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 핵심 역량 기반의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 The Development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45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 중심의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목은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실질적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선행 연구를 통해 교과목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전체적인 교수 학습 모형으로는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교과목의 주요 내용은 대학생 핵심 역량 진단도구(K-CESA)의 여섯 가지 역량 영역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연구자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 완성하였다. 개발한 교과목을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성과를 확인하였다. 인터뷰와 설문, K-CESA 진단 결과를 토대로 학습과정 및 성과에서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 운영한 교과목은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프로토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 해 향후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 개설을 원하는 대학에서 참조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 중심의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목은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 중심의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목은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실질적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선행 연구를 통해 교과목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전체적인 교수 학습 모형으로는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교과목의 주요 내용은 대학생 핵심 역량 진단도구(K-CESA)의 여섯 가지 역량 영역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연구자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 완성하였다. 개발한 교과목을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성과를 확인하였다. 인터뷰와 설문, K-CESA 진단 결과를 토대로 학습과정 및 성과에서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 운영한 교과목은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프로토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 해 향후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 개설을 원하는 대학에서 참조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eaching core competency-based career education, which is requi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modern society. The cours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cused on improving core competencies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the design principl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develop a curriculum. Problem-based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tot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main contents of the subjec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K-CESA). The curriculu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a prototype of competency-based care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eaching core competency-based career education, which is requi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modern society. The cours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cused on improving core competencies of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eaching core competency-based career education, which is requi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modern society. The cours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cused on improving core competencies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the design principl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develop a curriculum. Problem-based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tot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main contents of the subjec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K-CESA). The curriculu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a prototype of competency-based care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창균, "핵심직업능력시스템의 구축" 2 (2): 5-20, 2012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강경종,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전문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방안"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79-113, 2003

      4 오은주,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17-531, 2012

      5 이정표,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분석 : 영국·미국·호주·일본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171-195, 2005

      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적자본기업패널 기초분석보고서" 2014

      7 김혜영, "역량진단검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진단도구와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39-172, 2013

      8 소경희, "역량의 관점에서 본 대학의 교양교육의 과제" 35-66, 2010

      9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10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 2006

      1 채창균, "핵심직업능력시스템의 구축" 2 (2): 5-20, 2012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강경종,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전문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방안"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79-113, 2003

      4 오은주,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17-531, 2012

      5 이정표,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분석 : 영국·미국·호주·일본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171-195, 2005

      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적자본기업패널 기초분석보고서" 2014

      7 김혜영, "역량진단검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진단도구와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39-172, 2013

      8 소경희, "역량의 관점에서 본 대학의 교양교육의 과제" 35-66, 2010

      9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10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 2006

      11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05-127, 2013

      12 이영대,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13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59-379, 2012

      14 김부자, "대학생의 생애역량 강화를 위한 융복합형 교육시스템 모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73-180, 2014

      15 안광식, "대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관한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0 (30): 96-105, 2005

      16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17 한국고용정보원, "대학생 직업진로지도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10

      18 김승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599-626, 2009

      19 진미석,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 강미영, "대학생 대상 역량기반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1-27, 2015

      21 유지원,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41-63, 2014

      22 유현실, "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성격 및 성별의 종단적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89-111, 2014

      23 정철영, "농업계열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1-22, 2001

      24 나승일, "기초직업능력 자격화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4 (44): 131-160, 2012

      25 박성미,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델파이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 (20): 12-22, 2008

      26 Koschmann, T., "Using technology to assist in realizing eff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 A principled approach to the use of computers collaborative learning" 3 (3): 227-264, 1994

      27 Kagan, D. M., "Teaching as clinical problem solving :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analogy and its implications" 58 (58): 482-505, 1988

      28 Bridges, E., "Problem-based learning in leadership development" 68 : 53-62, 1996

      29 Barrows, H. S.,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Springer Publishing Co 1985

      30 Wang, F., "Design-based research and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53 (53): 5-23, 2005

      31 DeSeCo, O. E. C. 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2005

      32 Gilhooly, K. J., "Cognitive psychology and medical diagnosis" 4 (4): 261-272, 1990

      33 교육부, "2013년도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기본계획"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