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품으로서의 예술작품 = Art as a Commod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예술품의 교환가치를 직접적으로 내세워 예술작품을 하나의 상품으로 바라보았던 최초의 작가들에 대한 조명으로, 그간 예술품의 미적가치에 가려져 있던 교환가치를 어떠한 방식...

      이 글은 예술품의 교환가치를 직접적으로 내세워 예술작품을 하나의 상품으로 바라보았던 최초의 작가들에 대한 조명으로, 그간 예술품의 미적가치에 가려져 있던 교환가치를 어떠한 방식으로서 자신의 예술을 통해 주목했는지 살피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몇몇 장르를 제외한 예술작품은 언제나 미적가치와 동시에 교환가치를 지니고 있다. 낭만주의 시대까지는 "예술가"라는 직업을 갖고, 그 노동의 댓가로서 미술작품이 교환가치를 지닌 상품이 되는 것에 대해 그리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과 기술복제의 시작을 기점으로 예술작품의 "판매가능성"과 함께 미술품의 교환가치가 주목된다. 하지만 구체적인 움직임 보다는 단지 이상에 바탕한 담론들뿐이었다. 미술품의 교환가치를 직접적으로 내세우며 예술품을 상품과 동일시한 작가들의 등장은 1960년대 미국이다. 이들의 이러한 태도 뒤에는 당시 사회가 가지고 있던 몇몇 특징이 바탕이 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눈부신 경제성장과 제도적 안정을 기반으로 대량생산과 소비, 과학과 미디어의 발전을 이루었다. 다양한 상품과 이를 둘러싼 수많은 광고는 새로운 소비욕구의 창출을 위해 노력했다. 각종 매스미디어를 통한 정보와 이미지의 범람은 대중문화의 빠른 확산과 수용에 커다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대흐름 가운데 예술가들은 자본주의사회 상품의 다양한 특성을 자신의 작품의 형식으로 차용시킴으로서 하나의 상품으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정신가치를 하나의 소비로 교환시켰던 이브클라인을 선두로 인쇄물에서 볼 수 있는 망점을 작업방식으로 차용해 소비문화를 나타내고자 했던 로히 리히텐슈타인, 실크스크린을 통한 대량생산방식과, 작품의 상품화를 추구하였던 앤디워홀, 작품을 상품으로 바라보고 그 상품의 교환가치를 증명해 보이고자 했던 클레스 올덴버그 등이 있다. 이들의 이러한 시도는 예술이라는 장르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영역의 확장으로 상업미술의 발판을 이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sheds light on the very first artists who viewed an art as a commodity, asserting the exchange value of their art work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way with their art works those artists revealed the exchange value which ...

      This thesis sheds light on the very first artists who viewed an art as a commodity, asserting the exchange value of their art work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way with their art works those artists revealed the exchange value which had been concealed by aesthetic value.
      An art always has both exchange value and aesthetic value except for some genres Until the Romantic period, artists hardly concerned that an artwork could become a commodity with exchange value as wage labor.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re has been much attention towards the ‘salability’of artworks with the beginning of mass production and mechanical reproduction by technical progress as its starting point Nonetheless, there had been only utopian discussions rather than actual changes.
      It was in 1960s in America that artists appeared who insisted the exchange value of their artworks and equated the artworks with commodities. Their attitudes to an art were based on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at that time. After World War Ⅱ, Americans urged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progress of technology and media based on rapid economic growth and institutional stability. New consumption wants were built by numerous commodities and advertisements. Also, considerable information from mass media and the flood of advertising images helped pop culture to be accepted and spread.
      With this stream of times, artists tried to borrow many characteristics of commodity in capitalistic society in order to use them as a form of the artworks. The leading artists; Yves Klein changed spiritual values into a form of consumption. Roy Lichtenstein derived half-ton dot from printed matters as his working method in order to express the consumption-culture. Andy Warhol sought commercialization and mass production of artworks through silk-screen. Claes Oldenburg considered an artwork as a product and intended to prove the exchange value. Their Attempts advanced the boundaries of the genre art, and they established a foothold of commercial 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상품이 된 예술작품
      • III. 상품생산 방식의 차용
      • IV.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I. 들어가는 말
      • II. 상품이 된 예술작품
      • III. 상품생산 방식의 차용
      • IV. 나오는 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