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시물을 활용한 관람객 제작 체험 프로그램 활성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607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문화예술경영학과 , 2018.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58.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how to promote audience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 형태사항

        vii, 6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신의
        참고문헌: p. 47-48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069525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예술 환경은 문화산업시대로 도래로 급변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문화 산업의 변화 외에도 문화예술의 기획, 마케팅, 전문인력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박물관, 갤러리, 예술 단체, 복합문화공간 등이 이미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공공의 가치를 전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에 활력소로서 서비스 역할을 하는 정점에 와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론이다. 작품 수집, 학예 연구 등이 기존 전시공간의 핵심적인 역할이었다면 지금은 전시공간에서 활용하는 아이템, 콘텐츠, 마케팅이 문화예술의 핵심 전략으로 부각되면서 전시공간의 프로그램 개발 및 관객 유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있는 가운데 ‘전시물’은 전시공간의 이미지 상승과 연쇄적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주인공으로서 체험프로그램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마케팅 도입과 적용이 요구 된다.
      특히 ‘제작’이 프로그램의 아이콘으로 대두되고 있고 경험이 하나의 문화 사업으로 발전 하고 있다. 전시공간에서 체험프로그램도 다양화 세분화되면서 관객의 문화 욕구에 맞춰 전시공간은 차별화된 프로그램 선택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조속한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전시공간의 참여를 활성화 시키고 나아가 체험 프로그램 질로써 경쟁력을 키워야한다.
      본 연구는 체험프로그램의 문제점과 잠재성을 발견하고 경영학적 개념으로서의 프로그램 재정립과 자생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이끌어 낼 방안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 체험프로그램의 개념과 현황 등을 분석하고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에 유용한 마케팅이론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또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의견조사를 실시하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해내고 그에 따른 장애요인과 개선 방안을 수렴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특히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를 중점적으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의 실제 현황분석 및 비전을 제고하여 새로운 미션과 환경으로 프로그램의 자립도를 높이는 한편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잠재적 경제 이익을 검토하고 운영 활성화를 위해 합리적인 경영 기법이 적용이 요구되며 패러다임의 마케팅에 대한 과감한 인식의 전환을 제고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체험프로그램의 브랜드화를 통한 마케팅 수립과 확장이 요구되며 전문인력의 육성, 지속적인 프로그래밍, 외부 네트워킹 활용 등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관객 참여 유도 방안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부분으로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의 영역에서의 마케팅 수용의지에 대한 필요성 제고이다. 문화예술의 영역과 상업적 영역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은 본질적 갈등을 겪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체험프로그램을 이해하는 관객은 물론 특히 프로그램 운영자들은 자생적으로 수익이 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기존 전시공간이 가지는 대중을 위한 공적인 태도를 인정하면서도, 마케팅의 활용에 제한을 두지 않고 예술분야에서의 마케팅 활용이 상업적이라는 고정관념을 탈피하며 문화예술계의 변화 대응을 위한 마케팅 수용 의지와 마케팅 마인드에 대해 근본적인 시각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제작 프로그램 만의 새로운 전문 인력을 마련하는 것 이다. 교육프로램을 이끌어가는 에듀케이터의 부재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앞으로의 전시공간의 프로그램 확장과 깊이 있는 체험 프로그램 수준으로 이끌어 올릴 수 있도록 외부기관과 동종 업계의 인력의 협업과 활용을 통한 컨소시엄을 실현해야 한다. 이 뿐만이 아니라 내부적으로는 마케팅 기능 확충을 위한 인력을 확보하며 또한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품 제작 관련 인력 육성과 네트워킹을 강화하여 인력망을 확대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때문에 성공전례가 크게 많지 않은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연구모델로서는 마케팅과 네트워킹의 조화가 요구된다. 국내 프로그램과 더불어 전시물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은 이제 본격적으로 생활 속에서 관객에게 다가 갈 수 있는 아이템이 되었다. 그러므로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적합한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변화를 위한 운영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해야한다.
      이 연구는 예술 프로그램이 향하는 시대 흐름에 요구될 수 있도록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관객 참여 유도방안 모색을 위해 프로그램 전문가들의 의견조사 및 그 결과를 정리함으로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전시공간의 방문을 위한 다양한 가능성 모색의 기본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본 논문이 향후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외부 연구들로 이어지는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최근 예술 환경은 문화산업시대로 도래로 급변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문화 산업의 변화 외에도 문화예술의 기획, 마케팅, 전문인력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최근 예술 환경은 문화산업시대로 도래로 급변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문화 산업의 변화 외에도 문화예술의 기획, 마케팅, 전문인력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박물관, 갤러리, 예술 단체, 복합문화공간 등이 이미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공공의 가치를 전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에 활력소로서 서비스 역할을 하는 정점에 와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론이다. 작품 수집, 학예 연구 등이 기존 전시공간의 핵심적인 역할이었다면 지금은 전시공간에서 활용하는 아이템, 콘텐츠, 마케팅이 문화예술의 핵심 전략으로 부각되면서 전시공간의 프로그램 개발 및 관객 유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있는 가운데 ‘전시물’은 전시공간의 이미지 상승과 연쇄적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주인공으로서 체험프로그램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마케팅 도입과 적용이 요구 된다.
      특히 ‘제작’이 프로그램의 아이콘으로 대두되고 있고 경험이 하나의 문화 사업으로 발전 하고 있다. 전시공간에서 체험프로그램도 다양화 세분화되면서 관객의 문화 욕구에 맞춰 전시공간은 차별화된 프로그램 선택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조속한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전시공간의 참여를 활성화 시키고 나아가 체험 프로그램 질로써 경쟁력을 키워야한다.
      본 연구는 체험프로그램의 문제점과 잠재성을 발견하고 경영학적 개념으로서의 프로그램 재정립과 자생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이끌어 낼 방안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 체험프로그램의 개념과 현황 등을 분석하고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에 유용한 마케팅이론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또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의견조사를 실시하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해내고 그에 따른 장애요인과 개선 방안을 수렴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특히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를 중점적으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의 실제 현황분석 및 비전을 제고하여 새로운 미션과 환경으로 프로그램의 자립도를 높이는 한편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잠재적 경제 이익을 검토하고 운영 활성화를 위해 합리적인 경영 기법이 적용이 요구되며 패러다임의 마케팅에 대한 과감한 인식의 전환을 제고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체험프로그램의 브랜드화를 통한 마케팅 수립과 확장이 요구되며 전문인력의 육성, 지속적인 프로그래밍, 외부 네트워킹 활용 등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관객 참여 유도 방안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부분으로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의 영역에서의 마케팅 수용의지에 대한 필요성 제고이다. 문화예술의 영역과 상업적 영역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은 본질적 갈등을 겪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체험프로그램을 이해하는 관객은 물론 특히 프로그램 운영자들은 자생적으로 수익이 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기존 전시공간이 가지는 대중을 위한 공적인 태도를 인정하면서도, 마케팅의 활용에 제한을 두지 않고 예술분야에서의 마케팅 활용이 상업적이라는 고정관념을 탈피하며 문화예술계의 변화 대응을 위한 마케팅 수용 의지와 마케팅 마인드에 대해 근본적인 시각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제작 프로그램 만의 새로운 전문 인력을 마련하는 것 이다. 교육프로램을 이끌어가는 에듀케이터의 부재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앞으로의 전시공간의 프로그램 확장과 깊이 있는 체험 프로그램 수준으로 이끌어 올릴 수 있도록 외부기관과 동종 업계의 인력의 협업과 활용을 통한 컨소시엄을 실현해야 한다. 이 뿐만이 아니라 내부적으로는 마케팅 기능 확충을 위한 인력을 확보하며 또한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품 제작 관련 인력 육성과 네트워킹을 강화하여 인력망을 확대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때문에 성공전례가 크게 많지 않은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연구모델로서는 마케팅과 네트워킹의 조화가 요구된다. 국내 프로그램과 더불어 전시물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은 이제 본격적으로 생활 속에서 관객에게 다가 갈 수 있는 아이템이 되었다. 그러므로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적합한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변화를 위한 운영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해야한다.
      이 연구는 예술 프로그램이 향하는 시대 흐름에 요구될 수 있도록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관객 참여 유도방안 모색을 위해 프로그램 전문가들의 의견조사 및 그 결과를 정리함으로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전시공간의 방문을 위한 다양한 가능성 모색의 기본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본 논문이 향후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외부 연구들로 이어지는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cultural industries, there have been radical changes in the arts environment recently. This has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s not only in overall cultural industries but also in various areas including cultural arts planning, marketing, and maintaining professional staff.
      Particularly, many experts agree that, through a million times of trial and error, museum, art gallery, arts organization, complex cultural spaces, etc. have already reached the peak of their roles as a channel of conveying pubic values as well as a stimulus that helps improve the quality of an individual’s life. While collecting artworks or curating an exhibition used to be a key role for the old paradigm of exhibition, now items that are used in an exhibition, contents, and marketing have risen to a key strategy for cultural arts. So of all the heightene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programs or audience attraction,‘experience programs’ serve as the center for enhancing the image of an exhibition as well as creating a chain of added value, requiring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 new paradigm of
      marketing. More specifically, ‘exhibit-making’ has emerged as an icon of exhibition programs, and the experience has developed into one type of cultural work. Also, experience programs in an exhibition are so diversified and specialized that the exhibition need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audience to choose a distinct program that meets their cultural need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design strategies immediately for developing and marketing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audience engagement in exhibition an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quality of experience program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discovering current and potential problems of experience programs and of finding ways to derive new values from reestablishing existing programs and self-sustaining programs in an exhibition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First of all, it analyzed the definition and current state of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based on existing related-studies, and examined some marketing theories and their roles that are useful for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Next, it discovered realistic problems by conducting a survey toward a group of related experts through a Delphi Method and achieved a convergence of their opinions on corresponding obstacles and improvements. Accordingly, by raising awareness of realistic analysis and vision of art product-making programs concentrating on the survey outcomes, it helped promote independence of the programs with the new mission and environment and sought to find a solution to improve their operation.
      As a result, rational management techniques need to be applied to review potential economic gains and to promote the operation of the programs. This also raises awareness that a radical shift of perception of marketing paradigm is needed. As a specific plan, marketing needs to be established and expand through a process of branding of experience programs. And it is analyzed that training professional staff, consistent programing, and utilizing external network are urgent matters. Moreover, plans for attracting audience to participate through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largely fall into these two categories.
      First, we need to raise awareness of the willingness to incorporate marketing into the domain of arts and culture. There’s often a conflict in nature between the domain of arts and culture and that of commerce. Consequently, audience who can appreciate experience programs as well as program operators need to admit that self-profitable experience programs recognize the public attitude of existing exhibitions toward audience, and to fundamentally shift their perception of the willingness to incorporate marketing and of marketing minds by breaking the stereotype that using marketing in the arts means being commercialized with the purpose of being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domain of arts and culture.
      Second, we need to maintain new professional staff for only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There still exists the absence of educators who lead a education program, however, a consortium should be established by collaboration and utilization of external institutes and human resources in the same field in order to expand the level of exhibition programs and to deepen the level of experience programs. Furthermore, human resources for expanding the function of marketing should be secured
      internally. Above all, training the pool of professional staff who are able to make art products and expanding the human network by reinforcing networking are the most urgent matters. So the harmony between marketing and networking is required as a model to promote the unprecedented art product-making experience programs.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alongside domestic programs have started to become an item that is approachable to audience in their lives.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e need of appropriate marketing approaches and operation methods for marketing change to promote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seeking various possibilities for audience participation through experience programs by arranging the survey of program experts' opinions and its outcomes to meet the current trend toward arts program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ade use of as a material that leads to future external research for finding a way to promote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번역하기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cultural industries, there have been radical changes in the arts environment recently. This has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s not only in overall cultural industries but also in various areas including cultural arts p...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cultural industries, there have been radical changes in the arts environment recently. This has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s not only in overall cultural industries but also in various areas including cultural arts planning, marketing, and maintaining professional staff.
      Particularly, many experts agree that, through a million times of trial and error, museum, art gallery, arts organization, complex cultural spaces, etc. have already reached the peak of their roles as a channel of conveying pubic values as well as a stimulus that helps improve the quality of an individual’s life. While collecting artworks or curating an exhibition used to be a key role for the old paradigm of exhibition, now items that are used in an exhibition, contents, and marketing have risen to a key strategy for cultural arts. So of all the heightene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programs or audience attraction,‘experience programs’ serve as the center for enhancing the image of an exhibition as well as creating a chain of added value, requiring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 new paradigm of
      marketing. More specifically, ‘exhibit-making’ has emerged as an icon of exhibition programs, and the experience has developed into one type of cultural work. Also, experience programs in an exhibition are so diversified and specialized that the exhibition need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audience to choose a distinct program that meets their cultural need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design strategies immediately for developing and marketing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audience engagement in exhibition an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quality of experience program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discovering current and potential problems of experience programs and of finding ways to derive new values from reestablishing existing programs and self-sustaining programs in an exhibition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First of all, it analyzed the definition and current state of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based on existing related-studies, and examined some marketing theories and their roles that are useful for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Next, it discovered realistic problems by conducting a survey toward a group of related experts through a Delphi Method and achieved a convergence of their opinions on corresponding obstacles and improvements. Accordingly, by raising awareness of realistic analysis and vision of art product-making programs concentrating on the survey outcomes, it helped promote independence of the programs with the new mission and environment and sought to find a solution to improve their operation.
      As a result, rational management techniques need to be applied to review potential economic gains and to promote the operation of the programs. This also raises awareness that a radical shift of perception of marketing paradigm is needed. As a specific plan, marketing needs to be established and expand through a process of branding of experience programs. And it is analyzed that training professional staff, consistent programing, and utilizing external network are urgent matters. Moreover, plans for attracting audience to participate through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largely fall into these two categories.
      First, we need to raise awareness of the willingness to incorporate marketing into the domain of arts and culture. There’s often a conflict in nature between the domain of arts and culture and that of commerce. Consequently, audience who can appreciate experience programs as well as program operators need to admit that self-profitable experience programs recognize the public attitude of existing exhibitions toward audience, and to fundamentally shift their perception of the willingness to incorporate marketing and of marketing minds by breaking the stereotype that using marketing in the arts means being commercialized with the purpose of being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domain of arts and culture.
      Second, we need to maintain new professional staff for only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There still exists the absence of educators who lead a education program, however, a consortium should be established by collaboration and utilization of external institutes and human resources in the same field in order to expand the level of exhibition programs and to deepen the level of experience programs. Furthermore, human resources for expanding the function of marketing should be secured
      internally. Above all, training the pool of professional staff who are able to make art products and expanding the human network by reinforcing networking are the most urgent matters. So the harmony between marketing and networking is required as a model to promote the unprecedented art product-making experience programs.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alongside domestic programs have started to become an item that is approachable to audience in their lives.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e need of appropriate marketing approaches and operation methods for marketing change to promote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seeking various possibilities for audience participation through experience programs by arranging the survey of program experts' opinions and its outcomes to meet the current trend toward arts program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made use of as a material that leads to future external research for finding a way to promote exhibit-making experience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Ⅱ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쟁점 4
      • 1. 전시물 활용 제작 프로그램 정의와 구분. 4
      • I.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Ⅱ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쟁점 4
      • 1. 전시물 활용 제작 프로그램 정의와 구분. 4
      • 2.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체험마케팅. 13
      • 3. . 전시물을 활용한 국내 제작 체험 프로그램 사례 분석 17
      • 4. 전시물을 활용한 제작 체험프로그램의 쟁점 21
      • Ⅲ. 제작 체험 프로그램 전문가 의견 조사. 23
      • 1. 전문가 의견 조사개요. 23
      • 2. 전문가 의견 조사 분석 25
      • 3. . 조사 결과 종합 30
      • Ⅳ. 전시물을 활용한 관람객 제작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활성화 전략. 33
      • 1. 관람객 만족도 조사를 통한 서비스 향상. 35
      • 2. 프로그래밍에 따른 취향 및 욕구 대응 36
      • 3. 파트너 쉽 및 네트워킹의 활용. 37
      • 4. . 문화기획 전문인력의 활용 38
      • 5. . 홍보채널의 활성화 40
      • V. 결론 43
      • 1. 연구의 결론 및 제언 44
      •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45
      • 참고문헌 47
      • 부록 49
      • ABSTRACT.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