika-sutra tableaux begun to be depicted at the ceiling of main nich. It can be presumed that this preaching scene begun to have the meaning of "Mt.Grdhrakuta Assembly" more exclusively. Through comparison with Tang Dynasty`s preaching scene in Mogao caves no.57, the iconographic similarity is verified in Saddharmapundarika-sutra tableaux of Southern Song(南 宋) Dynasty. In its final, the Korean "Yeongsanhoesangdo(靈山會上圖)" succeeds the iconography of "Mt.Grdhrakuta Assembly" throughout this Saddharmapundarika-sutra tableaux illustration painting. Furthermore, in spite of the resemblance, Korean iconography represents new idea in some aspects. For example, "Yeongsanhoesangdo" painting which is enshrined at back wall of the altar couldn`t be seen in former "Mt.Grdhrakuta Assembly" tradition, but in comparison with the composition of statues and paintings in the main niche of Mogaoku or main altar of Buddha hall in Chinese te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conography becomes clear. The reason of this connection is presumed that the Korean "Yeongsanhoesangdo" has been imported by the form of sutra illustration which depicting "Mt.Grdhrakuta Assembly" statues. In conclusion, the evolution of Mahayana preaching scene can be defined as the iconographic adaptation to each of the periods and dynasties without any departure from original and familiar structure in visu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윤식, "靈山會上幀畵와 法華經信仰" 韓國佛敎學會 3 : 1977

      2 문명대, "조선조 석가불화의 연구-법화경미술연구, In 조선조불화의 연구-삼불회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3 박도화, "조선조 묘법연화경 판화의 연구" 동국대학교 박물관 12 : 1994

      4 이주형, "인도 불교 문헌과 미술에 보이는 <제석굴 삼매/설법>" 중앙아시아학회 14 : 109-140, 2009

      5 김혜원, "돈황막고굴 당대 <유마경변>에 보이는 세속적인 청중의 도상과 의미, In 미술사의 정립과확산 2" 사회평론 2006

      6 주수완, "대승설법도상의 연구 : '관경변상'과 '영산불회' 도상의 기원과 전파"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호귀, "금강경찬술" 중도출판사 2007

      8 長廣敏雄, "雲岡石窟における佛像の服制について" 15 : 1947

      9 鎌田茂雄, "隋唐の佛敎(上), In 中國佛敎史 5" 東京大學出版會 1994

      10 박은화, "隋·唐代 敦煌莫高窟의 維摩詰經變 壁畵"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4 : 1994

      1 홍윤식, "靈山會上幀畵와 法華經信仰" 韓國佛敎學會 3 : 1977

      2 문명대, "조선조 석가불화의 연구-법화경미술연구, In 조선조불화의 연구-삼불회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3 박도화, "조선조 묘법연화경 판화의 연구" 동국대학교 박물관 12 : 1994

      4 이주형, "인도 불교 문헌과 미술에 보이는 <제석굴 삼매/설법>" 중앙아시아학회 14 : 109-140, 2009

      5 김혜원, "돈황막고굴 당대 <유마경변>에 보이는 세속적인 청중의 도상과 의미, In 미술사의 정립과확산 2" 사회평론 2006

      6 주수완, "대승설법도상의 연구 : '관경변상'과 '영산불회' 도상의 기원과 전파"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호귀, "금강경찬술" 중도출판사 2007

      8 長廣敏雄, "雲岡石窟における佛像の服制について" 15 : 1947

      9 鎌田茂雄, "隋唐の佛敎(上), In 中國佛敎史 5" 東京大學出版會 1994

      10 박은화, "隋·唐代 敦煌莫高窟의 維摩詰經變 壁畵"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4 : 1994

      11 "續高僧傳"

      12 "維摩詰所說經"

      13 肥田路美, "涼州番禾縣瑞像の說話と造形" 每日新聞社 217 : 1994

      14 주수완, "朝鮮時代 記錄文化財 資料集 3" (사)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15 馬德, "敦煌莫高窟史硏究" 甘肅敎育出版社 1996

      16 寧强, "敦煌最早三窟供養人及相關問題硏究, In 漢唐之間的宗敎藝術與考古" 文物出版社 2000

      17 "妙法蓮華經"

      18 鎌田茂雄, "天台思想入門: 天台宗の歷史と思想" 講談社 1999

      19 "大智度論"

      20 "大唐西域記"

      21 石松日奈子, "北魏佛敎造像史の硏究" ブリュッケ 2005

      22 小谷仲南, "ガンダーラ佛敎美術の展開" 史學硏究會 50 (50): 1967

      23 Moritaka Matsumoto, "The Iconography of Shaka's Sermon on the Vulture Peak and Its Art Historical Meaning" 53 (53): 1993

      24 Behrendt, Kurt A., "The Buddhist architecture of Gandhara" Brill 2003

      25 Eugene Y.Wang, "Shaping the Lotus Sutra; Buddhist Visual Culture in Medieval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26 Marianne Yaldiz, "Maitreya in Literature and in the Art of Xinjiang, In Kizil on the Silk Road-Crossroads of Commerce & Meeting of Mind" Marg Publications 2008

      27 Rhi, Juhyung, "Gandharan Images of the 'Śravastī Miracle': An Iconographic Reassess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1991

      28 Rhi, Juhyung, "Early Mahayana and Gandharan Buddhism: An Assessment of the Vusual Evidence" 35 (35): 2003

      29 Rhie,Marylin M, "Early Buddhist Art of China and Central Asia, Vol.Ⅰ" Brill 1999

      30 김리나, "<維摩詰經>의 螺髻梵王과 그 圖像" 진단학회 71·72 :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불교미술사학 -> 강좌미술사
      외국어명 : BULKYOMISULSAHAK -> The Art History Journal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3 0.58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