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구한말 유학자였던 艮齋 田愚(1841-1922)의 문집 정본화 과정 중 경남 진주에서 최초로 간행된 晉州本 『艮齋私稿』에 대한 연구이다. 간재 학단인 간재학파의 규모는 문인록으로 알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64909
정경훈 (원광대학교)
2024
Korean
전우 ; 간재 ; 오진영 ; 간재사고 ; 추담별집 ; Jeon-u ; Ganjae ; Oh-Jinyoung ; Ganjaesago ; Chudambyeoljip
KCI등재
학술저널
75-9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구한말 유학자였던 艮齋 田愚(1841-1922)의 문집 정본화 과정 중 경남 진주에서 최초로 간행된 晉州本 『艮齋私稿』에 대한 연구이다. 간재 학단인 간재학파의 규모는 문인록으로 알려...
본고는 구한말 유학자였던 艮齋 田愚(1841-1922)의 문집 정본화 과정 중 경남 진주에서 최초로 간행된 晉州本 『艮齋私稿』에 대한 연구이다. 간재 학단인 간재학파의 규모는 문인록으로 알려진 『華島淵源錄』에 3,000명을 육박할 정도로 거대하다. 거대한 문인들은 스승의 학맥을 유지 계승하기 위해 전우의 저술들을 한 곳으로 모아 문집 작업을 착수하였는데, 현재 3종의 판본으로 간행되어 있다. 간재 사후 곧바로 착수된 문집이지만 문인들의 이견으로 문파마다 유리한 방향의 문집이 간행되었다. 간재의 문인들은 문집간행에 대한 스승의 간행 의도와 정확성, 명분에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면서 문집 간행을 둘러싼 논쟁에 휘말려 아직까지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문집 간행을 둘러 싼 문인과 자손들의 첨예한 대립 속에 吳晉泳(1868-1944) 측은 1926년 경남 진주에서 新鉛活字를 사용하여 『艮齋私稿』59권의 규모로 간행하였다. 이것이 후대에 ‘晉州本’으로 명칭 된다. 그후 1년 뒤인 1927년 李仁榘(1890-1952)는 충남 논산군 신도안 용동리 鳳陽精舍에서 목판으로 『艮齋先生文集』을 간행하였다. 총 2,700여 장의 목판으로 앞뒤로 새겼기 때문에 모두 5,400장이 넘는 거대한 분량이다. 총 52권의 규모로 간행되었는데 이것을 ‘龍洞本’이라고 지칭한다. 金澤述(1884-1954)은 선사의 유지를 올곧이 계승하여 또 다른 원고본을 보관하다가 해방 이후 원고본 형태로 『田愚全集』을 60권으로 영인하였는데, 이것을 ‘華島手定本’이라 지칭한다.
각각의 문파가 주도한 문집 간행은 각각 다른 원고본을 사용하였는데, 진주본은 ‘艮齋手稿本’을 바탕으로 이후 다시 수정한 ‘淸道校訂本’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吳晉泳을 비롯한 문집 간행 찬성 문인들은 成璣運(1877-1956)이 있었던 경북 청도 悳泉齋에서 문집 간역소를 설치하며 간행을 준비하였고, 경남 진주읍 대안동 晉陽印刷所에서 5개월 동안 약 1,000질을 출간하였다.
진주본은 간재의 최초 간행된 『간재사고』라는 점은 분명하다. 가장 이른 시기에 간행되었기에 진주본의 간행 소식을 듣고 『간재사고』천 여질이 완판 되었다. 그러나 가장 이른 시기 간행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간재는 문집 간행에 대해 시의가 안정치 못하고 검열을 받고서는 편찬하지 말라는 유언을 했지만 일제강점기에 검열을 받아 출간했다는 점이다.
둘째, 항일의 정신과 倭洋의 문물을 배격한 간재의 사상에 반하여 일본으로부터 들여온 신연활자와 노루지를 이용하였다.
셋째, 문집간행은 급박하게 추진되었다. 5개월의 문집 간행 준비 기간 동안 준비 부족으로 무려 한 책에 해당되는 무수한 正誤를 남겼다. 정오표를 참조하지 않고는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문집 완성도가 낮다.
간재 서거 100년이 넘어선 지금에 있어 간행 명분을 뒤로하고 정확한 定本 『艮齋集』구성을 통해 간재 및 근대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는 귀중한 자원을 얻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Jinju version 『Ganjaesago』,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Jinju, Gyeongsangnam-do during the process of copying the collection of works by Seongjae Jeon-u (1841-1922), a Confucian scholar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Jinju version 『Ganjaesago』,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Jinju, Gyeongsangnam-do during the process of copying the collection of works by Seongjae Jeon-u (1841-1922), a Confucian scholar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size of his school, the Ganjae School, is so large that it has close to 3,000 members in 『Hwajimajeongyeok』. In order to maintain and inherit the scholarly tradition of their teacher, great literary figures gathered his writings in one place and began work on an anthology, which is currently published in three editions. Although the collection of works was started immediately after his death, due to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writers, the collection of works was published in a favorable direction for each school. Writers have been embroiled in controversy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making different claims about the teacher's intention, accuracy, and justification fo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and no conclusion has yet been reached.
Amid the sharp conflict between writers and their descendants over the publication of a literary collection, Oh Jin-young (1868-1944) published 『Ganjaesago』in 59 volumes using Shinyeon type in Jinju, Gyeongnam in 1926. This was later named ‘Jinjubon’. A year later, in 1927, Lee In-gu (1890-1952) published 『Ganjaeseonsaeng's collection』in woodblock in Yongdong-ri, Sindoan, Nonsan-gun, Chungcheongnam-do. It was engraved front and back using a total of 2,700 wooden blocks, making it a huge volume of over 5,400 pieces in total. It was published in a total of 52 volumes and is referred to as the ‘Yongdong version.’ Kim Taek-sul (1884 ~ 1954) inherited his teacher's legacy and kept another copy of the manuscript. After liberation, he reprinted 『Jeonujeonjib』in 60 volumes in original manuscript form, which is referred to as the ‘Hwado revised version.’ It is clear that Jinjubon is Ganjae’s first published book, 『Ganjaesago』. Because it was published at the earliest date, 1,000 copies of 『Ganjaesago』were sold out upon hearing the news of the Jinju version being published. However, apart from the fact that it was published at an early date, it has several problems.
First, Ganjae's will was not stable regarding the publica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and he issued a will not to compile it after it was censored, but it was published under censor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printing technology and paper imported from Japan were used against the anti-Japanese spirit and the ideology of Ganjae, which rejected Western culture. Third,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 was promoted urgently. During the five-month preparation period fo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many typos, equivalent to one book, were left due to lack of preparation. The completeness of the collection is so low that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work without referring to the errata.
Now that more than 100 years have passed since Ganjae's death, it is necessary to set aside the reason for its publication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obtain valuable resources for understanding Ganjae and modern thought and cultur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n accurate authentic version of 『Ganjaejip』.
艮齋 田愚 道學의 志向點과 退溪 ‘尊理’說의 心學的 受容 및 ‘心理家’ 批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