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지역 간재학파 문인 형성과 노사 성리설 비판 양상 = A Study of Ganjae(艮齋) School’s Criticism of Lusha’s(盧沙) Neo-Confucianism in Yeongnam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64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영남지역 艮齋 田愚의 강학 활동, 그리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간재 문인들의 성리학설을 蘆沙學에 대한 비판 양상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영남지역 老論化 경향은 노사학파와 간재학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남지역 간재 문인들황 및 간재학을 기반으로 하는 영남지역 학자들의 노사 성리설 비판 양상에 의 현대한 구체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영남지역에서의 간재학파 문인들의 구체적 현황을 간재 전우의 강학활동 양상, 그리고 간재 문인록인 『華島淵源錄』에 수록된 영남지역 문인들의 현황을 검토하였던 것이다. 특히 간재 문인들로 한정되기보다는 시기를 앞당겨 해당 지역에서 영향력을 지니면서 활동하였던 노론계열 유학자에 대해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백운정사를 중심으로 영남에서 간재학의 정착화에 기여하였던 愚山 韓愈를 중심으로 간재 문인들의 교류 양상을 살펴보았다.
      愚山은 산청의 白雲精舍에 간재와 함께 배향되면서 영남에서의 간재학파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인물이었다. 그가 노사의 외필을 읽고 남긴 논술은 영남지역 간재학의 특성을 대변해 주고 있다. 우산은 理의 구현을 위한 氣의 역할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기의 능동성과 그 근거로서 所以然의 의미를 연계시켜 율곡학을 이해한다. 이러한 논리는 간재가 無爲의 주재자로서 결코 기의 능동성과 분리되지 않는 리의 존재 의미를 강조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하면서도, 리기가 지닌 상호연계성을 더욱 중시하는 것이다. 또한 우산은 이기론에 대한 관점의 다양화를 제시함으로써 기를 탈각시키는 듯한 노사의 진술에 거부감을 토로한다. 영남에서 우산의 이러한 주장은 리의 구현을 위한 현실 토대로 기의 의미를 강조하려는 간재학맥의 공유된 인식이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영남지역 艮齋 田愚의 강학 활동, 그리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간재 문인들의 성리학설을 蘆沙學에 대한 비판 양상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영남지역 老論化 경향은 노사학파와 간...

      이 논문은 영남지역 艮齋 田愚의 강학 활동, 그리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간재 문인들의 성리학설을 蘆沙學에 대한 비판 양상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영남지역 老論化 경향은 노사학파와 간재학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남지역 간재 문인들황 및 간재학을 기반으로 하는 영남지역 학자들의 노사 성리설 비판 양상에 의 현대한 구체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영남지역에서의 간재학파 문인들의 구체적 현황을 간재 전우의 강학활동 양상, 그리고 간재 문인록인 『華島淵源錄』에 수록된 영남지역 문인들의 현황을 검토하였던 것이다. 특히 간재 문인들로 한정되기보다는 시기를 앞당겨 해당 지역에서 영향력을 지니면서 활동하였던 노론계열 유학자에 대해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백운정사를 중심으로 영남에서 간재학의 정착화에 기여하였던 愚山 韓愈를 중심으로 간재 문인들의 교류 양상을 살펴보았다.
      愚山은 산청의 白雲精舍에 간재와 함께 배향되면서 영남에서의 간재학파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인물이었다. 그가 노사의 외필을 읽고 남긴 논술은 영남지역 간재학의 특성을 대변해 주고 있다. 우산은 理의 구현을 위한 氣의 역할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기의 능동성과 그 근거로서 所以然의 의미를 연계시켜 율곡학을 이해한다. 이러한 논리는 간재가 無爲의 주재자로서 결코 기의 능동성과 분리되지 않는 리의 존재 의미를 강조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하면서도, 리기가 지닌 상호연계성을 더욱 중시하는 것이다. 또한 우산은 이기론에 대한 관점의 다양화를 제시함으로써 기를 탈각시키는 듯한 노사의 진술에 거부감을 토로한다. 영남에서 우산의 이러한 주장은 리의 구현을 위한 현실 토대로 기의 의미를 강조하려는 간재학맥의 공유된 인식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enters on Ganjae Jeon Woo’s(艮齋 田愚) criticism of Lusha Qi Jeongjin’s(盧沙 奇正鎭) teachings. It focuses on the lecturing activities of Ganjae in the Yeongnam(嶺南) region and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developed by his disciples in the process. The tendency of the Lolon(老論) theory in Yeongnam region was centered on Lusha and Ganjae School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Ganjae School in Yeongnam region and the specific research on the critique of Lusha's doctrine of Neo-Confucianism by the scholars in the Yeongnam region based on Ganjae’s theory.Therefore, this paper first research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chool of Ganjae School in Yeongnam. The status of the academic activities of Ganjae and List of disciples[華島淵源錄] in Yeongnam region. In particular, Wushan(愚山) Han-Yu(韓愈) who contributed to the rootization of Ganjae School in Yeongnam.Wushan and Ganjae(艮齋) were enshrined in Baiyun Jingsha(白雲精舍), whi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Ganjae School in Yeongnam region. His essay after reading Lusha’s "猥筆"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 Studies in Yeongnam. Wushan did not ignore the embodied role of Qi(氣) in realization, but at the same time connected Qi’s initiative with the meaning of its basis to understand Yulgokhak(栗谷學). This logic is consistent with Ganjae’s(艮齋) view of Li as the master of non-action and inseparable from the initiative of Qi, and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Li and Qi. In addition, Wushan(愚山) revealed a diversity of views on the theory of Li and Qi, rejecting the statement that Lusha(盧沙) seems to want to get rid of Qi. Wushan’s(愚山) claim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Qi in order to embody the embodied role of Li was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Ganjae(艮齋) School in Yeongnam Region.
      번역하기

      This paper centers on Ganjae Jeon Woo’s(艮齋 田愚) criticism of Lusha Qi Jeongjin’s(盧沙 奇正鎭) teachings. It focuses on the lecturing activities of Ganjae in the Yeongnam(嶺南) region and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developed by hi...

      This paper centers on Ganjae Jeon Woo’s(艮齋 田愚) criticism of Lusha Qi Jeongjin’s(盧沙 奇正鎭) teachings. It focuses on the lecturing activities of Ganjae in the Yeongnam(嶺南) region and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developed by his disciples in the process. The tendency of the Lolon(老論) theory in Yeongnam region was centered on Lusha and Ganjae School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Ganjae School in Yeongnam region and the specific research on the critique of Lusha's doctrine of Neo-Confucianism by the scholars in the Yeongnam region based on Ganjae’s theory.Therefore, this paper first research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chool of Ganjae School in Yeongnam. The status of the academic activities of Ganjae and List of disciples[華島淵源錄] in Yeongnam region. In particular, Wushan(愚山) Han-Yu(韓愈) who contributed to the rootization of Ganjae School in Yeongnam.Wushan and Ganjae(艮齋) were enshrined in Baiyun Jingsha(白雲精舍), whi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Ganjae School in Yeongnam region. His essay after reading Lusha’s "猥筆"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 Studies in Yeongnam. Wushan did not ignore the embodied role of Qi(氣) in realization, but at the same time connected Qi’s initiative with the meaning of its basis to understand Yulgokhak(栗谷學). This logic is consistent with Ganjae’s(艮齋) view of Li as the master of non-action and inseparable from the initiative of Qi, and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Li and Qi. In addition, Wushan(愚山) revealed a diversity of views on the theory of Li and Qi, rejecting the statement that Lusha(盧沙) seems to want to get rid of Qi. Wushan’s(愚山) claim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Qi in order to embody the embodied role of Li was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Ganjae(艮齋) School in Yeongnam Reg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